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83 Excavation of Haengjusanseong Fortress, Goyang Archaeologists from the Hanyang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y have discovered the stone walls of Goynag Haengjusanseong Fortress were built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Until now, Haengjusanseong has been considered as a eathen walled fortress 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and the place where the Joseon soldiers and civilians defeated the Japanese army during the Imjin War. H.. 2019. 10. 8. 불그레죽죽 담쟁이 인사동 쌈지길 담쟁이가 울그락불그락 얻어터져 울음 터트린다. 아퍼 피나 고만 때리 2019. 10. 8. Technical Evaluation mission by IUCN to Getbol, Korean Tidal Flat 세계자연유산 등재 도전 '한국의 갯벌' 현지실사 완료송고시간 | 2019-10-08 09:34 The technical evaluation mission by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to Getbol, Korean Tidal Flat, had been completed, said on 8th,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CHA)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of Korea. According to the CHA and MOF, Bastian Bertzky, a world heritage science adviser of the .. 2019. 10. 8. 짜고치는 고스톱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 October 8, 2017 at 7:29 AM 글인데, 당시 지자체 선거 즈음이라, 본문에서 언급했듯이 경북 지역 어느 지자체장이 나 이제 그만하겠다고 선언하자 그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불출마 움직임을 접으라고 압력을 넣는 모습을 연출하는 장면을 목도하고는 그에 격발해서 한 줄 초한 것이다. 이 사람은 결국 그 성화에 못 이기는 척, 기어이 불출마 움직임을 접고는 삼선에 도전했다가 형편없는 성적으로 고배를 마셨다. 글자 그대로 영원토록 그 은혜 잊지 않겠다고 그 표식으로써 세운 돌덩이나 쇳덩이 같은 기념물이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다. 간단히 공덕비라 부르는 일이 많다. 조선시대 지방관들을 겨냥해 그 지역 인사들이 자발로 세우는 형식이다. 하지만 그 내실을 따져보면 정치쇼다. 지방관 본인이 주동해서 하는 일이.. 2019. 10. 8. 하필 쥐똥인가? 누군가가 이 열매를 쥐똥이라 이름하고 그리하여 그 나무를 쥐똥나무라 이름했을 것이니 하필 쥐똥인가? 뭐 글타고 저 코딱지만한 환약을 소똥 말똥이라 할 순 없을 테고 순대 같은 인분엔 더더구나 견주기 힘들 테니 기왕 똥에 견주자면 저와 흡사함으로 염소똥이 있을진댄 하필 재수없게 쥐똥인가? 보고 자란 게 쥐똥인 까닭이다. 저리 명명한 자는 염소를 키아보지 아니했다. 염소 얘기 나왔으니 말이지 숫놈들 키우지 않는 게 좋다. 내가 한때 숫놈 한마리 키우다 대가리 뿔에 연신 받히다 언젠간 정갱이를 찍혔으니 그 상처가 지금도 남았다. 2019. 10. 8. 할아버지 오래된 수첩 속 이야기-박물관 정각(최종) 성건당(省愆堂) 여초 김응현(如初 金膺顯, 1927-2007) 선생의 글씨 여초선생이 편액을 짓고 쓰기 된것에는 박물관과 관계된 분이 추천을 하여 신탁근 선생이 직접 만나 의뢰를 하게 되었고, 여초선생이 박물관을 둘러보고 '성건당(省愆堂)'이라 정각의 이름을 짓고, 편액을 쓰게 되었다. 여초선생은 한국 서예계 원로로 근현대 서예계 대가 중 한 사람으로, 둘째형인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 셋째형인 백아(白牙) 김창현(金彰顯)과 함께 형제 서예가로도 유명하다. 처음 정각 이름을 '완월정(玩月亭)'이라고 불렀다가 추후 여초선생이 '성건당(省愆堂)'이라 지어 그리 바꾸었다. 상량고사를 지낼 당시 상량문에 '온양민속박물관 완월정'이라 적은걸 확인할 수 있다. "할아버지! 그런데 저 한자는 뭐라고 읽나요? 정.. 2019. 10. 8. 이전 1 ··· 3023 3024 3025 3026 3027 3028 3029 ··· 36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