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679

서울 사대문 안 지하의 비밀 (7)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앞에서 서울 시내에 홍수가 잦았으며 그 정도가 얼마나 심했던가 하면 장마피해로 종각의 종이 토사로 한길 정도 묻힐 정도였다는 이야기를 했다. 사실 《승정원일기》 등 당시 기록을 보면 조선시대 한양성의 홍수피해에 대한 기록이 자주 보인다. 기호철, 배재훈 선생이 찾아 낸 당시 기록의 편린을 가지고 지도에 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위 그림에서 A, B, C, D는 우리가 기생충 샘플링을 해서 조선시대 지층에서 기생충란을 확인한 지역이다. 빨간색 선은 청계천과 그 지류이다. 노란색 화살표는 청계천 본류를 가리킨다. 보라색 부분은 성안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고 사서에서 확인 가능한 지역들이다. 경복궁과 경희궁이 포함되어 있다. 기타 노란색 동그라미 부분은 사서.. 2019. 1. 10.
비취 구름 두르고 비단 병풍 풀어놓은 동백 한시, 계절의 노래(239) 동백(山茶) [宋] 왕자(王鎡) / 김영문 選譯評 밀납 봉오리 녹색 꽃받침바야흐로 햇살 비쳐 학 정수리 붉은 빛을천 가지 피워내네 눈 개이기 기다려봄소식 깊이 스미니 비취 구름 에둘러서비단 병풍 펼쳐놓네 蠟包綠萼日才烘, 放出千枝鶴頂紅. 待得雪晴春信透, 翠雲圍繞錦屏風. 어느 계절인들 꽃이야 아름답지 않으랴만 무채색 겨울에 피는 동백은 진정 경이롭다는 수식어에 합당하다. 겨울 내내 짙푸른 빛을 유지하는 잎은 송백의 기상을 뛰어넘으며, 단정학(丹頂鶴)의 정수리 같은 붉은 꽃잎은 열정의 장미 빛깔에 뒤지지 않는다. 삭막한 흑백의 계절에 송백의 기상에다 장미의 열정을 더했으니 이보다 더 처연한 아름다움이 어디 있으랴? 아직은 매운 삭풍이 천지간을 휘감고 곳곳에 쌓인 눈이 혹한의 기세를.. 2019. 1. 10.
부뚜막 장작불에 서린 아버지 불구덩이 앉을 때마다 아버지가 생각나고 당신 저리 담뱃불 붙이던 모습도 떠오른다. 살가움과는 거리가 먼 아버지와는 거리가 너무나 컸다. 후회한들 어쩌겠는가? 저리 나는 쇠죽을 끓였으며 저 불 앞에서 영문법을 공부한 날이 있고, 링컨의 게티즈버그 연설문을 외기도 했다. 지금은 하나도 기억에 나지 않고 적벽부 앞대가리만 오락가락한다. 임술지추 칠월기망 소자여객(壬戌之秋, 七月旣望, 蘇子與客)........................ *** 작년 오늘 나는 저랬다. 2019. 1. 10.
김해 봉황동유적의 집모양토기와 말발걸이 문화재청은 보도자료를 대개 오전 9시쯤에 배포한다. 그런 문화재청발로 오늘 아침에는 라는 소식이 전해졌으니, 이를 우리 공장 문화재 담당 박상현 기자가 처리했다. 우선 기사를 송고하고선, 내가 문화재청에서 배포한 자료를 훑어봤다. 기사에서도 충분히 언급되었듯이,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실시한 이번 발굴조사에서 초점은 유물 수습에 가 있으니, 저렇게 판 땅속에서 건진 유물 중에서도 집모양토기와 말발걸이 각각 1점이 이채롭다 해서, 그것을 발굴조사단이 보도자료로 만들어 자기네 성과를 선전하려 했음을 봤다. 두 유물 모두 나름 의미가 있으니, 일본고고학계에서 수입한 용어 그대로 가형토기(家形土器)라고도 하는 집모양을 본떠 만든 토기는 박상현 기자가 정리했듯이, 이런 가야유물 중에 알려진 것이라곤 9점에 지나지 .. 2019. 1. 9.
