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854

모란 피고지는 스무날, 온 장안이 발광하노라 모란꽃 향기[牡丹芳] [唐] 백거이(白居易, 772 ~ 846) / 김영문 選譯 모란꽃 향기롭네 모란꽃 향기로워홍옥으로 만든 방에 황금 꽃술 터졌네천 조각 붉은 꽃잎 노을처럼 찬란하고백 가지 진홍 꽃이 등불처럼 휘황하네땅 비추며 이제 막 비단 자수 펼칠 뿐바람 속에 난향 사향 주머니도 차지 않았네신선 옥나무도 창백하게 빛을 잃고서왕모 복사꽃도 향기를 잃는다네밤이슬 동글동글 보랏빛 펼쳐내고아침 태양 반짝반짝 빨간빛 비춰내네보라 빨강 두 색 사이 짙고 옅은 색조 섞여마주보고 등지면서 온갖 모습 뒤바꾸네고운 꽃잎 다정하게 부끄러운 얼굴 감추고누운 꽃떨기 힘없이 취한 모습 숨기네어여쁘게 웃는 얼굴 고운 입 가린 듯생각 잠겨 원망하며 애간장 끊는 듯농염하고 귀한 자태 진실로 절색이라잡다한 화초들에 비교할 수 없어.. 2018. 5. 30.
모란, 장안을 호령한 방탄소년단 한시, 계절의 노래(49) 모란을 감상하다[賞牡丹] [唐] 유우석(劉禹錫, 772~842) / 김영문 選譯評 뜰 앞 작약 요염하나격조가 없고 못 위 연꽃 깨끗하나박정한 모습 모란만 진정으로국색일지라 꽃 피는 시절이면도성이 들썩 庭前芍藥妖無格, 池上芙蕖淨少情. 唯有牡丹眞國色, 花開時節動京城. 모란꽃은 과연 향기가 없을까? 선덕여왕은 당나라에서 보내온 모란꽃 그림에 나비가 없는 것을 보고 모란꽃은 향기가 없다고 판단했다. 이 이야기는 선덕여왕의 지혜를 찬양하는 에피소드로 역사책에 실려 전한다. 실제로 모란꽃을 심었더니 정말 향기가 없어서 나비가 오지 않았다는 내용과 함께. 하지만 내가 맡아본 모란꽃 향기는 매우 짙었다. 모란이 부귀를 상징함은 화려하고 큰 꽃과 함께 그 짙은 향기에서 연원한 것처럼 느껴질 정.. 2018. 5. 30.
버드나무 사이로 보는 달 한시, 계절의 노래(48) 유조변에서 달구경 하며[柳條邊望月] [청(淸)] 현엽(玄燁: 강희제康熙帝) / 김영문 選譯評 비 개인 높은 하늘저녁 무지개 휘영청 달빛 속에변방 길 머네 봄바람은 적막하게버들에 불고 차가운 빛 흩날리며먼 하늘 넘네 雨過高天霽晚虹, 關山迢遞月明中. 春風寂寂吹楊柳, 搖曳寒光度遠空. (2018.05.29) 유조변柳條邊은 청淸나라 조정에서 자신의 발상지 만주 지방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 일종의 봉금(封禁) 경계다. 산해관山海關에서 시작하여 동북 방면으로 길게 낮은 토담을 쌓고 그곳에 버드나무를 심은 후 유조변이라고 불렀다. 청나라 4대 임금 강희제康熙帝는 세 차례 몽골 부족 준가르 족장 갈단葛爾丹을 친정하는 등 자주 변방으로 행차했다. 관산關山은 본래 지금의 닝샤寧夏 남부 류판산六盤山.. 2018. 5. 29.
당신은 과부 같은 마누라 한시, 계절의 노래(47) 아내에게[贈內] 당(唐) 이백(李白) / 김영문 選譯評 일 년삼백육십일을 날마다 취해곤죽이 되니 그대 비록이백의 부인이나 태상의 아내와무엇이 다르겠소 三百六十日 日日醉如泥 雖爲李白婦 何異太常妻 두보는 이백을 “주중선(酒中仙)”이라고 했다. 오죽하면 주태백(酒太白)이라는 말이 나왔을까? 이백의 「장진주(將進酒)」나 「월하독작(月下獨酌)」 같은 시는 술과 시가 어우러진 지극한 경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고주망태 이백의 아내는 어떤 심정이었을까? 나도 젊은 시절 두주불사의 세월을 보낸 적이 있다. 만취해서 다음날 일어나지 못하고 누워 있으면 집안에 찬바람이 분다. 후한(後漢) 사람 주택(周澤)은 종묘제사를 관장하는 태상(太常) 벼슬을 맡아본 적이 있다. 사람이 고지식해서 1년 360일.. 2018. 5. 29.
