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642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10) 콜로세움을 발굴 중 보니 콜로세움은 발굴 중이라 안내문이 아래와 같다. An archaeological research campaign, took place between October 2022 and June 2023 aiming at excavating the two corridors (first and second ambulatories) on the southern front of the Colosseum and collapsed as a result of demolitions and earthquakes. The goal, as well as scientific and cognitive, is to open to visitors a new sector of the Colosseum, expanding the vis.. 2023. 11. 5.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9) 무덤은 역시 밤에 봐야, 세스티우스 피라미드 로마 시내 복판을 정좌한 이 세스티우스 피라미드는 내긴 여러번 소개했거니와 이집트 소재하는 피라미드로 본래 모습을 유지하는 데는 단 한군데도 없고 실상 온전한 피라미드는 로마에 소재하는 역설이 빚어진다. 이집트 미라는 재건축한다고 부재를 다 뜯어제껴서 남은 건 앙상핫 골조라 그걸 훙내내어 로마시대에 만든 이 무덤이 피라미드 진짜 모습이다. 물론 피라미드도 변화가 있어 초기 계단식에서 후대 저리 맨질맨질 뺀질뺀질 첨두형으로 변하는데 희한하게 이 로마 피라미드는 뜯지 않고 그대로 남겨뒀다. 로마가 제국주의 성향이 강해 폼나는 건 다 빨아들었으니 그리스 빨아먹다 국물도 안나오니 이집트로 돌아섰고 그 와중에 피라미드도 폼난다 해서 저리 무덤을 지었다. 2023. 11. 5.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8) 만땅으로 시작하는 하루 갤럭시 폴더폰 단점은 충전기 소모가 굉장히 빠른다는 점이다. 그래서 항용 보조배터리랑 충전 케이블을 소지하고선 앵꼬를 대비해야 한다. 유럽이라 예서는 아구가 맞지 않아 아구 맞추는 설비까지 구비해야 하며 또 도둑놈이 하도 많아 충전기 꽂아둔 상태에서 자릴 뜰 수도 없다. 글타고 우리네 카페처럼 암뎌서나 꽂을 데가 있는 것도 아니다. 만땅 채우고선 새벽을 출타한다. 바람이 열라 거세다. 아마 어중간에 다시 들러 다시 만땅하고선 움직여야 할 것이다. 2023. 11. 5.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7) 로마는 wuthering heights 폭풍 '시아란'으로 물에 잠긴 伊 중부…사망자 7명으로 늘어 2023-11-04 22:53 https://m.yna.co.kr/view/AKR20231104041900109?section=search/news 폭풍 '시아란'으로 물에 잠긴 伊 중부…사망자 7명으로 늘어 | 연합뉴스(로마=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 =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주를 강타한 폭풍 '시아란'으로 인한 누적 사망자가 최소 7명으로 늘어났다.www.yna.co.kr 지중해는 이름이 육지 사이에 찡긴 바다라 해서 그렇고 또 세계 전도상에서 드러나는 바다 크기는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엔 쨉이 되지 않아서 뭐랄까 상대적으로 우리한테는 안전할 듯한 인상을 주기는 하지만 바다는 바다라 자고로 바다라면 해코지 할 만한 짓은 다하는 변덕이 차별이 있.. 2023. 11. 5.
고창 봉덕리 봉덕고분 발굴현장 공개 고창 봉덕리 봉덕고분 발굴조사 결과를 공개합니다. 2023년 국비지원긴급 발굴조사를 진행했습니다. 가장 큰 분구묘인 봉덕리고분군과 가까운 거리에 있으면서도 또 다른 맥락을 보여주는 봉덕고분의 발굴 성과를 공개합니다. 일시: 11월 7일 11:00시 장소: 고창군 아산면 봉덕리 산 19-10 오셔서 고창 땅의 역사를 확인하세요 #문화유산마을 2023. 11. 5.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6) 부닥쳐야 문제가 드러나기 마련 열세시간 항해 끝에 로마 피우미치노 다빈치 공항에 안착해 짐을 찾아 에어비앤비로 예약한 숙소로 찾아들었다. 한달을 베이스캠프로 쓸 곳이라 그런대로 괜찮은 곳이라 해서 골랐는데 그런대로 괜찮은 데라는 느낌은 있지만 좀 생활해봐야 알 듯 하다. 여장을 풀고는 인근에 어떤 데가 있는지 봐두어야겠기에 어슬렁거렸다. 비가 제법 온다. 제법 규모가 있는 수퍼가 있어 몇 가지 사두자 해서 들렀는데 그러고선 트래블월넷인지 하는 카드로 긁었더니 안된다. 조금 있다 원인을 알았다. 발급만 받고선 실뮬카드 등록을 해야는 모양인데 그게 안됐단다. 패착이다. 2023. 11. 5.
