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681

땅만 나눠주면 근대화인가 경자유전耕者有田[Land to the Tiller] 사전私田 혁파 장원폐지령 여전제閭田制 한전제限田論制 균전론均田論 심지어는 반전수수제班田収授制에 율령제 전시과田柴科 과전법科田法에 이르기까지 이 뒤에 깔린 생각은 모두 한 가지로 고대의 공전제公田制로 돌아가지는 생각이 깔려 있다. 이러한 사상은 한국만 있었던 것이 아니고 일본 중국 모두 있었고 실제로 이것이 구현된 시대가 있었다. 하지만 중세 이후 이 시스템은 붕괴했고 한국을 제외하면 어느 나라도 이 제도가 부활한 적이 없다. 실학의 소위 개혁론은 이러한 공전제 사상의 기초 위에 있다. 실학자들 주장대로 사전을 부정하고 땅을 나눠준다 해도 그것 자체가 근대화의 시작이 될 수 없다. 기본적으로 실학의 개혁론을 긍정하고 근대화의 단초로 보는 것은 우리사회가 .. 2024. 5. 6.
페르시스 Persis, 알렉산더 이후 살아남은 페르시아의 흔적 바그다테스 Bagdates - 페르시스 Persis 의 통치자(기원전 2기) 그를 일컬어 알렉산드로스 공략 이후 페르시스 통치자가 된 조로아스터교 사제였다고 하는데 바그다테스라는 말은 “주님의 선물 혹은 재능”이라는 뜻인데 바그다드 Baghdad (도시)라는 이름과 같은 어원일 수 있다 한다. 그는 통치 말기에 셀레우코스 사람들 the Seleucids은 헬레니즘 영향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페르시스의 아케메네스 Achaemenid 관습을 어느 정도 회복케 했으니 이는 그의 화폐 주조에서도 엿볼 수 있다고 한다. 저 코인 세트 중 아래 쪽 두 장면을 소개한 설명이 있는데 Coin of Baydad, Persepolis mint. The reverse shows Baydad enthro.. 2024. 5. 6.
아케메네스 왕조가 남긴 황금판 이는 영국박물관 British Museum이 소장 중인 기원전 6세기 아케메네스 Achaemenid 왕조 시대 페르시아 금판 Gold Plate 이라 하는데 이란 출토품이랜다. 하도 이짝에서 캐 간 게 많으니 그 컬렉션 중 하나인가 보다. 상설전시품이라면 내가 틀림없이 봤을 텐데 기억에 없다. 늙어서인가 아니면 하도 단시간에 본 게 많아서인지는 모르겠다. 추가 정보를 찾아봐야겠지만 언뜻 발견되지 않아 일단 소개만 한다. 2024. 5. 6.
들러리 둘러선 신부는 화병과 함께 무덤으로 간다 Cᴇɴᴛᴜʀɪᴘᴇ Fᴜɴᴇʀᴀʀʏ Vase : Ancient Sicilian Terracotta with Polychrome Bride and Attendants, 3rd–2nd Century BC, The Met 메트 소장품인 저 유물 자세한 설명은 아래서 발견된다.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254778 Terracotta vase | Greek, Sicilian, Centuripe | Hellenistic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Use your arrow keys to navigate the tabs below, and your tab key to choose an item Trendall, Arthur .. 2024. 5. 6.
남편 엉덩이를 패는 마누라? 어느 고고학 사이트가 소개한 한 장면인데 설명이 이렇다. A metal plate showing a wife spanking her husband, Netherlands, ca. 1480 1480년 무렵 제작한 금속판으로, 저것이 묘사한 장면은 남편 엉덩이를 패는 마누라라 한다. 다른 자료를 검색하지 아니해서 도대체 어떤 맥락에서 나온 어떤 주제 소재인지는 모르겠다. 남자가 저리 맞으면서도 꼼짝 못할 때는 보증 잘못 서서 집안 거덜냈거나 바람 피우다 들켰을 때 두 가지 정도 아니겠는가 싶다. 한데 저 때리는 도구는 빗자루 같은데? 빗자루로 되겠는가?  *** 캬 좋은 시절이다. 저걸 검색하니 자료 출전이 이렇댄다.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4.. 2024. 5. 6.
경관, 갈수록 헷갈리는 그 무엇 나는 늘 묻는다. 댐 만든다고 준설한다고 건물 짓는다고 나무 베어낸다고 그것이 환경 파괴인가? 이 풍광. 저수지 인공댐 아니었으면 그냥 무심히 지나쳤을 곳이다. 요샌 볼 수록 헷갈린다. (2015. 5. 6) *** 서산 마애삼존불 인근 고풍저수지라 저수지 자체도 그렇고 저 무성한 수풀도 실은 사방공사 산림녹화라는 인위가 빚어낸 그림이다. 무엇을 잃는다는 게 무엇을 얻는 것은 아닐까? 탈구축 deconstruction이 별것인가? 할수만 있다면, 실제 하는 일이기도 하나 산까지 만들어내는 시대다. 2024. 5. 6.
