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942

성목태후(聖穆太后) 신라 제39대 소성왕(재위 799∼800) 어머니이자 혜충태자비다. 소성왕 즉위와 더불어 성목태후로 추증된 것으로 보아, 아들이 즉위하기 전에 사망했음을 안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소성왕 : 원년(799)…8월에 어머니 김씨를 성목태후(聖穆太后)로 추봉하였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39대 소성왕(昭聖王)은 소성왕(昭成王)이라고도 하며 김씨다. 이름은 준옹(俊邕)이다. 아버지는 혜충태자(惠忠太子)이며 어머니는 성목태후(聖穆太后)이다. 비는 계화왕후(桂花王后)이며 숙명공(夙明公) 딸이다. 기묘년(799)에 즉위했으나 붕(崩)했다. 2018. 3. 6.
렴철(廉哲) 신라하대 소성왕 때 흰사슴을 받친 냉정현령이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소성왕 : 원년(799) 봄 3월에…냉정현령(冷井縣令)인 렴철(廉哲)이 흰 사슴[白鹿]을 바쳤다. 2018. 3. 6.
염철(廉哲) ☞렴철(廉哲) 2018. 3. 6.
소성왕(昭成王)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소성왕 : 소성왕(昭聖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준옹(俊邕)이며 원성왕(元聖王)의 태자 인겸(仁謙)의 아들이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소성왕 : 2년(800) 6월에…왕이 죽어 시호를 소성(昭聖)이라 하였다. ☞소성왕(昭聖王) ☞김준옹(金俊邕) 2018. 3. 6.
박거물(朴居勿) 신라 하대 문장가. 삼랑사비문을 썼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백제부흥운동 : 또 들으니 “신라인은 스스로 소호금천씨(小昊金天氏)의 후예이므로 성을 김씨라 하였고, 고구려 역시 고신씨(高辛氏)의 후예이므로 성을 고씨(高氏)라 했다.”고 한다. 2018. 3. 6.
설인선薛因宣 김유신비를 지은 신라 국자박사. 어느 시대에 속하는지는 확실치 않다. 김유신이 죽은 직후 비문을 썼다면, 문무왕 때다. '薛'이 성이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백제부흥운동 : 또 들으니 “신라인은 스스로 소호금천씨小昊金天氏 후예이므로 성을 김씨라 했고, 고구려 역시 고신씨高辛氏 후예이므로 성을 고씨高氏라 했다.”고 한다. 2018. 3. 6.
경(敬) ☞부여경(扶餘敬. 혹은 夫餘敬) 2018. 3. 6.
부여경(扶餘敬/夫餘敬) 의자왕 아들로 백제 멸망 이후 당이 백제왕으로 책봉한 부여륭의 아들로, 즉천무후에 의해 백제왕에 책봉되긴 했지만, 허울뿐이었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백제부흥운동 : 의봉(儀鳳) 연간에 (부여)륭을 웅진도독(熊津都督) 대방군왕(帶方郡王)으로 삼아 귀국하게 하여 남은 무리들을 안정시키게 하고, 곧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신성(新城)으로 옮겨 통할하게 하였다. 이때 신라가 강성하므로 융은 감히 고국에 들어가지 못하고 고구려에 의탁하여 다스리다가 죽었다. 무후(武后)가 그의 손자 경(敬)으로 왕위를 잇게 하였으나 그 땅은 이미 신라ㆍ발해말갈(渤海靺鞨)에게 분할되어 나라의 계통이 드디어 끊기고 말았다. 2018. 3. 6.
지수신(遲受信) 백제부흥운동에 가담한 백제인으로, 임존성을 마지막까지 지키다가 성이 함락되자, 처자를 버리고 고구려로 달아났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백제부흥운동 : 용삭 2년(662) 7월에…왕인 부여풍이 몸을 빼서 달아났는데 있는 곳을 알지 못하였다. 혹은 고구려로 달아났다고 하는데 [당나라 군사들이] 그의 보검을 얻었다. 왕자 부여충승(扶餘忠勝)과 충지(忠志) 등이 그의 무리를 거느리고 왜인과 함께 모두 항복했으나 홀로 지수신(遲受信)만이 임존성에 웅거하여 항복하지 않았다. …두 사람이 마침내 그 성을 빼앗으니 지수신은 처자를 버리고 고구려로 달아나고 나머지 무리도 모두 평정됐다. 삼국사기 권 제6(신라본기 제6) 문무왕 上 : 3년(663)…5월에 영묘사 문에 벼락이 쳤다. 백제의 옛 장수 복신(福.. 2018. 3. 6.
