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537

일제 소행으로 굳은 송진 강탈의 신화 곳곳에 남은 이 상흔을 일제말의 공출 유산으로 보는 시각이 압도적이다.마치 쇠말뚝을 그렇게 보듯이 말이다.하지만 우리가 맞닥뜨리는 이 송진 채취 흔적 대부분은 해방 이후다. 사실 관계를 밝힐 수 있는 것은 밝혀야 하지만 잘못된 상식이 한 치 의문도 없이 통용되는 일은 막아야 한다.(2018. 7. 27)***이 문제는 입이 아프도록 지적했다.이럴 때마다 꼭 따라붙는 말..그렇담 일제가 잘했단 말이냐? 2020. 7. 27.
궁월군弓月君과 하타씨[秦氏] 이 궁월군弓月君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의하면 응신천황応神天皇 시대에서 백제에서 일본으로 120개県 백성을 거느리고 귀화했다. 이런 그를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録》(좌경제번左京諸蕃・漢・태진공숙녜太秦公宿禰)에 의하면 진 시황제秦始皇帝 3세손인 효무왕孝武王의 후예라 하면서 그의 아들인 공만왕功満王이 중애천황仲哀天皇 8年에 내조来朝하니 일명 융통왕融通王이라 하는 궁월군弓月君이 바로 공만왕의 아들이라 한다. 그에서 비롯하는 성씨를 진씨秦氏라 하고 이를 하타hata씨라 읽었다고 하니, 이런 기록 혹은 전승을 종합하면 하타씨는 (비록 그 뿌리는 중국에서 찾지만) 백제에서 유래한 씨족이다. 그렇다면 왜 궁월군에 뿌리를 두는 秦氏를 하필 '하타'씨라고 읽었을까? 弓月을 현대 일본어(한국어도 짬뽕)에 가깝게 훈차하여 이를 .. 2020. 7. 27.
말벌과 쟁투하는 무진장 장수(3) 기차에서 조우한 김천 몇몇 지인 sns를 통해 이 소식을 접하기는 했더랬다. 이번달 KTX 잡지가 김천을 특집으로 소개했다는 그런 내용이었으니 물끄러미 보다가 그 표지로 내세운 마스코트를 보니 직지사 앞에다가 근자에 세운 오층목탑 야경이다. 이 목탁이 무슨 김천과 뚜렷한 인연이 있겠는가? 직지사만 해도 발굴조사가 제대로 이뤄진 적이 없어 석탑이 있었는지 목탑이 있었는지도 모른다. 지금 경내엔 석탑이 세 기인가 있는데 모조리 다른 데서 뽑아다 옮긴 것들이라 이곳과는 역사적 연관이 하등 없다. 그런 김천이 왜 이 목탑을 세우고자 했는지는 내가 알 바 없다. 다만 그 공사감리를 내 지인이 했고 아주 최근에 문을 열었다는 그것뿐이다. 이제 갓 태어난 목탑이 불현듯 김천의 상징으로 솟아난 것이다. 경관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만드는 것.. 2020. 7. 27.
삼겹살 굽는 아크로폴리스 이짝에 와서 보니 이상한 점이 있다. 이짝 주변으로 우리가 아는 고대 희랍 유적이 밀집하거니와, 개중에서도 이 파르테논 신전이 중심임은 말할 나위가 엄따. 이짝 유적 주변 안내판이 프랑스나 이탈리아와 다른 점은 유적 소개 안내판이 그에 견주어서는 굉장히 친절하고 자세하다는 사실이다. 한데 그런 무수한 안내판에서 파르테논이라는 안내 간판을 찾을 수가 없다. 간밤에 골아떨어졌다가 이곳 시간으로 새벽 3시에 일어나 멀뚱멀뚱 할 일이 없어 호텔 밖에서 담배 한대 꼬나물고 거니는데, 그 인근에 위치한 저짝에서 누른 정육점 색깔이 나더라. 잘 구운 삼겹살인가 했다. 상추와 된장이 각중에 땡긴다. 빨간색을 가미했다면 천상 홍등가로 보였으리라. 2020. 7. 27.