서울 사대문 안 지하의 비밀 (6)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육조거리. 서울역사박물관 디오라마. 광화문에서 남쪽으로 양편에 중앙 정부 관청들이 배치되어 있는 명실상부한 조선왕국의 정치문화적 중심지이다. 광화문쪽에서 육조거리를 바라본 장면. 서울역사박물관 디오라마. 광화문 궁장아래에서도 기생충란이 나왔다. 임진왜란때 경복궁이 파괴된 후 대원군때 다시 중건되기전 까지 기간 동안 퇴적된 기생충란으로 설명할 수 있다. 앞에서 이야기 했듯이 기생충란은 발굴 현장 아무곳에서나 발견되지는 않는다. 인구밀도가 높았다고 짐작되는 지역, 행정치소 등의 유적에서 기생충란이 많이 보인다고 했다. 하지만 이렇게 기생충란이 많이 보이는 곳에서도 아무 구역이나 파면 다 보이는 것은 아니다. 나올 만한 곳에서 나온다. 아래 예를 보자. 이 .. 2019. 1. 9.
청와대 인사 브리핑 양식 - 오늘 청와대 비서진 발표의 경우 오늘 청와대가 대통령 비서실장과 정무수석비서관, 그리고 국민소통비서관 세 명에 대한 인사를 발표했다. 정부 고위직 인사는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 이런 인사는 항용 청와대에서 발표하고, 이런 인사는 거의 항용 미리 언론에는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취재의 편의를 위함이다. "미리" 알려주는 것이므로, 이런 인사는 대외로 공표하는 시간이 따로 지정된다. 오늘 청와대 비서진 인사 내용은 오전에 언론에 배포됐다. 그렇다면 그것을 대외로 공표하는 시간은 언제인가? 그것이 대외로 공표, 다시 말해 언론에서 공개하는 시점을 지정하는 일을 엠바고 embargo라 하는데, 오늘 청와대 비서진 인사 엠바고 시간은 오후 4시였다. 이 네 시를 기해 언론은 일제히 오전에 미리 전달받은 인사 내용을 보도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 2019. 1. 8.
조선후기 세책貰冊 연구의 개척자, 오오타니 모리시게(大谷森繁) 兪春東(鮮文大學校歷史文化Contents學科敎授) 오오타니 모리시게(大谷森繁, 1932∼2015). 선생 또한 일반인들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고소설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자로 평가받는 한 명이다. 선생을 여러 가지로 설명할 수 있겠지만, 아래의 글을 인용하는 일로 대신한다. 다카하시 토루[高橋亨]가 일본으로 귀환한 후, 텐리대학[天理大學]에서 길러낸 제자다카하시의 조선 문학 연구를 전후(戰後) 일본에서 계승하고 있는 상징적인 인물광복 이후 한국 땅을 처음 밟은 일본인 학자 한국 고소설 연구에서 오오타니 모리시게는 여러 가지 면에서 독보적이다. 개중에서도 조선후기 소설독자(小說讀者) 연구와 조선후기 세책貰冊 재론(再論)은 압권이라 할 수 있다. 당신의 책 서론에서 밝혔듯이, “소설 연구는 작품과 작자를.. 2019. 1. 8.
