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974

낙동강 상주보에서 맞는 아침 담대한 발상이다. 단군이래 이런 생각은 없었다. 생각을 벗어던지고 그걸 실행에 옮겼으니 말이다. 이명박이 시도한 사대강사업은 대규모토목공사에 따른 전형의 길을 걷는다. 줄곧 말하듯이 이런 대토목공사가 당대에 칭송받은 적 단 한번도 없다. 이 사대강사업 역시 각종 이유를 댄 훼철毁撤 시도가 있고 실제 더러 훼철이 이뤄지기도 했으니 그네들이 내세운 무기는 언제나 녹조였다. 그리하여 때마다 물고기가 죽었네 물고기가 사라졌네 라는 소식이 덮는다. 단군이래 이런 발상은 없었다. 낙동강은 사대강사업을 통해 비로소 강이 되었다. 2020. 10. 25.
차박하며 시식한 한 알 800원짜리 샤인머스켓 상주 한우로 거나한 저녁하는 자리 어쩌다 내가 샤인머스켓 얘기 꺼내며 이건 김천이 제패했다 자랑하니 상주시장님 탁도 없는 소리라 일갈하며 하는 말씀 샤인머스켓은 상주가 제일 조금 있으니 후식으로 느닷없이 샤인머스켓 세 송이가 나온다. 중국 수출가 기준으로 이거 한 송이가 삼만삼천원이란다. 알고 보니 같은 동네 선배님으로 드러난 상주시 부시장님 보태기를 "이걸 우리가 계산해보이 한 알에 800원이린 마이 무여" 한다. 상주보 차박행사는 코로나팬데믹에 애초 계획한 규모보다 팍 줄이긴 했지만 경북도 상주시 경상북도관광공사가 유기적인 협조로 무난히 개막해 나 역시 기분이 좋다. 더구나 한 알 팔백원짜리 샤인머스켓까지 맛보니 이보다 좋을 수 있겠는가? 거리두기 지키는 안전한 차박…경북 차박 페스타 활짝 2020-.. 2020. 10. 24.
낙동강 상주보 차박 말은 듣기는 했지만 실감과는 거리가 먼 차박이란 걸 체감하러 낙동강 상주보로 행차했다. 장작불 보니 역시 고구마가 있어야겠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왕림했다. 맥주 맛을 모르는 게 한이다. 그래도 반잔은 마셔봤다. 2020. 10. 24.
철이 덜 든 반계리 은행나무 오늘 해뜰 무렵 모습이다. 마당 단풍만 붉고 요지부동 저라고 별 수야 있겠는가? 제풀에 지쳐 나가 떨어지기 마련 깻이파리엔 서리가 수북 기름기 두꺼운 은행잎도 견디기엔 무겁다. 아마 10대손쯤 될까 하는 새끼 나무는 뚝뚝 눈물 흘린다. 단풍을 키우는 이 팔할이 서리 볕이 들어 속으로 파고드니 속이 썩었다. 견딜 재간 없으리라 담주말이면 절정 아닐까 한다. 2020. 10. 24.
나주 정촌고분의 돌베개 봉분 하나에 매장주체시설 여러 곳을 마련하는 이른바 '벌집형 고분'인 나주 정촌고분에서는 9기에 달하는 매장시설이 발견된다. 그중 이번에 석실 3곳을 국립나주연구소가 팠다. 사진은 3호 석실 내부다. 현장을 둘러보니 3호 석실은 周溝가 위치하는 곳이다. 이는 말할 것도 없이 다른 매장주체시설에 견주어 후대에 조성됐다는 뜻이다. 입구가 남쪽이라고 기억하거니와, 그러니 장축은 남북이 아닌가 한다. 베개..돌로 만든 베개가 한쪽으로 치우쳤는데, 원래부터 저랬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아마도 후대에 한쪽으로 밀리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2014. 10. 24) *** 이 대목이 이후에 나온 공식 발굴보고서에선 어찌 처리되었는지 내가 확인을 못했다. 2020. 10. 24.