없는 허상 찾아 백년을 헤맨 신라 태조 성한太祖星漢 신라 중고기 이래 고려 초기 금석문을 보면, 신라 왕실, 혹은 그 왕실 김씨의 시조로 태조 성한이라는 표현이 더러 보이니, 그것을 찬술 연대로 보면 문무왕 사후 신문왕이 건립한 문무왕비에서 아마도 문무왕(김춘추가 기준일 가능성도 없지는 않음)을 기준으로 해서 “15대조 성한왕星漢王”이라 했으며, 거의 같은 시기에 건립된 문무왕 동생 김인문 비문에서도 “태조성한太祖星漢”이라 했다. 하대로 내려와 흥덕대왕능비 편에서도 “태조성한太祖星漢”이라는 표현이 보이며, 신라말~고려초를 살다간 두 승려 중 진철대사 보월승공탑에서는 그를 일러 “성한星漢”의 후예라 하고, 비로암 진공대사보법탑에서는 그의 선조를 “성한聖韓”이라 했다. 이에서 드러나는 星漢 혹은 聖韓을 찾아 한국고대사는 지난 100년을 허비하면서 이르기를 혹.. 2020. 7. 27.
줄 설 필요가 없는 아테네 아데나이가 파리나 로마나 피렌체보다 압도로 좋은 점은 줄을 설 필요가 없단 것이다. 파르테논도 아크로포리스박물관도, 그리고 지금 이 아테네 고고학박물관도 줄 서지 않고 그대로 입장했다. 2017. 7. 27 2020. 7. 27.
도라지에서 연상한 양귀비의 추억 서울 사투리로는 도라지라는 식물이다. 김천 표준어는 도레이 혹은 도래이인데 꽃을 피웠다가 맺히기 시작한 열매라 천상 양귀비랑 비슷하다. 양귀비 하면 뭐 대단한 범법 마약식물로 간주되지만 내가 어릴 적만 해도 순사로 대표하는 관에 의한 단속이 심하기는 했지만 거개 몰래몰래 재배해서 상비약으로 쓰곤 했다. 선친도 이걸 재배했으니 아주 깊숙한 계곡 가시덤불 무성한 데다가 텃밭 비스무리하게 만들어 재배했다. 하도 어린 시절이라 기억이 가뭇가뭇하긴 하지만 선친 따라 그 밭을 가기도 했는데 아마 이맘쯤에 천상 저와 같은 열매가 생기기 시작하는데 도레이의 그것보다는 약간 크지 않았나 한다. 저 열매를 면도날로 열십자 모양으로 살짝 긁어주면 이내 흰 진액을 송진처럼 뿜는데 얼마 안 있어 검은색으로 변모하고 응고한다. .. 2020. 7. 27.
널 짜는 데 제격인 이탈리아 소나무 이런 소나무만 보면 난 본넝적으로다가 널coffin을 생각한다. 자란 환경 때문이라 해둔다. 널은 미리 짜 두는데 송판으로 켜선 보통은 서원이나 향교 뒤안 처마 밑에 두었다가 일이 생기면 쓴다. 이태리 제일의 관광상품은 콜로세움이 아니라 소나무다. 피렌체 베네챠 베르니니 죠또 그 어느것도 부럽지 않은데 오직 이 소나무만 선망한다. (2018. 7. 27) 이태리 중부 내륙 비냐마조 Vignamaggio 라는 데다. 근리한 표기는 비냐맛죠 정도다. 2020. 7. 27.
홍천 물걸리사지의 보물들 유람병이 도져 다시 돌기 시작했다. 평창 정선을 돌고는 일단 귀경해 마눌님께 살아있음을 보여드리고는 어젠 휭하니 다시 강원도로 날랐다. 홍천을 타깃으로 정했다. 물걸리사지는 한창 발굴 때도 가지 못해 아쉬웠던 곳이다. 가보길 잘했다. 조명을 준비해가지 못해 아쉬움이 크다. 갱주의 조명 전문 오모 작가 생각이 간절했다. 놋파이브로 찍었다. (2016. 7. 26) 2020. 7. 26.