아이유가 바꾼 베네치아 어촌마을 부라노 《나만 못본 구라파 유람기》 (10) 뼁끼칠 마을 부라노(3)아이유가 바꾼 어촌마을 휴대폰 촬영분을 포함해 근자 과거 사진들을 정리하다가 2013년 10월 1일 휴대폰에 내장된 사진 중에 느닷없이 아이유가 등장하는 몇 장을 발견했다. 보니 아이유가 증축 이전 수송동 연합뉴스 사옥 4층 당시 편집국을 찾았으니, 2018년 5월 현재 이 회사 부사장 이병로 선배가 당시 편집총국장 재직 시절이라, 둘이 인사하는 장면이 있고, 나 역시 그를 붙잡고 두 장 기념촬영을 했지만, 아쉽게도 두 장 모두 사진은 심하게 흔들렸다. 나아가 마누라와 아들놈 형은이 앞으로 각기 친필사인한 종이가 있는 걸 보니, 아마도 무슨 계기로 인터뷰가 진행되는 자리에서 내가 부탁해 받은 사인이 아닌가 한다. 아이유는 1993년 5월 16일.. 2018. 5. 27.
차현 국선암은 어디일까? 《추강집(秋江集)》을 읽다가 추강(追江) 남효온(南孝溫·1454∼1492)이 병오년(1486) 섣달그믐을 공주(公州) 국선암(國仙庵)이라는 절 암자에서 보낸 시를 목도하곤 각종 검색기로 국선암을 돌리는데 어딘지 걸리지 않는다. 《승람(勝覽)》에도 안 보인다. 그 위치로 보아 마곡사(麻谷寺) 암자일 가능성이 큰데, 관련 지리지나 마곡사 사적기를 더 찾아봐야겠다. 추강이 차현(車峴), 곧 지금의 차령산맥을 넘으면서 쓴 시도 있는 것으로 보아 그럴 가능성이 있다. 추강 당시 조선 전기에는 있었던 국선암이 후대 언제인지 완전히 소실됐을 가능성도 있고, 나중에 이름을 바꿨을 가능성도 있다. 國仙庵은 명칭으로 보아 산중 암자이며, 仙이라는 글자로 보아서는 구중심처에 있었던 듯하다. 아래 《추강집》에 수록된 일련의 .. 2018. 5. 27.
천지 끝 만나러 한층 한층 올라 한시, 계절의 노래(44) 관작루에 올라[登鸛雀樓] [당(唐)] 왕지환(王之渙) / 김영문 選譯評 태양은 산에 기대 모습 감추고황하는 바다로 흘러드누나가뭇한 천 리 끝을 다 살펴보려또 다시 한 층을 더 올라가네 白日依山盡, 黃河入海流. 欲窮千里目, 更上一層樓. 넓고 큰 안목으로 미래를 바라봐야 하지만, 인간의 안목은 얼마나 짧은가? 공자는 태산에 올라 천하가 작다고 했다. 나는 우리 집 뒷산에만 올라도 천하가 드넓음을 느낀다. 옛 선비들은 높은 곳에 오르는 일을 학문에 비유했다. 한 발 한 발 더 높은 경지로 힘겹게 올라가는 모습이 수양하고 공부하는 과정과 같다고 봤기 때문이다. 우리 눈앞의 평화 논의도 더 높고 넓은 안목으로 한 발 한 발 앞으로 나아가야 하리라. (2018.05.26.) 첫째 구와 둘.. 2018. 5. 27.
저 달빛은 내 맘 알까? 한시, 계절의 노래(43) 수양곡(壽陽曲) [원(元)] 마치원(馬致遠) / 김영문 選譯評 구름은 달 가리고바람은 풍경 희롱하니 두 가지 모두마음을 처절하게 하네 은촛대 심지 자르고이 심사 써내려다 장탄식 내뱉으며등불 불어 꺼버리네 雲籠月, 風弄鐵, 兩股兒助人凄切. 剔銀鐙, 欲將心事寫, 長吁氣, 一聲吹滅. 원나라 때 유행한 새로운 민요 산곡(散曲)이다. 그 중 가장 짧은 형식을 소령(小令)이라고 한다. 시로 치면 절구(絶句)에 해당한다. 처절하게 슬픈 마음은 어떻게 묘사할 방법이 없다. 등불조차 꺼버리고 어둠 속으로 침잠할 뿐. 월(月), 철(鐵), 절(切), 멸(滅)로 이어지는 입성(入聲) 운자(韻字)가 처절한 슬픔을 더욱 강화한다. (2018.05.25.) 중국 시는 매너리즘에 빠질 때마다 민간에서 새.. 2018. 5. 26.