[宋] 왕혁(汪革) <세모 서당(歲暮書堂)> 한시, 계절의 노래(237) 세모 서당(歲暮書堂) [宋] 왕혁(汪革) / 김영문 選譯評 서리 겹겹이 계단에흰 비단 펼치고 바람 사나워 피부에소름 돋네 마음도 씩씩하고눈귀 맑으니 생각도 속됨을따르지 않네 霜重階鋪紈, 風凜肌生粟. 心莊耳目淸, 思慮無由俗. 한시를 읽어보면 대체로 봄 상심(春恨), 여름 우울(夏悶), 가을 시름(秋愁), 겨울 곤궁(冬窮)을 묘사한 작품이 많다. 하나 같이 슬픈 감정이고, 쉽게 말하면 사시사철 앓는 소리다. 중국 현대문학 개창자 후스(胡適)가 이른 경향을 일컬어 ‘병도 없으면서 신음한다(無病呻吟)’고 갈파한 것도 근거 없는 비난이 아니다. 중당中唐 시대 한유는 자신의 불우한 친구 맹교를 위로하며 “무릇 만물이 그 평정 상태를 잃으면 운다(大凡物不得其平則鳴)”(「송맹동야서(送孟東野.. 2019. 1. 8.
[唐] 잠삼(岑參) 겨울 저녁[冬夕] 漢詩, 계절의 노래(236) 겨울 저녁[冬夕] [唐] 잠삼(岑參) / 김영문 選譯評 광활한 서리 바람하늘 땅 스쳐 부니 온천과 화정(火井)에도생기라곤 전혀 없네 물 속 용도 얼어붙어몸을 펴지 못하고 남산 위 야윈 잣나무도남은 비취빛 스러지네 浩汗霜風刮天地, 溫泉火井無生意. 澤國龍蛇凍不伸, 南山瘦柏消殘翠. 오늘(1. 6)이 소한(小寒)이니 일년 중 가장 추운 때다. 이른바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은 눈속에 찬”(김종서) 계절이며, 겨울 산이 “눈 속에서 오소리처럼 웅크리고 잠들어 있는”(임보) 시절이다. 화정(火井)은 포항의 천연가스 불처럼 끊임없이 불길이 솟구쳐나오는 불 우물을 가리키기도 하고, 온천을 그냥 화정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또는 추위를 막기 위해 피워놓은 난로나 화덕을 비유할 수도 있다... 2019. 1. 7.
정호(鄭澔, 1648~1736) 〈식영정 중수기(息影亭重修記)〉 장성 獨居翁 기호철이 교열하고, 해제하며 옮기다. 지금은 전남 담양군 광주호 변 경승을 자랑하는 곳에 자리한 누정樓亭인 식영정은 앞선 자료들을 봤듯이 임진왜란 발발 이전인 1560년 무렵에 지었다가 이후 언제인지 폐허가 된다. 이런 상태가 언제까지 지속했는지 알 수는 없지만, 그 시공업자이면서 땅 주인인 김성원(金成遠, 1525~1597)과 그가 이를 지어 짜웅한 그의 장인 임억령(林億齡, 1496~1568)이 죽으면서 이내 폐허 상태로 방치되지 않았나 한다. 그렇다면 임진왜란이 끝나고 어느 시점이 되겠는데, 이번에 소개하는 글은 그렇게 폐허가 된 그 터에다가 송강 정철 후손인 정민하(鄭敏河)가 그 땅을 사들이고는 경종 3년(1723) 무렵, 식영정을 재건한 사정을 정리한다. 중건기를 쓴 사람은 같은 정.. 2019. 1. 7.
김성원(金成遠, 1525~1597) 〈식영정 18영( 息影亭十八詠)〉 장성 獨居翁 기호철 해제하고 번역하고 해설함 이번에 소개하는 〈식영정 18영( 息影亭十八詠)〉은 식영정이라는 정자를 지어 그의 장인 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 1496~1568)이 쉬도록 제공한 서하당(棲霞堂) 김성원(金成遠, 1525∼1597)이 지은 연작시다. 임억령이 쓴 〈식영정기〉에 따르면, 김성원은 1563년에 정자를 지어 식영정이란 이름을 짓고 그 기문을 지었다 했다. 하지만 김성원 행장에 따르면 식영정은 서하당과 같은 1560년에 이미 지었다고 했다. 이런 차이는 아마도 임억령이 그 정자가 대단히 초라함을 강조해서 식영(息影)의 본래 뜻인 은거(隱居)가 지닌 의미를 극대화하고자 해서 쓴 글이기 때문일 것이다. 임억령은 식영정기에서 이 정자가 허름하다 했지만, 1563년에 쓴 시들을 보아도 .. 2019. 1. 7.