세계사에서 번지수도 찾기 어려운 실학의 개혁론 조선후기 실학의 개혁론을 들어 이것을 근대화의 선구 혹은 앙샹레짐의 붕괴의 징조로 간주하는 주장이 목하 대한민국 한국사의 주장이다. 그런데-. 필자가 보기엔 우리나라 실학의 개혁론, 특히 토지개혁론 같은 이런 것은 세계사에서 소위 말하는 중세의 붕괴와 근세의 출발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족보도 없고 번지수도 있는 얼토당토 않은 주장이 대부분이다. 전통적인 유교적 세계관을 한편에서 따오고, 실현가능한지 아닌지도 확신없는 이야기를 가지고 여전제니 한전제니 떠들고 있는 것을 도대체 세계사 어느 동네에서 이런 공상같은 이야기를 근대의 출발이라고 본다는 말인가? 한국의 실학론은 전혀 근대와는 무관하며, 굳이 세계사에서 찾는 다면 헤이안시대로 돌아가자는 딱 일본의 장원정리령 수준의 언설이다. 그나마 실학을 빼고 나면 .. 2024. 5. 6.
아름다운 순간 언제 촬영인지는 까먹었다.서산 마애삼존불이라문화재 지정 명칭은 아마 달라서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인가 할 텐데꼭 저리 거창하게 이름해야 뭔가 더 있어보이는지는 모르겠다.   저 커플 저 순간이 나한텐 그리도 아름다웠으며그런 까닭에 아주 자주 저 장면을 상기한다 말해둔다. 2024. 5. 6.
번역과 번역 문체, 어느 작품의 경우 "1938년 4월 4일 새벽, 피레네 산맥의 눈이 녹아 수량이 불어난 스페인의 에브로 강둑 위로 물에 흠뻑 젖은 두 남자가 차가운 물속에서 나와 기어 올라온다. 둘 다 미국인이다."이제 펼치기 시작한 애덤 호크실드 지음, 이순호 옮김 《스페인 내전》(갈라파고스, 2018) 본문 첫줄이다.우리네 직업적 학문종사자들은 죽었다 깨어나도 이렇게 글 못 쓴다.강렬하지 아니한가? 이 한 줄은 독자들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다. 논문이 글을 죽이고 말았다. (2018. 5. 6)***이 작품은 접때도 그 첫 줄 중요성을 논하면서 인용한 적이 있거니와, 이번에는 번역 이야기를 좀 보태고 싶다. 저 번역투 가득한 문장을 번역자가 말하고자 하는 원의를 훼손하지 아니하고 나라면 다음과 같이 고치고 싶다."1938년 4월 4일 .. 2024. 5. 6.
부처님 오신 날을 앞두고 향을 공양하는 모습 인듯 하네요. 부처님 오신날이  다가 오네요.국립주박물관 야외 전시품 중 하나다.공양상을 조각한 탑 몸돌로 본다. 스님처럼 보이는 두 사람 모두 손에 각각 병향로를 쥔 듯하다.  *** Editor's Note ***  올해 부처님오신날은 5월 15일 수요일이다. 공휴일이라는 뜻이지만, 백수한테는 매일매일이 공휴일이라 저날이 저날이라 해서 크게 의미가 있지는 않다. 곧, 백수한테는 매일매일이 부처님오신날이요 크리스마스다. 2024. 5. 5.
막걸리랑 어린이날 뜯어야는 가자미 후라이팬에 기름 살짝둘러 노릇노릇 하게 구워서 님이랑 막걸리 한잔 하고픈 비오는 어린이날임니다. *** 아마 오작가가 감포 쪽으로 행차하지 않았나 싶다. 저짝엔 언제나 가자미가 빨랫줄에 걸려 있다. 2024. 5. 5.
서산매애 삼존불 길목에서 마주한 어느 저수지 서산 마애삼존불 가는 길목 고풍저수지라는 데라2015년 5월 저짝 가는 길인지 다녀온 길이지 포착한 한 장면이라이 무렵이면 어딘들 저수지나 연못이 저렇지 아니한 데가 있을손가?여름으로 가는 문턱이 여름보다는 백 배 나을 수밖에 없다.그 찐득찐득한 장마 뒤 한여름은 고역이다.저곳이 서산시 운산면 고풍리 고풍저수지라고 한다. 이 저수지를 디지털서산문화대전은 아래와 같이 소개한다. https://www.grandculture.net/seosan/toc/GC04101118 고풍저수지 - 디지털서산문화대전[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고풍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1종 저수지. [건립 경위] 고풍저수지는 1967년 4월 5일 착공하여 1975년 12월 31일 준공되었다. [변천] 2009년 가로 8m, 세로 7m .. 2024. 5. 5.
