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87 인간이 바닥을 치면 확실히 인간은 바닥을 치면 튀어 오르기보다, 그 바닥에서 땅굴을 파기에 친숙하다. ***김별아 작가가 2025년 10월 15일이 시작할 무렵에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올린 글이다.내가 평했다.셰익스피어 예이츠보다 낫다.저 말 뒤엔 "극에서 극으로, 천한 세상이 슬프다"는 말이 붙었는데 신비감을 상실하는 산통 깨는 말이라 내 인용에선 삭제한다.해설을 하면 신이神異가 사라진다. 2025. 10. 14. 한글날 새기는 한문 교육의 필요성 한글날이다. 그래도 올해는, 한자교육이 필요하다느니 한자혼용을 해야 한다느니 하는 논란은 거의 없어진 듯하다. 중고교 한문교육은 아직도 '한자 교육' 비중이 높다. 수능 시험문제도 그렇다. 이걸 과감히 '한문 교육'으로 바꿔야 한다. 출제도 '한자'가 아닌, '한문' 중심으로 바꾸는게 옳다. 영어를 예를 들자면, 라디오, 텔레비전, 엘리베이터, 렌지, 마트, 수퍼, 등등. 이런 단어 스펠링을 잘 안다고 해서 영어를 잘하는게 아니다. 한자를 잘 안다고 해서 왕조실록을 읽을수 있는게 아니다. 실록을 읽을 수 있게 하자면 한자교육이 아닌 한문교육이 중요하다. 이건 비슷한 듯하면서도 전혀 다른 개념이다.***이상 한국고전번역원에서 한문고전 번역과 한문 교육에 투신한 박헌순 선생 글이다.교육당국이 새기고 우리가 .. 2025. 10. 9. [독설고고학] 지금은 질을 뒤로 물리고 양이 중요한 시기 언제나 둘 사이로 선택지로 몰릴 때 고민이 왜 없겠는가?나는 세계고고학 수입상을 선언한 마당에, 또 이런 비슷한 일을 전문으로 하는 전업적 전현직 언론이 없는 마당에 그 선하先河라도 되었으며 하는 얄팍한 사명감도 없지는 않은 마당에 당분간은 질은 포기하고 양으로 가기로 했다.첫째도 둘째도 시급성 때문이다.한국고고학, 아니 그것을 소비하는 한국대중사회는 내 판단이 그릇일 수 있지만 작금 국경을 벗어나 저짝 국제시장이 얼마나 정신없이 돌아가는지를 심각히 인지하지 못한다.그러니 지금 이 순간에도 뻘짓만 일삼는 것 아니겠는가?어떤 제정신 박힌 고고학도라면 한가롭게 슐리만 시대에나, 혹은 톰슨 삼시대 구분법 시대에나 통용할 법한 문제의식으로 충만하겠는가?시대는 이미 dna 단백질 동위원소로 간 마당에 지금도 갈돌.. 2025. 9. 28. 나무칼로 개폼 잡은 1,500년 전 영천 지역 토호 경북 영천시가 국가유산청 돈을 받아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계림문화재연구원에다가 의뢰한 영천 완산동 고분군 발굴성과가 25일 공개됐으니, 지금으로부터 대략 1천500년 전, 그러니깐 서기 500년 무렵 이 지역에서 떵떵거리며 산 사람이 묻힌 곳임을 확인했다 하거니와 고분 정비와 복원을 표방한 이번 조사 결과 봉분 기준 지름 16m가량 되는 비교적 규모가 있는 무덤을 필두로 하는 신라시대 돌무지덧널무덤 3기랑 독무덤 2기를 확인했다 하거니와 특히 주목할 곳이 1호 돌무지덧널무덤이라 명명한 곳이라, 저네가 하는 말을 보면 이 무덤은 지상에 '凸'자 모양으로 으뜸덧널과 딸린덧널을 설치한 뒤 깬돌과 강돌을 덧널 둘레 부분과 윗부분에 채워 놓은 형태라고 한다. 뭐 딱 봐도 경주에서 흔해 빠진 적석목곽분이다. .. 2025. 9. 25. [독설고고학] 5년 내 문과대 고고학 완전히 갈아엎지 않으면 미래는 영영 없다 그 핵심은 문과대 고고학 완전한 퇴출이다. 인적 청산을 말하는가? 천만에. 그 인적 청산이 어찌 하루아침에 쏵 될 수 있겠는가? 내가 말하는 문과대 고고학 말살이란 그 주도권의 교체다. 문과대 고고학이 물러난 자리에 고고과학이 대체해야 한다. 그 고고과학이 구체로 무엇인지 예서 일일이 논하지 않겠다. 지금껏 한국고고학은 고고과학은 언제나 데코레이션이었고 종속이었다. 이걸 전복해야 한다. 저네가 주축에 서고 문과대 고고학은 종속이 되는 일을 말한다. 문과대 고고학은 저네 고고과학이 혁혁한 성과를 내기 위한 밑거름이 되어야 한다. 내가 말하는 고고과학으로의 전환은 기존 문과대 고고학의 재무장을 의미하지 않는다. 걸레 빤다 행주 되지 않고 호박에 줄 긋는다고 수박 될 수 없다. 문과대 고고학이 지금 배워서 무.. 2025. 9. 25. [독설고고학] 수천 수만 편에 이르는 그릇 논문, 그 어느 것도 기능은 아몰랑 지금 이 순간에도 모든 발굴현장에서 지천으로 쏟아지는 유물이 이른바 토기라 하는 도기 그릇이다.개중에 유약 바른 자기도 물론 있어 고려시대 이후엔 청자 백자 쪼가리가 쏟아진다.그런 까닭인지 죽어나사나 한국고고미술은 도기 자기라 대체 이걸 소재 혹은 주제 삼은 논문이 몇 편인지 모를 지경이라 수천 편은 확실하고 만 편을 넘기지 않을까 한다.하도 많이 나오니 발굴현장에서도 처치 곤란이라 보고서 수록하는 주요 물품만 수거하고선 요샌 현장에 파묻거나 무슨 예담고인지 뭔지 고물창고에다 박스째 실어 쳐박아 버린다.더 놀라운 사실은 그 수천 수만 편 헤아릴 그 많은 글이 모조리 그 껍데기 타령이라는 점이니그 절반이 폼새 제작기법 타령이라 뭐로 분류한다 또 물레를 사용했네마네 놀음이요나머지 절반은 편년 타령이라 어느 .. 2025. 9. 25. 이전 1 2 3 4 5 6 7 8 ··· 43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