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942

욱보(郁甫) 신라김씨(경주김씨) 시조 알지의 4대손으로 미추니사금 아버지인 구도갈문왕 아버지다. 삼국유사에서는 '욱부(郁部)'로 표기되지만 같은 발음에 대한 다른 표기일 것이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미추니사금(味鄒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김씨이다. 어머니는 박씨로 갈문왕 이칠(伊柒)의 딸이고, 왕비는 석씨 광명부인(光明夫人)으로 조분왕 딸이다. 그의 선조 알지(閼智)는 계림에서 났는데 탈해왕이 데려다가 궁중에서 키워 후에 대보(大輔)로 삼았다. 알지는 세한(勢漢)을 낳고 세한은 아도(阿道)를 낳았으며,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보(郁甫)를 낳았다. 그리고 욱보는 구도(仇道)를 낳았는데 구도는 곧 미추왕의 아버지이다. 첨해는 아들이 없었으므로 나라 사람들이 미추를 왕으로 .. 2018. 3. 13.
수류(首留) 신라김씨(경주김씨) 시조 알지의 증손으로 욱보의 아버지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미추니사금(味鄒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김씨이다. 어머니는 박씨로 갈문왕 이칠(伊柒)의 딸이고, 왕비는 석씨 광명부인(光明夫人)으로 조분왕 딸이다. 그의 선조 알지(閼智)는 계림에서 났는데 탈해왕이 데려다가 궁중에서 키워 후에 대보(大輔)로 삼았다. 알지는 세한(勢漢)을 낳고 세한은 아도(阿道)를 낳았으며,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보(郁甫)를 낳았다. 그리고 욱보는 구도(仇道)를 낳았는데 구도는 곧 미추왕의 아버지이다. 첨해는 아들이 없었으므로 나라 사람들이 미추를 왕으로 세웠다. 이것이 김씨가 나라를 갖게 된 시초이다.삼국유사 권 제1 기이 제1 김알지(金閼智) : 알지는 열한.. 2018. 3. 13.
세한(勢漢) 신라김씨(경주김씨) 시조 알지의 아들로 아도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알지가 탈해왕 때 사람이므로, 세한은 그 직후 생존했을 것이다. 삼국유사에는 '열한(熱漢)'이라 등장하는데 글자 모양이 비슷한 데 따른 어느 한 쪽의 오류인 성 싶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미추니사금(味鄒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김씨이다. 어머니는 박씨로 갈문왕 이칠(伊柒)의 딸이고, 왕비는 석씨 광명부인(光明夫人)으로 조분왕 딸이다. 그의 선조 알지(閼智)는 계림에서 났는데 탈해왕이 데려다가 궁중에서 키워 후에 대보(大輔)로 삼았다. 알지는 세한(勢漢)을 낳고 세한은 아도(阿道)를 낳았으며,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보(郁甫)를 낳았다. 그리고 욱보는 구도(仇道)를 낳았는데 구도는 곧 미추왕의.. 2018. 3. 13.
극종(克宗) 첨해니사금 15년에 쌓은 달벌성 초대 성주.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15년(261) 봄 2월에 달벌성(達伐城)을 쌓고 나마(奈麻) 극종(克宗)을 성주로 삼았다. 2018. 3. 13.
익종(翊宗) 첨해니사금 9년(255) 벌어진 백제와의 괴곡 전투에서 사망한 신라 일벌찬.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9년(255) 가을 9월에 백제가 침입해 왔으므로 일벌찬 익종(翊宗)이 괴곡(槐谷)의 서쪽에서 맞아 싸우다가 적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2018. 3. 13.
부도(夫道) 신라 첨해니사금 때 한기부 사람으로 글씨를 잘 쓰고 셈을 잘한다 해서 물장고를 맡았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5년(251) 봄 정월에 처음으로 남당에서 정무를 보았다. 한기부 사람 부도(夫道)는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아첨하는 일이 없고 글씨와 셈을 잘하여 당시 이름이 나 있었으므로, 왕이 그를 불러 아찬으로 삼고 물장고(物藏庫) 사무를 맡겼다. 2018. 3. 13.
량부(良夫) 첨해니사금 때 이찬이 되었다가 미추니사금 때 서불한이 되어 중앙과 지방 군사 일을 관장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3년(249) ...가을 7월에 궁궐의 남쪽에 남당(南堂)을 짓고 량부(良夫)를 이찬으로 삼았다.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2년(263) 봄 정월에 이찬 양부(良夫)를 서불한으로 삼고 중앙과 지방의 군사 일을 겸하여 맡게 하였다. 2018. 3. 13.
양부(良夫) ☞량부(良夫) 2018. 3. 13.