황금으로 떡칠한 고대 이집트 신들, 특히 아문의 경우 이 순금 조각상은 본래 투탕카멘묘 발견발굴자로 유명한 영국 고고학도 하워드 카터가 단돈 1파운드에 카이로 고물상에서 샀다는 정보가 떠도는데, 관련 자료를 더 검색해 보지만 아직 그 정확한 근거를 찾지는 못했다.  다만 이것이 뉴욕 메트로박물관 Metropolitan Museum in New York City 소장품이며, 박물관은 그것을 1926년 알미나 Almina 라는 사람한테서 구입했다고 한다. 알리마가 누구인가? 카나번 백작 부인 Countess of Carnarvon 으로, 투탕카멘 발굴 후원자로 유명한 카나번 경 Lord Carnarvon의 부인이다.흔히 카나본 경이라고 쓰는 카나번은 George Edward Stanhope Molyneux Herbert을 말하며 제5대 카나번 백작 5th Ea.. 2024. 5. 5.
뉴욕 메트, 이번엔 이라크에 수메르시대 청동상 반환 불법 반환 문화재는 해당 국가에 반환하는 움직임을 가속화하는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박물관 Metropolitan Museum of Art [이하 메트 Met]이 이번에는 이라크에 기원전 3천년대 수메르시대 청동상 1점을 이라크 정부에 반환했다. 이번 일에 대해 메트에서는 to repatriate [리페이트리에잇, 강세는 페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그것이 메트에 입수된 유래를 조사한 결과[이런 조사를 메트에서는 provenance research 라 일컫는다] 불법성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에 메트 뮤지엄은 지난 4월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Washington D.C.]에서 두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반환식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이라크 쪽에서는 모하메드 시아 알 수다니 Moh.. 2024. 5. 5.
실물로 드러난 고대 그리스의 염승厭勝 이 소식은 2020년 무렵인가 공개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은니이에서 말하는 저주 의식이 동북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이른바 염승厭勝이라 해서 유통했으니저주하고자 하는 사람 인형을 만들어 바늘 같은 것으로 찔러 마당 같은 데 묻어두는 일 같은 행위를 말한다.이는 중죄라 드러나면 목숨을 부지 하지 못했으니 특히 왕의 총애를 다투는 여인네 싸움에서 흔히 발견된다.저 그리스 버전도 비슷했으니 아테네의 글리케라 Glykera 라는 갓 결혼한 신부를 겨냥한 고대의 저주 curse 라는 오래된 미스터리가 드러난 것이다.고고학자들은 아테네에서 2,300여 년 전 글리케라를 향한 저주를 밝히며 놀라운 발견을 했다.케라메이코스 Kerameikos 네크로폴리스 공공 우물 깊은 곳에서 "우리는 디온 Dion 의 아내 글리케라에게 저.. 2024. 5. 5.
괴베클리 테페 Göbekli Tepe, 인류가 처음으로 건설한 신전 고고학도들은 지구의 위대한 문명보다 수천 년 앞선 어떤 신전이 지닌 수수께끼를 풀 방법을 여전히 찾이 못하고 헤매는 중이다.괴베클리 테페 Göbekli Tepe 는 세계에서 가장 큰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힌다. 오늘날 튀르키예 영토에 위치한 인류 최초의 사원일 수도 있는 이곳만큼 연구자들 흥미를 끄는 고고학적 발견은 드물다.이곳은 신석기 시대부터 수렵채집인들의 유목민 사회에 의해 그리스도가 출현하기 약 1만년 전에 세워졌다.괴베클리 테페는 그만큼 모든 것이 신비롭다. 동물 도움 없이 거석들  monoliths 들을 세우며 사용한 기술부터 이 사원 근처에 사람이 사는 데가 하나도 발견된 것이 없다는 사실까지 그렇다.이곳은 사원으로 추정되며, 하늘을 바라보는 신앙이 있었다고 추정할 뿐이다. 이곳에서 발견된 .. 2024. 5. 5.