제사를 중단할 수 있는 자 제사를 중단하고 더이상 하지 말고 이제는 다른 방법으로 추모 방법을 찾자고 이야기 할 수 있는 사람은 제사를 받는 날짜에 점점 가까와지는 사람들이다. 이 사람들이 자기 당대에 제사를 중단하고 그 자체 액자에 넣어 벽에 걸고 명예롭게 끝내야지 나라도 해야지 라고 생각하며 죽을 때까지 꾸역 꾸역하다가 정리 못한 상태에서 돌아가시면, 그 제사는 다음 대에는 액자가 아니라 쓰레기통으로 들어간다. 제사는 자기가 받을 제사에 가장 가까와 진 사람이 중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 수명을 다해가는 제사에게 명예로운 퇴진의 길을 열어주고 싶다면, 바로 그런 위치에 있는 분이 그렇게 선언하고 다른 길을 찾자고 이야기 해야지 제사상 반찬 숫자 줄이는 거로는 절대로 해결이 안된다. 제사 대신 무엇으로 대체할 것인지, 그것을 .. 2023. 11. 4.
신라는 왜 일본의 견당사를 죽도록 방해했을까 삼국통일 이후 신라는 일본의 견당사를 노골적으로 견제했고 일본은 그 이전 수백년간 이용했던 중국행 항로로 한반도 남해안과 서해안을 거쳐 황해를 도해하는 항로를 포기하고 목숨을 걸고 동지나해를 가로지르는 견당사의 길을 택해야 했다. 그런데, 신라는 왜 이렇게 죽도록 일본의 견당사를 방해했을까? 따지고 보면 한반도를 경유하는 일본의 중국행 루트는 일본에서 출발하면 그게 중국행 항로지만 반대로 한국에서 보자면 이건 대동강유역에서 한반도를 거쳐 일본열도로 이어지는 아주 오래된 해양항로였겠다. 이 해양항로는 낙랑-마한-변한-왜로 이어졌지만, 정작 신라는 이 항로의 외곽지대에 비켜져 있었고 신라 건국이후 계속된 서진 정책은 사실상 이 항로에 대한 직접적 위협이나 다름없었다. 따라서 왜는 자연스럽게 이 항로선상에 있.. 2023. 11. 4.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5) 13시간의 암흑으로 들어가며 중동 부자나라 벵기던가? 거긴 와이파이도 제공하더라만 국적기가 그런 데는 여즉 없는 줄로 안다. 열세 시간 통신 두절 상태로 들어가니 좀 바빠졌으니 나도 그렇고 신동훈 교수도 그래서 막 싸지른 글들을 오늘 아침 유별나게 더 공유하느라 부산 뜬 이유다. 난 장기간 비행 이코노미로 못한다. 신체결함 때문이다. 내일 로마서 뵙겠습니다. 2023. 11. 4.
[백수일기 spinoff] 자발 백수도 춤추게 하는 한마디 선생님~ 통장사본 이미지 하나 받을 수 있을까요~? 강요된 백수 내 친구 춘배는 말할 것도 없고 나처럼 제발로 기어나온 볼런태리 백수라 해도 저런 말이 그 어떤 백수도 춤추게 한다. 자발 백수건 강요 백수건 그들을 춤추게 하는 건 영혼없는 힘내세요 이길 거예요가 아니리 입금! 이다. 현직에서 그럴 듯한 자리 직업 있음서 또 각종 회의 불려다님서 법카로 밥값 술값 해결하는 사람들일수록 새겨야는데 내 살아보니 힘내라는 말과 더불어 입금하는 사람은 모두가 나보다 힘들게 사는 사람들이더라. 내가 돈타령 현금타령하고 또 찢어지게 가난하게 태어나고 자랐다만 내가 그래도 덜 부끄런 까닭은 주어야 한달 땐 주저없이 주었고 천만원 이하는 빌려준 적이 없기 때문이다. 가난은 임금님도 구제 못해? 왜 못해? 안할 뿐이다. .. 2023. 11. 4.