[엉터리 고고학용어] 분구墳丘 모든 무덤에 분구墳丘를 조성하지는 않는다. 이것도 시대에 따른 유행이 민감하기 짝이 없다. 분구란 무엇인가? 墳의 丘인가? 아니면 墳과 丘인가? 내가 아무리 봐도 한국고고학계에서 사용하는 뜻은 전자다. 이 경우 분구란 무덤의 언덕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墳丘는 액면 그대로 보면 후자다. 왜냐하면 墳과 丘는 무덤, 특히 개중에서도 봉분封墳이라 일컫는 표식이 있는 같은 무덤을 지칭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무덤 중에서도 봉분이 없는 것을 저리 표현하지는 않는다. 예서 각종 억설과 불일치가 발생한다. 墳丘란 무엇인가? 글자 그대로는 봉분封墳이다. 매장주체시설을 덮은 흙덩이, 곧 mound를 분구라 한다. 墳이건 丘건, 封이건 모조리 봉분을 말하기 때문이다. 함에도 한국고고학에서는 특정한 시대 특정한 무덤만을 지칭해.. 2020. 10. 24.
이 분은 강녕하신지 촬영시점이 2014년 10월 24일이니 꼭 6년 전 오늘이라 나주 반남면 대안리고분군 이라는 데다. 죽기 전에 저 분 머리에 들어간 모든 것을 쏙 빼놓아야 한다. 명문가 자제인데 애 둘 키우다가 이젠 저절로 크라고 풀어솧고는 룰루랄라다. 장성 독거노인 기호철 선생이다. 2020. 10. 24.
코로나 쑥대밭 코딱지 스위스 스위스, 신규 확진자 6천600명…또 최대치 경신 송고시간 2020-10-23 21:02 임은진 기자 스위스, 신규 확진자 6천600명…또 최대치 경신 | 연합뉴스 스위스, 신규 확진자 6천600명…또 최대치 경신, 임은진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10-23 21:02) www.yna.co.kr 스위스에 특파원을 둔 국내 언론사가 몇 곳인지 모르겠지만, 우리 공장 외에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안다. 이 코딱지만한 나라에다가 특파원을 둔 까닭은 이 나라 국력이 다른 데보다 유난히 세서, 혹은 그 영향력이 막강해서 그렇겠는가? 오직 국제기구가 많다는 이유 때문인데, 스포츠와 관련해서는 월드컵 축구대회를 주관하는 국제축구연맹 FIFA가 있는 곳이요, 기타 적지 않은 국제기구가 포진한다. 이번 코로나팬데믹.. 2020. 10. 24.
[나주 정촌고분 금동신발, 용 타고 떠난 저승여행] (1) 발굴착수 페이스북 내 계정에서 과거의 오늘을 뒤지니 6년 전 오늘, 그러니깐 2014년 10월 23일 나는 나주에 있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나주 정촌고분이라 하는 삼국시대 고분 발굴성과를 공개하는 날이었기에 그 취재를 위해 현장을 출동한 것이다. 문화재 담당 기자들이 이렇게 현장을 행차한다는 것은 발굴성과가 녹록치 않은 까닭이다. 그에서 이제는 꽤 유명해진 용코 머리 금동신발 한 켤레가 출토했다. 그 얘기는 잠시 뒤에 다루기로 하고, 우선 이 정촌고분이 어떤 곳이며, 어째하여, 무슨 목적으로 발굴조사에 들어가게 되었는지를 살피고자 하니, 아래 기사는 그 편린을 엿보게 한다. 2013.11.27 09:17:01 한변 40m 삼국시대 영산강유역 최대급 고분 확인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나주 정촌고분 조사…벌집형 .. 2020. 10. 23.
이쁜 애가 갑질하면 표독이라 이름한다, 아이린의 경우 스타일리스트에 '갑질' 논란 아이린 "경솔한 언행 죄송" 송고시간 2020-10-22 21:53 김효정 기자 스타일리스트가 SNS에 폭로…소속사 "오늘 오후 직접 만나 사과" 스타일리스트에 '갑질' 논란 아이린 "경솔한 언행 죄송" | 연합뉴스 스타일리스트에 '갑질' 논란 아이린 "경솔한 언행 죄송", 김효정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10-22 21:53) www.yna.co.kr 내가 무삼수로 레드벨벳이나 아이린에 조예가 있겠는가? 여느 걸그룹이나 마찬가지로 다 그 친구가 그 친구 같아 누가누군지 구분할 수도 없고, 설혹 그러하다한들 돌아서면 헷갈려 버리니, 이게 다 현대의학 탓이라 해둘 뿐이다. 그럼에도 내가 아는 한에는 레드벨벳은 열라 유명하고, 개중에서도 억! 하며 한 명 유별난 이가 있.. 2020. 10. 23.