장훤(長萱) 첨해니사금 때 이찬으로서 서불한이 되어 국정을 관장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2년(248) 봄 정월에 이찬 장훤(長萱)을 서불한으로 삼아 나라의 정치에 참여시켰다. 2018. 3. 13.
부여경사(夫餘慶司) 백제 제21대 개로왕 이름이다. 백제 왕실은 부여에서 나왔다 해서 부여(夫餘)를 성으로 썼으므로, 풀네임은 부여경사다. 삼국사기 권제25(백제본기 제3) 개로왕 즉위년 : 개로왕(蓋鹵王)은 이름이 경사(慶司)이고 비유왕(毗有王) 맏아들이다. 비유왕이 재위 29년에 죽자 왕위를 이었다.☞개로왕(蓋鹵王) 2018. 3. 13.
경사(慶司) ☞부여경사(夫餘慶司) ☞개로왕(蓋鹵王) 2018. 3. 13.
개루왕(蓋婁王) 백제 제4대 왕이다. 재위기간은 서기 128∼166년. 기루왕 아들이다. 재위기간 북한산성을 쌓았으며 신라와 충돌하기도 했다.삼국사기 권제23(백제본기 제1) 개루왕 조 : 개루왕(蓋婁王)은 기루왕 아들이다. 성품이 공순하고 행실이 올발랐다. 기루가 재위 52년에 죽자 왕위에 올랐다. 4년(131) 여름 4월에 왕이 한산(漢山)에서 사냥했다. 5년(132) 봄 2월에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쌓았다.10년(137) 가을 8월 경자에 형혹(熒惑)이 남두(南斗)를 범(犯)했다. 28년(155) 봄 정월 그믐 병신에 일식이 있었다. 겨울 10월에 신라 아찬(阿) 길선(吉宣)이 반란을 도모하다가 일이 탄로나 도망해 왔다. 신라 왕이 글을 보내 그를 (돌려달라) 청했으나 보내지 않았다. 신라 왕이 노하여 군사를 거느.. 2018. 3. 13.
근개로왕(近盖鹵王) 백제 제21대 개로왕을 지칭하는 다른 이름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21대 개로왕(盖鹵王)은 근개로왕(近盖鹵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을 경사(慶司)이다. 을미년에 즉위해 20년을 다스렸다.☞근개로왕(近蓋鹵王) ☞개로왕(蓋鹵王) ☞근개루(近蓋婁) 2018. 3. 13.
개로왕(盖鹵王) 백제 제21대 왕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삼국사기에는 '蓋鹵(개로)'라 씌었으나 같은 말이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21대 개로왕(盖鹵王)은 근개로왕(近盖鹵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을 경사(慶司)이다. 을미년에 즉위해 20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22대 문주왕(文周王)은 문주(文州)라고도 한다. 개로(盖鹵)의 아들이다. 을묘년에 즉위했다. 도읍을 웅주(熊川)로 옮겼다. 2년을 다스렸다.☞개로왕(蓋鹵王) 2018. 3. 13.
개로왕蓋鹵王 백제 제21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455~475년이다. 이름이 경사慶司 혹은 경餘이며, 근개루近蓋婁)라 부르기도 한다.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가수리군(加須利君)으로 나타난다. 비유왕(毗有王) 맏아들이며 부왕이 죽자 왕위를 이었다. 재위기간 내내 고구려와 충돌해 그 정벌을 위해 북위에 사신을 보내 군사를 청하기도 했다. 이는 결국 고구려 반격을 불러 장수왕이 이끄는 3만 대군에 서울이 함락당하고 그 자신은 포로로 잡혀 아차산 아래서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삼국사기 권제25(백제본기 제3) 개로왕 조 : 개로왕蓋鹵王은 이름이 경사慶司이고 비유왕毗有王 맏아들이다. 비유왕이 재위 29년에 죽자 왕위를 이었다. 14년(468) 겨울 10월 초하루 계유에 일식이 있었다. 15년(469) 가을 8월에 장수를 보내.. 2018. 3. 13.
근개루왕(近蓋婁王) 백제 제21대 개로왕(蓋鹵王, 재위 455〜475)을 일컫는 다른 칭호. 이보다 앞선 백제 선조왕으로 제4대 개루왕(蓋婁王, 재위 128~166)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근(近)'은 이 선대 개루왕과 모종의 관련이 있는 접두사로 생각된다. 큰(大)을 의미한다는 견해도 있고, 글자 그대로 가깝다는 뜻으로 보기도 한다. 삼국사기 권제25(백제본기 제3) 개로왕 즉위년 : 개로왕(蓋鹵王)은 이름이 경사(慶司)이고 비유왕(毗有王) 맏아들이다. 비유왕이 재위 29년에 죽자 왕위를 이었다.삼국사기 권제25(백제본기 제3) 개로왕 21년(475) : 이에 도림은 거짓으로 죄를 짓고 도망하여 온 것 같이 하여 백제로 들어왔다. 이 때에 백제 왕 근개루(近蓋婁)가 바둑과 장기[博]를 좋아하였다. ..(중략)...이에 도.. 2018. 3. 13.