Tomb of King Shinmum Located in the suburbs of Gyeongju City 2018. 5. 25.
쏘가리는 살이 찌는데 찔레는 만발하고 한시, 계절의 노래(42) 시내 마을 즉흥시[溪村卽事] 두 수 중 둘째 [남송(南宋)] 왕자(王鎡, ? ~ ? ) / 김영문 選譯評 깊은 봄 물 따뜻해쏘가리 살찌는 때 바구니 찬 산골 아이고사리 캐 돌아오네 산길 내내 꿀벌 소리끊임없이 들리나니 가시 달린 찔레꽃이산천 가득 피어 있네 春深水暖鱖魚肥, 腰筥山童采蕨歸. 一路蜜蜂聲不斷, 刺花開遍野薔薇. 쏘가리 살찌는 때에 왜 고사리를 캐는가? 쏘가리는 한자어로 궐어(鳜魚)다. 고사리는 한자어로 궐(蕨) 또는 미(薇)라고 한다. 궐어(鳜魚), 채궐(采蕨), 야장미(野薔薇)의 연결이 교묘하다. 봄이 깊어 시냇물이 따뜻해지면 쏘가리가 살찐다. 같은 때 산중에는 고사리가 살찐다. 보릿고개에 이 두 먹거리를 섞어 끓이면 무엇이 될까? 또 이 시절엔 온 산천 가득 찔레꽃.. 2018. 5. 25.
연지 붉게 칠한 찔레꽃 한시, 계절의 노래(41) 찔레꽃[野薔薇] [송(宋)] 양만리(楊萬里) / 김영문 選譯評 붉은 꽃 지고 녹음이벌써 짙을 때 길 가의 산꽃도드물어졌네 추레하게 남은 봄이자상하게도 찔레꽃에 연지를 짙게 칠했네 紅殘綠暗已多時, 路上山花也則稀. 藞苴餘春還子細, 燕脂濃抹野薔薇. (2018.05.22.)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 고향/ 언덕 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가수 백난아의 「찔레꽃」이란 대중가요다. 이 시에서도 “찔레꽃에 연지를 짙게 칠했네”라고 읊었다. 찔레꽃은 대개 흰색 꽃잎에 연노랑 꽃술인데 왜 붉다고 했을까? 드물지만 붉은 찔레꽃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오히려 고향을 그리는 마음이 사무쳐서 흰 찔레꽃을 붉게 인식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나는 철이 들 무렵부터 어머니께서 더러 「찔레꽃」.. 2018. 5. 25.
은빛 준어가 뛰어오르면 배부른 누에는 잠을 잔다 한시, 계절의 노래(40) 4월(四月) [명(明)] 문팽(文彭) / 김영문 選譯評 강남의 소만 때가나는 좋아라 처음 오르는 준치가얼음 빛이네 봄누에 잠 든 후오디새 울고 새로 모낸 벼 논 모두초록 천지네 我愛江南小滿天, 鰣魚初上帶氷鮮. 一聲戴勝蠶眠後, 插遍新秧綠滿田. 은빛 준어가 뛰어오르는 모습은 상상이 어렵지는 않다. 역광을 배경으로 한 해질녁 강물을 바라보면 이런 풍광이 요즘도 드물지는 않다. 때는 소만. 24절기 중 하나로 만물이 점차 성장하기 시작해서 가득찬다 뜻이다. 여름 입구인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든 절기로 양력 5월 21일 무렵이다. 벼가 한창 자라기 시작하고, 누에 역시 왕성한 식욕을 자랑한다. (2018.05.22.) 늦봄과 초여름이 교차하는 소만小滿 때 중국 강남 강촌의 일상 풍.. 2018. 5. 23.