서울시 문화재 행정 서울시는 홍지문, 탕춘대 그 이름 그대로 문화재 정비하고 세계문화유산 등재한다고 나선 걸까? 일반 명칭과 공식명칭이 있다. 남대문은 일반명칭이고 공식명칭은 숭례문이다. 마찬가지로 탕춘대는 일반명칭이고 연융대가 공식명칭이며, 탕춘대성은 일반명칭이고 공식명칭은 연융대성이다. 더군다나 홍지문은 1970년대 박정희가 지은 이름이고, 한북문(漢北門)이 제 이름이다. 먼저 이런 것부터 차근차근 해야 하지 않겠는가? 그리고 도성 방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남한 산성과 달리 도성, 연융대성, 북한산성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방어 시스템인데 도성만 떼어서 논할 수 있을까? 일전에 올린 《좌해지도》에도 연융대로 되어 있고, 도성연융북한산합도가 그려지는 것은 그것이 하나로 유기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2020. 10. 23.
인조仁祖가 지은 이름 한북문漢北門 [최초 공개] 오늘날 홍지문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지은 이름이고 원래 이름은 한북문이라고 하였습니다. 그 한북문이라는 이름을 지은 분은 인조이셨습니다. 오늘날은 사라졌지만 한북문에 걸려 있었던 인조의 어제시가 다른 곳에 남아 있습니다. 그것을 번역하여 올립니다. 인조(仁祖) 《한북문에 올라[登漢北門]》 어제시(御製詩) 현판(懸板) 오래전 이 문에서 쉬었던 게 옛일인데 粤昔往年憇此門 오늘 또 문에 오르니 얼마나 다행인가 今辰何幸復登門 접때 일을 추억하니 내 마음 긴절하여 追惟曩日我心切 붓을 휘둘러 한북문이라고 명명하노라 走筆命名漢北門 때는 정묘년(1627 인조5) 10월 3일 峕丁卯孟冬初三日 2020. 10. 23.
이인상李麟祥 《보산첩寶山帖》 《보산첩(寶山帖)》 능호관(凌壺觀), 보산인(寶山人) 이인상(李麟祥, 1710-1760) 의 서첩 크기 : 32.0 X 22.8 cm 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 소장 2020. 10. 23.
600살 되셨다는 자금성紫禁城 [차이나통통] '축구장 72배' 중국 자존심 자금성 600살 됐다 송고시간 2020-10-22 07:33 심재훈 기자 20만명 동원·15년 걸려 1420년 완성…'자금성 건립 600주년' 전시회 자금성 조감도·사진에 국새 등 다양한 자료 전시해 관람객 문전성시 [차이나통통] '축구장 72배' 중국 자존심 자금성 600살 됐다 | 연합뉴스 [차이나통통] '축구장 72배' 중국 자존심 자금성 600살 됐다, 심재훈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10-22 07:33) www.yna.co.kr 자금성紫禁城은 영어로는 흔히 the Forbidden City 라 옮김하거니와, 이에서 Forbidden은 紫와 禁 중에서도 후자에 초점을 둔 것이다. 일반인은 함부로 범접할 수 없는 데라는 뜻이다. 이 자금성은 실.. 2020. 10. 23.
[독설고고학] Exploratory vs Descriptive, so what에 꿀먹은 벙어리 고고학 미술사에 국한해 말한다. 우리네 학문, 그것이 구상으로 표출한 소위 논문 절대다수를 보면 Descriptive다. 이는 why를 전연 설명하지 못한다.이는 so what에 대한 그 어떤 대답도 하지 못한다. 무엇이 디스크립티브인가 토기를 예로 든다. 백제시대 초기엔 어떤 토기가 출현해 대종을 이루다가, 중기에 그것이 사라지면서 다른 기종 혹은 다른 기술의 토기가 대체하고, 다시 말기가 되면서 그것을 대체해서 다른 기종 다른 기술을 구사한 토기가 급격히 증가한다. 그것이 변천한 순서는 어떠하며 그것이 변화한 양상은 어떠하며 그 개별 토기는 어떤 특징이 있으며 그 절대 편년은 어디에 해당하는가 하는 것이 바로 디스크립티브다. 미술사 논문 역시 상당수가 디스크립티브 영역에 속하거니와, 다른 무엇보.. 2020. 10. 23.