고운(高雲) (B) 원래 고구려 왕실 후손으로 북연왕이다. 아마도 조부 고화(高和) 무렵에 중국에 귀화한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권 제18(고구려본기 제6) 광개토왕 : 17년(407) 봄 3월에 사신을 북연(北燕)에 보내 종족(宗族)[의 정]을 베풀자 북연 왕 운(雲)이 시어사(侍御史) 이발(李拔)을 보내 답례하였다. 운의 할아버지 고화(高和)는 [고]구려의 갈래로서, 스스로 고양씨(高陽氏)의 자손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고(高)로써 성을 삼았다. 모용보(慕容寶)가 태자였을 때 운이 무예로써 동궁에 시위하였는데, 모용보가 그를 아들로 삼아 모용씨라는 성을 내렸다. 2018. 3. 13.
고운(高雲) (A) 고구려 제21대 문자명왕(재위 492∼519) 이름이다. 고구려 왕실은 고(高)씨를 표방하고, 이름은 외자로 쓴 일이 많아 고운은 성과 이름을 합친 듯하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21대 문자명왕(文咨明王)은 이름이 명리호(明理好)이니 개운(个雲)이라고도 하며 고운(高雲)이라고도 한다. 임신년에 즉위해 27년을 다스렸다.☞문자명왕(文咨明王) 2018. 3. 13.
라운(羅運) 고구려 제21대 문자명왕(재위 492∼519) 이름이다. 장수왕 손자로, 아버지 조다가 죽자 대손(大孫)으로 조부 사망과 더불어 즉위했다. 삼국사기 권 제19(고구려본기 제7) 문자명왕 즉위년 : 문자명왕(文咨明王)은 이름이 라운(羅運)이고 장수왕 손자다. 아버지는 왕자이며 고추대가인 조다(助多)인데, 조다가 일찍 죽자 장수왕이 궁중에서 기르면서 대손(大孫)으로 삼았다. 장수왕이 재위 79년만에 죽자 이어 즉위했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21대 문자명왕(文咨明王)은 이름이 명리호(明理好)이니 개운(个雲)이라고도 하며 고운(高雲)이라고도 한다. 임신년에 즉위해 27년을 다스렸다.☞문자명왕(文咨明王) 2018. 3. 13.
世紀(세기) 혹은 世記(세기) 혹은 세가(世家), 그리고 화랑세기(花郎世記) 실을 의미하는 糸(실 사)가 그 글자 의미를 한정하는 부수로 들어가 있는 데서 엿보듯이 '紀'라는 말은 본래 그물 주둥이를 오므려 조는 '벼리'를 의미한다. 이 벼리를 꽉 조으면, 전체를 갈무리한다. 이 글자는 아울러 記와 같은 발음, 같은 뜻으로 기록하는 일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기색은(史記》에서 '本紀(본기)'라는 말을 설명하기를 "紀者, 記也. 本其事而記之", 다시 말해, 이 경우 紀는 기록한다는 뜻이다. 그 사실에 바탕을 두고 그것을 기록하는 까닭에 본기라 부른다고 한 것이 그 증거다. 소위 말하는 기전체(紀傳體) 역사서에서 재위한 왕 순서를 따라 일어난 주요한 일들을 요약한 부분을 본기라고 한 까닭은 그것이 기전체 전체 역사서에서 벼리, 곧 가장 중요한 축이기 때문이다. 이런 紀를 응용한 말 .. 2018. 3. 13.
진달래에 질식한 참꽃, 소월 타도를 외치며 시위로 점철한 80년대 대학가에 느닷없이 김소월 열풍이 인 적 있다. '영변의 약산 진달래' 운운하는 그의 시구가 어찌하여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뒷받침하는 선전구호가 되었는지 나로서는 참말로 기이하기만 하다. 본명 김정식인 그의 시 자체에는 그 어디에도 이런 저항성이 없다. 하기야 고전은 시대에 따라 끊임없이 재해석된다 하지 않는가? 그런 점에서 고전은 시대를 복무하는 어용이다. 한데 그의 이런 시는 그 전에 이미 국어교과서에 실려 인구에 회자했거니와, 그러는 와중에 진달래의 폭력시대가 도래했다. 경상도 소백산맥 중턱 산골 출신인 나는 어릴 적에는 진달래가 무엇인줄도 모르고 자랐다. 이 진달래를 우리는 '참꽃' 혹은 그 변질로 봐야 할 '창꽃'이라고 했다. 저 꽃은 이보다 조금 뒤에 피기 시작하는 찐득찐득.. 2018.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