4대 성인 공통점은 야부리! 싯타르타, 공구, 소크라테스, 지저스(나이순. 단 첫 두 사람은 선후에 논란이 있음)... 아침에 예수님 말씀을 인용한 어떤 분 댓글을 달다가 생각했다. 가만 보니 이들은 모두 야부리로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사람들이다. 그리고 뚜렷한 직업이 없다. 오로지 야부리 풀어 성공한 사람들이다. 글쓰기도 귀찮다 해서 직접 글을 남기지도 않았다. 공자孔子 공구孔丘는 《춘추春秋》 등을 산정刪定했다 하지만 내 보기엔 새빨간 거짓말이다. 공구는 그 특징을 보건대 야부리의 전형이다. 나는 야부리는 못되겠다. 천부의 야부리 재주에다 저술도 꽤 되니 말이다. 한데 역사는 모호해서 오직 야부리만이 성공을 준다. 하긴 성철스님도 이 부류다. 예수가 직업없이 야부리로 살았다 했더니 어떤 분이 목수란다. 그 말 들은 듯 하다... 2020. 7. 26.
말벌과 쟁투하는 무진장 장수(2) 추억의 술빵 느닷없이 강행한 무진장 장수답사는 요새 계속 그렇듯이 컨디션 난조인 상태서 진행한 까닭에 답사 내내 몸이 천근만근이었다. 그런 가운데 젤로 인상에 남은 장면이 술빵과 찐빵이었다. 추억의 술빵 찐빵무진장의 고장 전북 장수 읍내에서 만난 술빵과 찐빵. 술빵엔 완두콩이 그득했으며, 찐빵은 팥으로 흘러넘쳤다.play-tv.kakao.com 술빵에서 관건은 그에다가 알알이 박은 콩 숫자요 찐빵은 그 절대 존재기반인 팥을 얼만치 넣느냐에 갈라진다. 푸석푸석함이 주특기인 술빵이라는 말은 그것을 만드는 재료 관건이 술이라는 데서 유래하거니와 막걸리를 넣어 우째우째 부풀려 굽는다. 이 술빵 역시 완두콩 밑에다 잔뜩 꼬나박고는 막걸리로 만들었단다. 같은 가게서 산 이 찐빵을 우리는 어느 가야고분에 가서 비닐봉다리를 뜯고는.. 2020. 7. 26.
아시바가 이룩한 현재, 땜질 천국 문화재 이탈리아 곳곳에도 아시바 천국이다. 최소 수백살은 더 먹은 것들이 썩어 문드러지니 방법이 있겠는가? 땜질에 땜질을 거듭한다. 뭐 옛날이라 달랐을 법 한가? 한반도 사정을 보면 토기도 땜질 자국 천지다. 미켈란젤로 시스티나 예배당 성화? 웃기는 소리하덜 마라. 지금 우리가 보는 미켈 작품이 진짜 미켈 작품이라 생각하는가? 맹랑한 소리다. (2017. 7. 26) *** 한국문화재현장을 배회하는 원형은 실상 성립불가능한 환상 이요 신기루다. 함에도 없는 신기루 찾아 원형이 훼손되었네 마냐는 타령이 지금 이 순간에도 굿판을 벌인다. 원형? 있니? 실상 한국문화재가 말하는 원형이란 초창기 때 모습을 말하는데 이는 후대 보축수리 보강을 쓰레기 취급한다. 문화재란 무엇인가? 초축인가? 개소리다. 그것은 초축 이래 .. 2020. 7. 26.
더버서 욕도 이모티콘으로 변한 수니온 베이 더버 디질 듯더버서 욕도 안나와여 ㅆㅂ(2017. 7. 26)아테네가 똬리를 중턱에 튼 그리스 무슨 반도 끄터머리를 수니온 베이 Sounion Bay 라 하는데 이곳엔 고대 그리스 시대 바다의 절대권력 포세이돈 한테 봉헌한 사원이 있었으니 현재는 그 터와 기둥을 비롯한 건축 얼개들만 갠신히 남았다.3년전 아마 이맘쯤 저길 간 모양이라 참말로 무데위에 고생한 기억이 아련하거니와 그래도 좋았단 말은 해둔다.왜?난 백수였으므로.한데 기분 잡치는 일이 저때 생겼다.복직소송에서 최종 승소해 복귀가 시간 문제였던 까닭이다.더 놀고 싶었다한데 이 멍충한 당시 연합뉴스 경영진이 등신같은 짓을 하는 바람에 복귀가 빨라졌다.씨불놈들이다.그리 소송을 못하냐? 2020. 7. 26.