투어리즘 포비아 tourism phobia 번진 베네치아 《나만 못본 구라파 유람기》 (9) 뼁끼칠 마을 부라노(2)미어터지는 베네치아를 들이칠 한국 관광객 근자 보도를 보니, 인천과 베네치아를 운항하는 아시아나 직항이 생긴 모양이다. 이에 의하면 지난 5월 1일을 시발로 주 3회, 곧 화·수·금 일정으로 베네치아에 신규 취항한다는 것이다. 이에 즈음해 이 항공사는 오는 8월 30일부터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도 주 4회 화·목·토·일 여객기를 보낸다고 한다. 이 두 노선에는 B772 항공기를 투입된다. 퍼스트클래스 좌석을 없애고 비즈니스·이코노미 투 클래스 체제로 전환한 기종이며, 비즈니스클래스는 180도로 펼 수 있는 침대형 좌석 '비즈니스 스마티움' 좌석으로 업그레이드했다는 것이다. 이전까지 이탈리아를 오가는 직항은 로마와 밀라노 공항 두 군데 밖에 없었다니.. 2018. 5. 23.
부처님은 샤워를 좋아해 한시, 계절의 노래(39) 4월 8일 절구 세 수[四月八日三絶] 중 둘째 [송(宋)] 유극장(劉克莊) / 김영문 選譯評 아홉 용이 향기로운 물을 토하여아기 부처 씻긴 일은 벌써 천 년 전참된 도는 본바탕에 때가 없는데해마다 씻김을 그치지 않네 九龍吐香水, 茲事已千秋. 道是本無垢, 年年浴未休. (2018.05.22.) 부처님은 고대 인도 카필라국(迦毘羅, Kapilavastu) 슈도다나왕(淨飯王, Śuddhodāna)의 태자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마야부인(摩耶夫人, Māyā)이 당시 풍습에 따라 아이를 낳기 위해 친정으로 가던 도중 룸비니 동산(藍毗尼園)에 이르렀는데, 이 때 산기를 느끼고 무우수(無憂樹, asoka) 가지를 잡자 부처가 모후의 오른쪽 옆구리로 태어나 그곳에 막 피어난 연꽃 위에 우뚝 .. 2018. 5. 22.
비 온 뒤 우후죽순 같은 벼 한시, 계절의 노래(38) 교외로 나가[出郊] [송(宋)] 공평중(孔平仲) / 김영문 選譯評 밭둑 아래 샘물 졸졸봄비는 맑게 개고 무수한 새 벼 포기일제히 살아났네 한 해의 농사는지금부터 시작되어 서풍이 불어올 때옥 열매 맺으리라 田下泉鳴春雨晴, 新秧無數已齊生. 一年農事從今始, 會見西風玉粒成. (2018.05.21.) 어젯밤과 오늘 아침까지 내린 봄비에 냇물이 넉넉하게 불어났다. 한창 모내기에 바쁜 농촌에 이보다 더 큰 선물은 없다. 지금은 거의 기계로 모내기를 하지만 옛날에는 다 손으로 심었다. 이 논둑에서 맞은편 논둑까지 못줄을 길게 치고 농군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선다. 대개 오른손잡이가 많으므로 먼저 오른편으로 모를 심어 나가다가 옆 사람이 심어놓은 자리에 닿으면 다시 한 줄 앞으로 나와 반.. 2018. 5. 21.
창문 아래 선잠보다 짧은 봄 한시, 계절의 노래(37) 절구(絶句) 아홉 수 중 다섯째 [명(明)] 유기(劉基) / 김영문 選譯評 홰나무 잎 어둑어둑낮은 담장 덮었고 미풍에 가랑비 내려보리 추수 날씨 춥네 어찌하여 한 해 석 달봄날의 경치는 한가한 창문 아래낮 꿈보다 짧을까 槐葉陰陰覆短牆, 微風細雨麥秋凉. 如何一歲三春景, 不及閑窗午夢長. 봄이 왔는가 싶더니 금방 여름이다. 찰나 같기가 선잠보다 더하다. 비단 봄뿐이겠는가? 우리네 인생이 그렇지 아니한가? 돌아보니 금새 반세기요, 금세 칠십이다. 짙은 녹음과 소나무 숲으로 그 찰나를 극복하고자 몸서리친 승려들이 잠들었다. 남가지몽(楠柯之夢)을 이처럼 훌륭한 시로 풀어냈다. (2018.05.20.) 첫째 구 ‘홰나무[槐]’와 마지막 구 ‘낮 꿈[午夢]’이란 시어로 미루어 보건대 이 시는.. 2018. 5. 21.