화랑세기 비사 - 신라시대의 분방한 성문화 *** 아래는 대한남성과학회 간행 기관지인 《 건강한 성 행복한 삶》 2017년 15권 1호(간행일 2017-07-21) '성칼럼 : 화랑세기 비사 - 신라시대의 분방한 성문화'라는 제목으로 실린 기고문으로 아래서 원문 PDF를 제공한다. 내가 이곳에 전재하는 원고는 이 학회 제출본이라, 혹 최종 간행본의 그것과 차이가 있을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http://www.andrology.or.kr/pdf/2017_01/01.pdf 화랑세기 비사 - 신라시대의 분방한 성문화 김태식 국토문화재연구원 연구위원·역사전문 언론인 “어머니와 아들이 간음한 흉노보단 낫다” “아내를 얻을 때 같은 성씨를 취하지 않음은 구별을 두터이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노(魯)나라 공작이 오(吳)에 장가들고, 진(晉)나라 후작이 성.. 2019. 1. 7.
서울 사대문 안 지하의 비밀 (5)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앞에서도 썼듯이 조선시대 한성부 발굴 현장 지층에서 회충 편충알이 발견되는것은 우리에게 놀라운 일은 아니었다. 하지만 조사의 세부적인 부분으로 들어가면 흥미로운 부분이 꽤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위 유럽 중세 대도시 풍경 그림을 보자. 창문 위에 여인이 거리로 오물을 쏟아 붓는다. 이런 일이 드물지 않았다는 이야기는 이미 했다. 이와 아주 비슷한 상황이 우리 연구에서도 확인되었다. 당시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근무하던 신영문 선생 요청으로 종묘광장-제생동천 발굴현장으로 출동한것이 2010년. 나가 보니 발굴은 잘 진행되어 우리가 기생충 샘플링만 하면 될 정도로 정리되어 있었다. 당시 현장 메모-. 이 발굴현장을 이해하기 위해 2009년 6월 18일.. 2019. 1. 7.
임억령(林億齡, 1496~1568) 〈식영정제영(息影亭題詠)〉 임억령(林億齡, 1496~1568) 〈식영정제영(息影亭題詠)〉 원문 息影亭題咏 石川林億齡 溶溶嶺上雲,纔出而還斂。無事孰如雲?相看兩不厭。右瑞石閑雲。 古峽斜陽裡,蒼龍噴水銀。囊中如可拾,欲寄熱中人。右蒼溪白波。 吾方憑水檻,鷺亦立沙灘。白髮雖相似,吾閒鷺不閒。右水檻觀魚。 有陰皆可息,何地不宜苽?細雨荷鋤立,蕭蕭沾綠蓑。右陽坡種苽。 秋山吐凉月,中夜掛庭梧。鳳鳥何時至?吾今命矣夫。右碧梧凉月。 萬逕人皆絶,蒼松盖盡傾。無風時落片,孤鶴夢初驚。右蒼松晴雪。 雨洗石無垢,霜侵松有聲。此翁猶取適,不是釣周人。右釣坮雙松。 澄湫平少浪,飛閣望如船。明月吹長笛,潛蛟不得眠。右環碧靈湫。 明月蒼松下,孤舟繫釣磯。沙頭雙白鷺,爭拂酒筵飛。右松潭泛舟。 礙日松爲盖,榰頤石作床。蕭然出塵世,六月裌衣凉。右石亭納凉。 孤煙生野店,漠漠帶山腰。遙想松間鶴,驚飛不下巢。右鶴洞暮煙。 牧童倒騎牛,平.. 2019. 1. 6.