사타상여(沙陁相如) 흑지상지(黑齒常之)가 이끄는 백제부흥운동군에서 별부장을 지낸 인물이다. 나중에 당군에 항복했다. 사타(沙陁)는 복성(複姓)이며, 이름이 상여인데, 아마 고대 중국 저명한 정치가 인상여(藺相如)나 전한시대 저명한 문학가인 사마상여(司馬相如)에서 따온 듯하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백제부흥운동 : 이보다 앞서 흑치상지(黑齒常之)가 흩어진 무리를 불러 모으니 10일 만에 돌아와 붙은 자가 3만여 명이었다. 소정방이 군사를 보내 쳤으나 상지가 막아 싸워 이겼다. 다시 200여 성을 빼앗으니 정방은 이길 수 없었다. 상지가 별부장(別部將) 사타상여(沙陁相如)와 함께 험한 곳에 의지해 복신에게 호응하다가 이때가 되어 모두 항복했다. 인궤(仁軌)가 진심을 보이면서 임존성을 빼앗아 스스로 공을 나타내게 .. 2018. 3. 6.
김흠(金欽) 복신과 도침이 주도하는 백제부흥운동 진압을 위해 출동한 신라 장수. 백제군에 패하여 갈령도에서 도망쳤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백제부흥운동 : 무왕(武王)의 조카 복신(福信)이 일찍이 군사를 거느렸는데 이때 승려 도침(道琛)과 함께 주류성(周留城)에 근거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그리고] 일찍이 왜국에 볼모로 가 있던 옛 왕자[古王子] 부여풍(扶餘豊)을 맞아다가 왕으로 삼았다. ...신라왕 김춘추가 조서를 받고 장수 김흠(金欽)을 보내 군사를 거느리고 인궤 등을 구하게 하였다. [김흠이] 고사(古泗)에 이르자 복신이 맞아 쳐서 이기니 김흠이 갈령도(葛嶺道)로부터 도망하여 돌아갔고, 신라는 감히 다시 출병치 못하였다. 2018. 3. 6.
도침(道琛) 백제가 멸망하자, 무왕의 조카 복신을 도와 백제부흥운동을 주도한 승려. 주류성을 근거지로 삼아 반란을 일으키고 왜국에 볼모로 간 부여풍을 맞아 왕으로 삼았다. 부흥운동이 기세를 올리자 스스로 영군장군(領軍將軍)이라 일컬었다. 하지만 이런 행동이 복신의 의심을 샀는지, 그에게 죽임을 당했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백제부흥운동 : 무왕(武王)의 조카 복신(福信)이 일찍이 군사를 거느렸는데 이때 승려 도침(道琛)과 함께 주류성(周留城)에 근거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그리고] 일찍이 왜국에 볼모로 가 있던 옛 왕자[古王子] 부여풍(扶餘豊)을 맞아다가 왕으로 삼았다. 서북부(西北部)가 모두 응하자 [그들은] 군사를 이끌고 인원(仁願)을 도성(都城: 사비성)에서 포위하였다.조서를 내려 유인궤를 검교대.. 2018. 3. 6.
부여문사(夫餘文思) 백제 마지막 의자왕 손자이면서, 태자 부여효의 아들이다. 나당연합군 침입에 사비성이 함락 위기에 처하고, 왕과 태자 효가 웅진으로 달아나고, 의자왕 다른 아들인 태가 마음대로 왕이 되어 성을 지키자, 이에 반발해 성문을 타고 내려가 당군에 항복했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의자왕 : 20년(660)…6월에…당나라 군사가 승세를 타고 성으로 육박하자 왕은 면하지 못할 것을 알고 탄식하며 “성충(成忠)의 말을 쓰지 않아 이 지경에 이른 것을 후회한다.” 고 말하고는 드디어 태자 효(孝)와 함께 북쪽 변경으로 달아났다. 정방이 [사비]성을 포위하니 왕의 둘째 아들 태(泰)가 스스로 왕이 되어 무리를 거느리고 굳게 지켰다. 태자의 아들 문사(文思)가 왕자 융(隆)에게 말하였다. “왕과 태자가 [성을.. 2018. 3. 6.
흥수(興首) 백제 멸망기 의자왕 시대 충신으로 평가되는 인물.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치러올 때 좌평으로 죄를 지어 고마미지현으로 유배되어 있다가, 적을 어쩌 막으면 좋을지를 묻는 의자왕 물음에 당군은 백강 어구에서 막고, 신라군은 탄현에서 마주 싸워야 한다고 주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의자왕 : 20년(660) 6월에…소정방이 군사를 이끌고 성산(城山)에서 바다를 건너 우리나라 서쪽의 덕물도(德物島)에 이르렀다. 신라왕은 장군 김유신을 보내 정예 군사 5만 명을 거느리고 [백제 방면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왕이 이를 듣고 여러 신하를 모아 싸우는 것이 좋을지 지키는 것이 좋을지를 물었다. …왕은 주저하여 어느 말을 따를지 알지 못하였다. 이때 좌평 흥수(興首)는 죄를 얻어 고마.. 2018. 3. 6.