풋고추는 한민족 특권? 이 풋고추 된장 문화도 같은 한국문화권이라 해도 조금씩 다른 느낌이 있고 무엇보다 개인 체질에 따른 차이도 커서 나는 매움에 질색하는 편이라 조금만 매운 기운이 있어도 금새 딸국질로 발전해 모름지기 그 직후엔 물을 마셔야 한다. 그런가 하면 어떤이는 청량고추까지 찍어 먹는 사람도 있다. 대체로 보면 내 고향에선 매운 맛이 없는 풋고추를 선호하지만 저짝 남도를 보면 아예 그런 풋고추는 구경조차 하지 못해서 왜 그리 매운것만 한두개 딜링 내놓는지 참말로 이해할 수 없더라. 그건 그렇고 풋고추 자체에 환장하는 이런 문화가 다른 데서는 어떤지 모르겠다. 내가 겪은 데를 기준으로 하면 그런 문화 자체를 못 본 듯 하다. 어떤지 모르겠다. 풋고추는 고사하고 생식문화 자체가 우리가 특이하게 발달하지 않았나 한다. 상.. 2020. 7. 26.
노랑꽃 찾아 심은 바실라 해바라기 빌빌 싸다 해바라기로 대박났다는 경주 토함산 기슭 대토지 호족 박임관한테 용심 나서 전화를 했더랬다. "승님 대박쳤다매? 돈 긁어모은다매?" "몰라 사람들이 막 와. 손이 모질라." "그 머리로 우째 해바라길 생각했소?" "저수지가 앞에 있자나. 그래서 꽃을 심칼 생각을 했는데 기왕이마 노랑걸 심칼라캤지. 봄엔 유채 여름엔 해바라기란 생각이 들데? 그래서 봄에 씨뿌리뿟지." "커피만 팔아선 아까불낀데? 머팔아여?" "팥빙수가 잘 나가여. 일할 사람이 엄써" "사진재이 일감 엄써 손가락 빨고 있디마이 딜다 써" 바실라라는 이름 내걸고 아부지한테 물려받은 논에다가 그럴 듯한 한옥 숭내낸 펜션과 그 아래다가 커피숍 열었다가 파리날리던 박임관. 주변이 모조리 자기 논이라 농사 짓긴 싫고 잔머리 굴려 해바라기 씨.. 2020. 7. 26.
문수산 그림자를 담은 용담저수지 용인8경, 양양8경, 속초8경, 단양8경..등등... 지역의 명소를 개발하고 홍보하여 관광지화 하기위해 어느때부터인지 전국 모든 지자체마다 8경 만들기에 여념이 없었던 것 같다. 용인도 마찬가지로 용인8경이 있었으나, 이름만 있을 뿐 제대로된 홍보나 관리도 없었다. 지난해 새롭게 정비한다고 하여 新용인8경을 만들었는데 요즘 대세인 사진찍기 좋은 장소와 관광 정책과 맞물려 기존 3경인 “곱든고개와 용담조망”은 “기흥호수공원”으로 바꼈다. (5경 “선유대사계”, 7경 “비파담만풍”도 “용인농촌테마파크와 연꽃단지”, “용인자연휴양림”으로 변경) 사실, 이런 지역 8경이 얼마나 지역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지 잘 모르겠고, 더군다나 용인 8경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었다. 그런데 오늘 아침 우연히 본 용담저수지는 비.. 2020. 7. 26.
탈북자에 코로나 책임을 거론한 김정은 김정은, 최대비상방역체제 채택…"코로나 의심 탈북민 귀향"(종합) | 연합뉴스 김정은, 최대비상방역체제 채택…"코로나 의심 탈북민 귀향"(종합), 배영경기자, 북한뉴스 (송고시간 2020-07-26 07:18) www.yna.co.kr 모든 권력은 그 권력 내부에 초래하는 위기를 우선은 외부로 돌리기 마련이라 그에서 북한 역시 단 하나의 예외도 용납치 아니한다. 중앙통신 보도에 의하면 "개성시에서 악성비루스(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월남 도주자가 3년 만에 불법적으로 분계선을 넘어 7월 19일 귀향하는 비상사건이 발생하였다" 하면서, 문제의 탈북민은 3년 전 한국에 입국했다가 지난 7월 19일 군사분계선을 넘어 개성을 통해 북한으로 들어갔는데, 그가 코로나19 의심 환자라고 한다. 이 보도를.. 2020. 7. 26.