고대 동아시아 역사를 아주 쉽게 이해하는 법 古代東アジアの歴史を非常に簡単に理解する方法 百濟 = Lotte 王國 昆支王 = 辛格浩(重光武雄)武寧王 = 辛東彬(重光昭夫) 金正恩 = 淵蓋蘇文勞動新聞 = 日本書紀 唐 = 美合衆國 唐太宗 李世民 = Donald Trump 美合衆國大統領 朝貢·冊封 = 核廢棄·安全保障 2019. 1. 6.
임억령(林億齡, 1496~1568) 〈식영정기(息影亭記)〉 기호철 원문 교정하고 번역하며 해설함 임억령(林億齡, 1496~1568) 〈식영정기(息影亭記)〉 1. 원문 息影亭記 金君剛叔吾友也,乃於蒼溪之上,寒松之下,得一麓,構小亭,柱其隅,空其中,苫以白茅,翼以凉簟,望之如羽盖畫舫,以爲吾休息之所,請名於先生。先生曰:“汝聞莊氏之言乎?周之言曰‘昔者畏影者,走日下,其走愈急而影終不息,及就樹陰下,影忽不見。’夫影之爲物,一隨人形,人俯則俯,人仰則仰,其他往來行止,惟形之爲。然陰與夜則無,火與晝則生,人之處世亦此類也。古語有之曰‘夢幻泡影’。人之生也,受形於造物,造物之弄戲人,豈止形之使影?影之千變,在形之處分,人之千變,亦在造物之處分。爲人者當隨造物之使,於吾何與哉!朝富而暮貧,昔貴而今賤,皆造化兒爐錘中事也。以吾一身觀之,昔之峨冠大帶出入金馬玉堂,今之竹杖芒鞋逍遙蒼松白石,五鼎之棄而一瓢之甘,皐夔之絶而麋鹿之伴。此皆有物弄戲其間.. 2019. 1. 6.
백제 무령왕릉 출토 지석과 매지권 판독 재고( 百濟武寧王陵出土誌石と買地券判讀再考) 백제 무령왕릉 출토 지석과 매지권 판독 재고百濟武寧王陵出土誌石と買地券判讀再考 김영관 忠北大學校 史學科 敎授 出典 : 《韓國古代史探究》 30, 韓國古代史探究學會, 2018, 12. 【抄錄】이 논문은 1971년 발굴된 이후 일치된 견해를 내지 못한 부령왕릉 출토 왕과 왕비의 지석과 매지권을 새롭게 판독하고 해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무령왕 지석의 맨 마지막 글자 한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었다. 무령왕 지석의 마지막 글자는 '穴‘, ‘冢’, ‘印’, ‘家’ 등으로 판독해 왔으나, ‘尔’로 판독했다. 무령왕비 지석 중 과거에 ‘大妃’로 판독했던 글자는 ‘太妃'임을 밝혔다. 매지권 중에서 "百濟斯麻" 다음에 오는 글자는 '王'이 아니라 '主'라는 것을 찾아냈다. 아울러 ‘訟' ‘詣' '詴' ‘.. 2019. 1. 6.
서울 사대문 안 지하의 비밀 (4)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조선시대 한성부의 인구 밀도를 생각하면 당시 토양이 기생충란에 오염이 많이 되어 있는 상태는 당연한것이라는 이야기를 했었다. 그리고 토양이 기생충란에 많이 오염되어 있다는 것은 한성부에 살던 사람들이 그 기생충에 많이 감염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하지만 어떤 경로를 통해서 당시 사람들이 기생충에 계속 반복적으로 감염되었을까? 조선시대 한성부 사람들 사이에 이렇게 기생충 감염률이 높게 유지되는데는 피치 못할 사정이 있었을까? 현대 임상의학에서는 어떤 감염성 질환이 발생했을때 감염경로 및 감염원를 판단하기 위해 해당 환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이것을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study) 라고 한다. 하지만 우리가 조선시대 한성부 토양.. 2019. 1. 6.