일상이 된 공포, 그런갑다? 2만→3만→4만…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프랑스 코로나19 신규확진 2020-10-23 03:14 2만→3만→4만…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프랑스 코로나19 신규확진 | 연합뉴스 2만→3만→4만…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프랑스 코로나19 신규확진, 현혜란기자, 사회뉴스 (송고시간 2020-10-23 03:14) www.yna.co.kr 이탈리아 코로나19 신규 확진 1만6천명…연일 최고치 경신 2020-10-23 01:33 밀라노·나폴리 이어 수도 로마도 야간 통금 시행 이탈리아 코로나19 신규 확진 1만6천명…연일 최고치 경신 | 연합뉴스 이탈리아 코로나19 신규 확진 1만6천명…연일 최고치 경신, 전성훈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10-23 01:33) www.yna.co.kr 냉혹히 따지면 코로나19가 흑사.. 2020. 10. 23.
민주적 절차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듣기만하고 내맘대로 결정하는 것. (2014. 10. 22) 2020. 10. 22.
학문, 육성보다는 경쟁 [경쟁] 학문은 정당한 경쟁이라는 바탕에서 투자가 있어야 한다. 단순히 육성이라는 명분으로 투자해서는 효과가 없다. 그간 지방대 육성 발전시킨다고 쏟아부은 돈이 얼마였나. 인문학 죽었다고 징징 댈 때마다 쏟아 부은 돈은 또 얼마나 되나. 그럼에도 지방대는 갈수록 고사하고 있다. 발전한 건 그 돈 빼먹는 기능뿐이었다. 인문학도 돈 투자된 분야는 제자리고 지원 없이 허덕허덕 이어간 분야는 오히려 성과가 있었다. 돈을 쓰기 전에 운동장을 편평하게 하는 일에 집중하라. 2020. 10. 22.
[조선시대 품셈단가] 영조시대 연융대성의 경우 영조 때 연융대성[탕춘대성]을 쌓을 때 이를 석축으로 할 것인지 토축으로 할것인지 논란이 있었습니다. 이 때 품셈 단가가 나오네요. 영조 24년 10월 11일에 환경전(歡慶殿)에서 대신과 비국 당상인 인견하는 자리에서, 강화 유수 권혁(權爀)이 "돌로 쌓을 때 1步[약 1.2m]에 들어가는 물력은 돈으로 5냥 남짓이 되고 쌀로는 2섬 남짓이 되는데 지금 쌓지 못한 곳이 4천 여 보가 넘습니다. 만약 돌로 쌓는다면 이 물력을 어디서 어떻게 마련할 수 있습니까?[石築時一步所入物力, 錢爲五兩餘, 米爲二石餘, 卽今未築處, 至過四千餘步。若欲以石築之, 此物力從何辦出乎?]" 라고 한 기록이 보이네요. 나머지 축성 기록 들을 검토하여 축성 비용을 계산한다면 조선시대 축성의 품셈단가를 계산할 수 있을 듯. 2020. 10. 22.
근대국가의 탄생과 충효忠孝 동아시아 역사에서 근대국가의 탄생은 孝에서 忠으로의 이동이다. (2015. 10. 22) *** 전근대, 특히 유교윤리가 강고한 동아시아 세계에서는 수신修身 제가濟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를 주창했다. 예서 수신 제가 핵심이 孝 혹은 효제孝悌다. 이건 公과 私로 구분하면 철저히 私의 영역이다. 이른바 가족윤리다. 유교에선 孝를 앞세운 이 私를 公의 영역과 무단히도 일체화하고자 했다. 이 公의 영역을 받침하는 절대윤리가 忠 혹은 충성忠誠 혹은 信이었다. 그리하여 유교는 끊임없이 孝가 곧 忠임을 설파했다. 이것이 일체화하면 천하가 태평해진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게 말처럼 쉽지 않아 언제나 파열음을 일으켰다. 특히 전쟁 같은 순간에 忠은 번번이 孝에 패배했다. 나 살자고 군주를 버리고 다 도망가 버렸다. 이 .. 2020. 10. 22.
《기제旗制》, 깃발의 모든 것 《기제(旗制)》 영조대 편찬된 조선후기 군사용 깃발 및 악기, 각종 무기, 용호영(龍虎營)의 체제 등에 대한 내용을 수록한 1권 1책의 필사본으로 현재 오사카부립도서관(大阪府立圖書館)에 소장된 게 유일본입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는 이 복사본이 있습니다. 군기만이 아니라 화포 등 무기에 대한 내용도 실려있습니다. 2020. 10.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