이 친구가 주는 교훈 간단하다. 살빼레이 (2014. 7. 26) *** 뜨끔하시는 분이 꽤 있을 줄로 안다. 당시 이에 대한 반응 중에 이런 게 있었다. 근처에 핼쓰 없나보네 과체중 콜레스톨.. 2020. 7. 26.
봉선대전(封禪大典), 그 기념물로서의 진흥왕 ‘순수비’ 봉선대전(封禪大典), 그 기념물로서의 진흥왕 ‘순수비’ 김태식(Kim, Tae-Shik) 《백산학보》 68 (2004): 57-94 *** 봉선封禪이란 무엇인가? 하늘에서 지상의 독점적인 지배권을 부여받았다고 간주되는 지상의 절대군주가 그에 보답하고자 하늘에서 가장 가까운 산상에 올라 지내는 제사다. 따라서 봉선이 감사하는 대상은 천신지기天神神祗다. 봉선이란 이처럼 간단하다. 진흥왕이 왜 산상에 올랐는가? 이 또한 실로 자명하다. 봉선이다. 봉선을 거행하고자 하고 많은 곳 집어치고 산상에 오른 것이다. 이 간단한 것을 모르는 자가 천지빼까리다. 헛소리가 난무한다. 예컨대 주로 불교사상사를 공부한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 최병헌은 이들 순수비를 염두에 두고서는 "또한 순수비의 수립 장소로서 북한산 비봉·황.. 2020. 7. 26.
[독설고고학] (3) 토기에 환장한 사람들 문 : 고고학 글에 왜 이렇게 그릇 설명과 그림이 많아요?답 : 무식해서 그래. 그릇 말곤 할 얘기가 없거든.문 : 고고학이 다 이래요?답 : 아냐. 한국이랑 일본만 그래.문 : 한국 일본만 왜 그런데요?답 : 무식해서 그래. 그릇 말곤 할 줄 아는 얘기가 없거든.   문 : 그릇이 그렇게 중요해요?답 : 몰라 그리 말하데? 저 놈들이 아직 20세기 21세기 역사는 손을 거의 안댔는데, 백년 지나면 아마 오늘날 우리가 쓰는 그릇 갖고 이 시대를 연구할 거야.문 : 그릇 그림들이 왜 그리 복잡해요? 정신이 없어요.답 : 안 읽히게 하려 해서 그래. 누구나 쉽게 읽고 이해하면 지들이 할 일이 없다 생각해서 그래. 암것도 아닌 거, 그림 안 그려도 되는 것까지 그림 그려놓으면 괜히 있어 보이거든. 쉽게 하면 .. 2020. 7. 25.
말벌과 쟁투하는 무진장 장수(1) 무진장소방서 황당했다. 장수행을 앞에 두고선 어디를 봐야 할지 구글 검색기에 장수 라는 두 글자 박았더니 이렇다. 장수풍뎅이 장수하늘소에 장수말벌까지 처참히 곤충들한테 짓밟힌다. 같은 남도 땅 곡성谷城은 하필 영화까지 로케이션이 그짝에서 있은 여파에 곡성哭聲으로 둔갑하는 바람에 그 군수가 그 哭聲이 아니라고 신문지상에 나서 谷城을 변호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더니 이짝은 longevity 에 밀리고 장수풍댕이와 장수하늘소 먹이가 되었는가 하면 장수말벌에 여러 방 쏘이더니 빈사 상태라 누군가 이걸 보더니 한껏 조롱하기를 너가 명사냐 해서 맹사가 아이고 석학이라고 쏘아붙이긴 했다만 그래도 명사랍시고 초대되어 그짝을 특강한다는 마당에 그짝을 훑지 아니할 수도 없어 마침내 그 자리 코앞에 두고는 현지행을 결행키로 했던 터였다. .. 2020.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