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28

고창 용계리 가마에서 보는 도자생산 고창 용계리 가마터라는 곳이 있다. 1980년대에 처음 조사하고 근자 대한문화재연구원에서 대대적인 발굴조사를 벌인 결과 본격적인 청자 생산에 앞선 시대에 도자기를 굽던 곳으로 드러났다. 그러니깐 부안과 강진에서 우리가 말하는 그 청자를 생산하기 전에 이곳에서 청자를 생산하던 대규모 시설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 발굴현장을 어찌해야 할지 근자 고민이 좀 있는 모양이라, 현장에는 도자생산 모든 공정 생생한 공정을 볼 만한 흔적들이 드러났다. 이영덕 호남문화재연구원장 설명에 나오듯이 이곳 출토 유물 중에 태평 임술, 1022년이라는 절대 연대를 새긴 명문이 발견됨으로써 이 일대 가마가 운영된 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절대 근거를 확보했다. 고창 운곡람사르습지 인근 산 기슭에 위치하는 현장은 사적이라는 국가.. 2019. 9. 30.
기다림과 두려움 "기다리는 건 일찍 오지 않아. 두려워할수록 빨리 오지." 2015년 9월 30일, 내가 삼류영화 대사라며 옮겨놓은 것인데 지금 검색하니 2013년 영화 《야관문》에서 신성일이 분扮한 주인공 종섭이 하는 말이란다. 어디 다른 데서 나오는 말을 딴 것인지도 모르겠다. 맞는 말이다. 기다림은 언제나 애가 타기 마련이라 입술이 바짝바짝 마른다. 공포는 언제나 기습이라 스텔스 폭격기라 언제 어디서 어떻게 날아들지 모른다. 2019. 9. 30.
넓적배사마귀의 좌절 살다보마 힘들긴 사마귀라고 다를 손 있을 리 만무하다. 힘들다. 당랑거철螳螂拒轍..수레바퀴 밀었더니 힘이 좀 빠졌다. 2019. 9. 29.
머루랑 다래랑 얼음이랑 이걸 동네마다 부르는 명칭이 제각각이라 내 고향 공천에선 얼음 혹은 어름이라 하거니와 엑센트는 ice랑 같다. 서울 사투리로는 으름 정도로 표기 혹은 발음인 듯 하거니와 요즘 이게 벌어지는 시즌이라 이들 사진은 몇년전 내가 추석에 김천에 갔을 적에 딴 것이라 이는 원주시청 박종수 과장 오늘 포스팅 사진이라 보니 지금 한창 벌어진 모양이라 이 얼음은 달기가 한반도가 산출하는 과실 중엔 최고다. 이게 촌놈들한텐 묘약이나 도시 출신들은 먹을 줄을 몰라 내 마누라 아들놈만 해도 맛보곤 더는 못먹겠다 패대기 치더라. 이유는 씨 때문인데 저 속알맹이 삼분지이가 씨라고 보면 된다. 얼음은 먹는 묘미가 씹지 아니한 채 씨까지 통채로 목구녕으로 훑어넣으니 거개 도시 출신자들은 이걸 견디지 못하더라. 그리 삼킨 씨는 고스.. 2019. 9. 29.
탕춘대성 홍지문弘智門 유래는? 홍지문에 대해서는 "홍지문은 숙종이 친필로 '弘智門(홍지문)'이라 편액을 써서 문루에 달았는데,1921년에 주저앉아 방치되었던 것을 1977년 7월에 서울특별시 도성복원위원회에서 홍지문과 오간대수문, 그리고 주변 성곽 280m를 포함하여 복원하였다. 이때 홍지문 현판은 박정희 대통령의 글씨로 새겨졌다."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원래 이름이 한북문漢北門이고 기록을 아무리 찾아봐도 홍지문이라는 것은 보이지도 않습니다. 심지어 영조 24년 3월에는 한북문 어제현판을 잘못 걸었다고 고쳐 걸라는 지시를 내리기 까지 합니다. 홍지문이라는 근거를 아시는 분 계신가요? 아무래도 박정희시절 창작한 이름인 듯합니다. *** 홍지문은 북한산성을 보완하기 위한 탕춘대성에 난 성문이다.(김태식 補) 2019. 9. 29.
미륵전 조우 넓적배사마귀 한때 아들놈이 환장한 넓적배사마귀를 나주 심향사 미륵전에서 조우한다. 비록 방향 반대이긴 하나 부처 경배하는 폼이 난다. 전생이 사람이었는지 알 순 없으나 사람으로 태어나고픈 모양이라 지성이면 감천이라 했으니 기왕이면 부처님께 가까이 가라 올려놓으려니 버둥하며 앙탈한다. 너 그리 성질 내다 개털된다 달래니 마구잡이로 부처 머리로 기어오른다. 그러고 보니 내 전생이 사마귀였고 것도 넓적배사마귀였나 보다. 2019.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