흰옷 입은 선녀가 새로 걸친 옷 납매 한시, 계절의 노래(235) 납매(臘梅) [宋] 정강중(鄭剛中) / 김영문 選譯評 흰옷 입던 선녀가새 옷으로 바꾼 듯 봄에 앞서 은은하게노란색으로 물들였네 교교한 섣달 눈과다투려 하지 않고 고독한 어여쁨을그윽한 향에 덧붙일 뿐 縞衣仙子變新裝, 淺染春前一樣黃. 不肯皎然爭臘雪, 只將孤艶付幽香. 섣달에 피는 매화라 납매(臘梅)라는 이름이 붙었다. 중국 원산이라 당매(唐梅)라고도 부른다. 납(臘)은 납월(臘月) 즉 음력 12월이다. 그러나 개화 시기는 좀 길어서 대개 동짓달에서 정월까지 꽃을 피운다. 색깔은 노란색이며 향기가 진하다. 남쪽에는 납매가 피었거나 곧 필 것이다. 겨울에 피는 꽃이라 매화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소속은 매화와 다르다. 즉 매화는 장미과지만 납매는 납매과에 속한다. 중국에 있을 때 겨울에 .. 2019. 1. 6.
정민하(鄭敏河, 1671~1754)〈식영정기(息影亭記)〉 번역 및 해제 : 기호철 ( 독학하는 장성 독거노인 ) 해제 : 담양 식영정기는 그간 임억령(林億齡, 1496~1568)이 쓴 기문만 언급되는 일이 많다. 임억령이 사위인 김성원(金成遠)의 정자를 빌려 몇 년 사용하다 고향 해남으로 돌아가 쓴 〈식영정기(息影亭記)〉는 그 나름으로 식영정 역사를 논할 때 매우 중요한 자료임에 틀림없지만, 실은 그것이 말하는 식영정은 오늘날 우리가 보는 식영정과는 무관하다고 보아도 좋을 정도로 풍모가 크게 변했다. 임억령 시대 식영정은 이후 언제인지 사라지고 200년 가까이 그곳은 빈터로 남았다가, 송강(松江) 정철(鄭澈, 1536~1594)의 후손들이 식영정 터를 매입해 정자를 새로이 짓고 중건했으니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보는 식영정과 직접 연결된다. 식영정 중건기를 송강.. 2019. 1. 5.
조선 숙종 임금이 읊은 북한산성시 6수 번역 : 기호철 ( 장성 독거노인) 임진년(1712, 숙종 38) 4월 10일에 숙종(肅宗)이 북한산성(北漢山城)에 행행(幸行)하여 성첩(城堞)을 두루 관람하고 천혜의 험준함에 감탄하며 시 6수를 지었다. 1. 전쟁에 대비해 마련한 새 산성에 행행하려새벽에 나선 남문엔 북과 나팔 울려퍼지네용맹한 기병 수천명 대오 나누어 호가하니훈훈한 바람에 해는 길어져 여름이 되었네 計深陰雨幸新城曉出南門鼓角嗚驍騎數千分扈蹕風熏日永屬朱明 2. 서문 초입에서 한번 고개 돌려 돌아보니기운솟고 뜻 웅장해져 내 근심 사라지네도성 지척에 금성탕지 같은 성 굳건한데어찌 우리 백성 지키는 서울을 버리겠소 西門初入一回頭氣壯心䧺寫我憂國都咫尺金湯固何棄吾民守漢州 3. 어렵사리 십리 가서 행궁 이르니 우뚝한 시단봉 바로 아래 동쪽이라 노적봉 꼭.. 2019. 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