아침엔 흐드러진 꽃이 저녁이면... 이태백의 고풍古風이라는 제하의 시 일부다. 天津三月時 천진교에 삼월이 오니 千門桃與李 집마다 복사오얏 만발하네朝爲斷腸花 아침엔 애 끊는 꽃이었다가 暮逐東流水 저녁엔 동쪽으로 흐르는 물 따라가네 前水複後水 앞선 물 뒤따르는 물이 밀어내듯古今相續流 옛날과 지금은 이어 흐르네新人非舊人 새로운 사람 옛 사람과 다르나 年年橋上遊 해마다 다리에선 노니며 즐기네 태백은 쉬운 말을 참으로 쉽게 구사하는 재주가 특출나거니와, 그의 시는 대부분 실은 철리哲理의 특징을 지닌다. 이 고풍 역시 그러해서, 어거지 연상 기법을 통해 어거지 삶의 지혜 혹은 도덕을 설파하는 후대 성리학 계통과는 결이 완전히 다르다. 2018. 5. 21.
조화옹 반딧불이 한시, 계절의 노래(34) 반딧불[詠螢火詩] [남조(南朝) 양(梁)] 소역(蕭繹·元帝) / 김영문 選譯評 사람에게 붙으면뜨겁지 않나 의심하고 풀 속에 모여도연기 없어 의아해하네 날아와도 등잔 밑은여전히 어둡지만 날아가선 빗속에서반짝이며 불타네 着人疑不熱, 集草訝無煙. 到來燈下暗, 翻往雨中然. (2018.05.18.) 내 어릴 때 고향 영양의 상징은 담배와 고추였다. 실제로 거의 집집마다 황초굴(엽연초 건조장)이 있었고, 거의 모든 밭에 고추를 심었다. 이제 담배는 사양 산업이 되었고 고추 농사만 남아 늙어가는 고향의 상징으로 남아 있다. 그런데 2천 년 대 이후 지역 관광산업을 활성화하면서 별, 반딧불이, 일월산, 산나물 등을 특화 아이템으로 내세워 관광객을 유치하기 시작했다. 모두 영양이 산골 오지이고.. 2018. 5. 20.
시골길 가다보니.. 시골길을 가며(村行) 당(唐) 이중(李中) / 김영문 選譯 눈길 끝까지 푸르른보리밭 가지런하고 들판 연못 넓은 물에온갖 오리 내려 앉네 햇볕이 따뜻하여뽕나무 숲 우거진 곳 한가하게 홀로 서서오디새 울음 듣네 極目靑靑壟麥齊 野塘波闊下鳧鷖 陽烏景暖林桑密 獨立閑聽戴勝啼 2018. 5. 20.
여름의 전령사 연꽃 한시, 계절의 노래(35) 초여름에 끄적이다[初夏戲題] [당(唐)] 서인(徐夤) / 김영문 選譯評 만물 기르는 훈풍이새벽을 쓸자 시나브로 연꽃 피고장미는 지네 초록빛 애벌레도장자 꿈 배워 남쪽 정원 나비 되어훨훨 나르네 長養薰風拂曉吹, 漸開荷芰落薔薇. 靑蟲也學莊周夢, 化作南園蛺蝶飛. (2018.05.19.) 벌써 30도를 오르내리는 날씨가 이어진다. 찬란했던 봄꽃은 간 곳이 없고 동네 울타리에 빨간 장미가 초여름을 단장하고 있다. 이제 곧 장미도 지고 곳곳 연못에는 어여쁜 연꽃이 만발할 터이다.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시간은 환몽처럼 흘러간다. 우리의 현실은 또 다른 어떤 세상의 내가 꾸는 꿈이 아닐까? 당나라 심기제(沈旣濟)는 『침중기(枕中記)』에서 노생(盧生)이 겪었다는 한 가지 일화를 거론한다. 노.. 2018. 5. 20.
자꾸 뜯는 편지 가을에 이는 그리움[秋思] 당唐 장적張籍(768~830) 洛陽城裏見秋風 낙양성에 가을 바람 일어나기 시작해 欲作家書意万重 집으로 편지 쓰는데 갖가지 상념 이네 復恐忽忽説不盡 혹시 서두르다 할 말 하지 못했나 싶어 臨行人発又開封 길 떠나는 사람 붙잡고 편지 다시 뜯네 개시끼, 처녀 적에 나타나지 왜 지금? 2018. 5.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