공익이라며 개인 이익을 예사로 넘보는 사회 북한애서 내려온 분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이야기가 있다. 일 시켜 놓고 끝나면 아무것도 안 준다는 것이다. 왜. 공익이니까. 앞뜰에 심어 놓은 작물도 수틀리면 걷어가는데 이유를 물어보면 원래 나라땅이라는 것이다. 공익은 필요하다. 하지만 개인의 이익을 무시로 원칙도 없이 넘어와서는 곤란하다. 한국사에서 개인의 사전에 기반한 시스템이 때만 되면 자꾸 무너지고 무너지고를 반복한 가장 큰 이유가 뭔고 하면 바로 이렇게 공익이라는 이유로 개인의 권리를 무시로 농락한 전통 때문이다. 공익? 대개는 힘있는 놈이 지 맘대로 하고 싶을 때 공익을 판다. 북한을 봐라. 없는 살림에 장마당에서 피땀 흘려 번 돈을 공익이라는 이름으로 어느날 갑자기 화폐개혁을 해서 있는 돈을 전부 휴지조각으로 만들어 놓고는 그걸 공익이라 한.. 2024. 5. 5.
막판까지 피말리는 아스널-맨시티 EPL 쟁투 38라운드까지 치르는 2023-24시즌 잉글리시 프리미어리그 축구 EPL이 막바지로 치닫는 가운데 이번 시즌 타이틀 경쟁은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아스널과 맨시티 2파전으로 좁혀졌으니 조금전 끝난 본머스와의 36라운드를 치른 아스널이 승점 83점으로 수위를 유지한 가운데 조금 있다 35라운드를 치르는 맨시티가 두 경기를 덜 치른 가운데 4점 뒤진 79점으로 2등이다. 이들과 경쟁한 리버풀은 나가 떨어졌다. 따라서 산술로 보면 맨시티가 남은 네 경기를 모두 이기면 아스널 경기 결과에 관계없이 우승을 확정하게 된다. 이는 두 팀 모두 남은 경기를 다 가져간다는 가정에서 성립한다. 하지만 남은 일정이 두 팀 모두 낙승들을 장담할 수는 없다. 아스널은 원정으로 치르는 맨유와의 37라운드가 최대 고비다. 전력으로.. 2024. 5. 4.
저짝도 모르면 덮어놓고 제사 제의 그제 저 십이면체 로마시대 뻥뻥 뚫림 청동유물 dodecahedron 을 소개하며 그 기능 미상이라 하며한국이나 일본고고학 같음 제의 관련 유물이라 퉁쳤을 것이라 말했거니와 실제 고고학도들 보면 지들이 모르는 건 덮어놓고 제사 제의 운운하니 실은 이런 경향이 서구 구미권이라 해서 다를 것도 없다.저 유물이 특이한 오직 한 가지 이유는 딱 하나다.기능을 모른다는 사실이다.저 유물을 중심으로 영국인가 소재하는 링컨박물관 LINCOLN MUSEUM 이란 데서 특별전을 개최키로 한 모양이라영국에서만 33점이 발견된 희귀한 이 12면 물체는 이쪽에서는 미들랜즈 Midlands 에서 첫 발견 사례를 보고했다. 높이 약 3인치 무게 8온스인 이 유물은 그 기능을 두고 전문가들을 어리둥절하게 한다 하거니와 Norton.. 2024. 5. 4.
국가유산을 지키는 사람들-지자체에도 학예연구사가 있다. 곧 '국가유산청'으로 바뀌는 '문화재청'에서 간행하던 '문화재사랑'이라는 월간잡지가 있다. 문화재를 국가유산으로 명칭 변경한 까닭에 잡지이름도 '국가유산사랑'이 되었다. 이 잡지는 국민들에게 다양한 문화유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데, 최근 2024년 5월호에 '국가유산을 지키는 사람들 - 신명나는 직업 이야기 학예연구사'라는 제목의 12컷 만화가 실렸다. 내용은 국가유산을 지키고 널리 알리기 위해 이를 연구하고 보존하고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리는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있으니, 그들이 바로 학예연구사이고, 학예연구사가 하는 일들에 대해서 간략히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업무에 따라 여러 분야로 나뉘는데, 박물관에서 일하는 학예연구사는 전시기획, 유물수집과 보관, 보존처리, 박물관 교육 등의 다양한 업무를 하고,.. 2024. 5. 4.
이것이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두 개 삼각형 암컷 거시기 사이로 누가 봐도 부랄스인 알맹이 두 개를 부착한 물고기 모양 거시기가 관통한 모습을 형상화한 아포트로픽 모자이크 apotropaic mosaic 다. O CHARI라는 글귀가 있다. 저런 부랄스 혹은 여자 거시기 아님 유방만 보이기만 하면 풍요 다산 풍년 운운하는 일은 이짝이나 저짝이나 마찬가지라 이것도 그 딴식 해설이 통용한다. 부랄만 보이면 풍요 다산이니? 하드루메툼 Hadrumetum 출토. 서기 2세기 말~3세기 중반. Sousse Archaeological Museum, Tunisia. 하드루메툼은 카르타고 이전 페니키아 식민지였다. 반달과 우마이야 정복자들이 폐허를 만들기 전에는 로마 아프리카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다. 튀니지 수스 소재. 따라서 저 모자이크는.. 2024.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