성충(成忠) 백제 멸기 의자왕 시대 충신으로 평가되는 인물. 왕이 주색에 빠지가 간언하다가 옥에 갖혀 죽었다. 죽기 전 외적이 백제를 치러온다면 수군은 마땅히 기벌포에서 막고, 육군은 침현(탄현)에서 막아서야 한다는 글을 올렸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의자왕 : 16년(656) 봄 3월에 왕은 궁녀와 더불어 주색에 빠지고 마음껏 즐기며[淫荒耽樂] 술 마시기를 그치지 아니하였다. 좌평 성충(成忠)이 극력 간언하자 왕은 분노하여 그를 옥에 가두었다. 이로 말미암아 감히 간언하는 자가 없었다. 성충이 옥중에서 굶어 죽었는데[死] 죽음에 임하여 글을 올려 말하였다.“충신은 죽어도 임금을 잊지 않는 것이니 원컨대 한 말씀 올리고 죽겠습니다. 신이 늘 때[時]를 보고 변화를 살폈는데 틀림없이 전쟁이 있을 것입니다.. 2018. 3. 6.
의직(義直)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의자왕 : 7년(647) 겨울 10월에 장군 의직(義直)이 보병과 기병[步騎] 3천 명을 거느리고 신라의 무산성(茂山城) 아래로 나아가 주둔하고, 군사를 나누어 감물성(甘勿城)과 동잠성(桐岑城) 두 성을 공격하였다. 신라 장군 유신이 친히 군사를 격려하여 죽기를 결심하고 싸워 크게 깨뜨리니 의직은 한 필 말을 타고 혼자 돌아왔다. 8년(648) 봄 3월에 의직이 신라 서쪽 변방 요거성(腰車城) 등 10여 성을 습격하여 빼앗았다. 여름 4월에 옥문곡(玉門谷)으로 군사를 나아가게 하니 신라 장군 유신이 맞아 두번 싸워 크게 이겼다. 20년(660) 조 : 6월에 ...소정방이 군사를 이끌고 성산(城山)에서 바다를 건너 우리 나라 서쪽의 덕물도(德物島)에 이르렀다. 신라 왕.. 2018. 3. 6.
석남오(石南烏)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14년(798) 여름 6월에 가물었다. 굴자군(屈自郡) 대사 석남오(石南烏)의 아내가 한꺼번에 아들 셋과 딸 하나를 낳았다. 2018. 3. 6.
김삼조(金三朝) 원성왕 때 시중을 역임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13년(797) 가을 9월에 나라 동쪽 지방에 누리가 곡식을 해쳤고, 홍수가 나서 산이 무너졌다. 시중 지원이 관직을 그만두었으므로 아찬 김삼조(金三朝)를 시중으로 삼았다. 2018. 3. 6.
지원(智原) 원성왕 때 시중을 역임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12년(796) 여름 4월에 시중 언승을 병부령으로 삼고 이찬 지원(智原)을 시중으로 삼았다. …13년(797) 가을 9월에 나라 동쪽 지방에 누리가 곡식을 해쳤고, 홍수가 나서 산이 무너졌다. 시중 지원이 관직을 그만두었으므로 아찬 김삼조(金三朝)를 시중으로 삼았다. 2018. 3. 6.
헌평(憲平) 원성왕 태자 김의영이 죽어서 받은 시호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10년(794) 봄 2월에 지진이 일어났다. 태자 의영(義英)이 죽어 시호를 헌평(憲平)이라 하였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원성대왕(元聖大王) : 왕에게는 손자가 다섯 있었으니, 혜충태자(惠忠太子)ㆍ헌평태자(憲平太子)ㆍ례영잡간(禮英잡干)ㆍ대룡부인(大龍夫人)ㆍ소룡부인(小龍夫人) 등이다. 대왕(大王)은 실로 인생의 곤궁하고 영화로운 이치를 알았으므로 신공사뇌가(身空詞腦歌. 노래는 없어져 자세치 못하다)를 지을 수가 있었다. 2018. 3. 6.
김뇌(金惱)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9년(793) 가을 8월에….나마 김뇌(金惱)가 흰 꿩을 바쳤다. 2018.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