불교의례의 쇠퇴와 제사 우리나라 제사문화는 굉장히 오래된 것 같지만, 조선이 건국되기 이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는 관혼상제의 상당부분을 불교 사찰들이 떠 안고 있었다. 지금 일본을 가보면 일본인들의 관혼상당 상당부분이 불교사찰이나 신사에서 행해지고 있는데 이걸 집안으로 끌고 들어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 굳이 일본만 그런 것이 아니라 다른 나라 모두 마찬가지다. 추모의례가 됐건 매장이건 간에 교회로 가던 아니면 다른 공적 시설을 찾게 되어 있지 이걸 굳이 집안에서 끼고 있는 나라는 적어도 선진국 중에는 거의 없다는 말이다. 한국역시 조선건국 이전까지 관혼상제가 불교사찰들의 밥줄이었는데, 이것이 숭유억불정책에 따라 사대부들의 공격 타겟이 불교의례가 되면서 사찰에서 행해지던 많은 관혼상제 예식들을 사대부 반가에서 스스로 전부 다 떠 .. 2023. 11. 4.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4) 새 술은 새 부대에, 라이타 역시 만땅으로 라이타가 모름지기 담배 피는 사람들한테만 전유물이 아니어서 부싯돌이라 생필품 중 하나다. 더구나 나야 애연가이니 없을 수 없고 또 현지서도 쉽게 구하기는 하나 개통이라 막상 필요할 때는 없는 친구가 또한 라이타라 한 명당 한 개만 휴대 탑승을 허용하는 점이 안타깝기는 하나 이것도 한달이나 공생해야 하니 새걸로 하나 장만했다. 얼마를 버틸지 알 수 없고 또 어중간에 망실할 공산도 없지 아니하나 나이가 들수록 이상한 점이 라이타 하나를 가스 동이 날 때까지 쓰는 일이 많아진다는 사실이다. 이게 나로선 신기하기 짝이 없는데 젊은 시절엔 몇 번 쓰지도 못하고 잃어버리는 일이 다반사였으니 혹 다른 분들도 비슷한지 모르겠다. 한달 동고동락할 친구한테 字라도 붙여줄까? 은옥이? 온옥이? 돈독이? 앵벌이라 부르기로 한다. 2023. 11. 4.
한국제사와 선산의 문제점 한국 제사와 선산의 문제점은-. 다른 나라 같으면 공공기관이나 사찰, 교회, 신사 등에서 할 일을 가정으로 친족으로 끌고 들어와 집에서 관리하고 있다는 데 있다. 이런 건 집에서 하는 일이 아니다. 위패나 화장유해의 봉납, 매장, 그리고 추모의식까지 이런걸 자기 관할의 땅에 매장하거나 모시고 추모의식까지 자기들 손으로 음식 다 준비하여 집에서 거행하고 있는것이 지금 한국인데, 냉정하게 생각해 보면 답은 나온다. 이게 될 리가 없다. 지금까지는 어떻게 됐는지 모르지만 앞으로는 당연히 불가능이다. 제사와 선산으로 상징되는 추모 및 매장 공간은 개인의 영역으로 끌고 들어오면 안 되는 것이다. 그게 사찰이 됐건 교회가 됐건 추모시설이 됐건 개인의 영역이 아니라 보다 공적영역으로 나가야 하고, 제사로 상징되는 추.. 2023. 11. 4.
싸지른 총리 총대 매고 대타 사임한 이태리 총리 보좌관 멜로니 伊총리 속인 장난전화 못 걸러낸 외교 보좌관 사임 2023-11-04 05:27 멜로니 총리, 전쟁 피로감 발언 "새로운 것은 아냐" https://m.yna.co.kr/view/AKR20231104005300109?section=international/index&site=hot_news_view_swipe01 멜로니 伊총리 속인 장난전화 못 걸러낸 외교 보좌관 사임 | 연합뉴스(로마=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 =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의 수석 외교 보좌관이 러시아 유튜버의 장난 전화를 걸러내지 못한 데 대해 책임지...www.yna.co.kr 우리가 무슨 이태리 정치인에 관심이 가겠는가? 저짝이라면 모솔리니와 베를루스코니 정도밖에 기억에 없다. 따라서 저 보도에 첨부한 사진을 보고선 언뜻 .. 2023. 11. 4.
그 많은 무연고 무덤은 무엇을 말하는가? 필자가 초창기 발굴현장을 다니던 무렵. 그러니까 2006년경이던가. 산을 깎아 관공서로 들어설 부지에 발굴조사를 하던 곳에 나가 그곳 현장에서 작업하던 분들과 함께 일할 기회가 있었다. 필자가 그곳에 갔을 때, 이미 현장은 몇만 평인지도 모를 부지를 모두 나무를 쳐 내고 그야말로 일대 장관이었는데, 그 넓은 부지에 수도 없는 조선시대 묘지가 있었다. 아마도 조선시대에는 동네 야산으로 여러 문중의 선산이었는지, 과장 좀 보태서 발도 못 디딜 정도로 빽빽하게 무덤이 사방에 있었다. 그런데 현장 발굴 책임자 분 이야기는 더 충격적이었다. 이 모든 무덤 거의 전부가 무연고묘, 즉 주인없는 무덤이라는 것이다. 누군가가 죽었을 때 후손들이 무덤을 만들었겠지만, 어느 시기인가부터 무덤을 잊어 버리고 지금은 후손 있는.. 2023. 11. 4.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3) 떠나는 자, 남은 자 서울대서 열린다는 고고학전국대회인지 뭔지에 얼굴 비친다고 기차로 고창서 상경한 영디기를 쳐박은 모텔이다. 한잔 빨고 있을지 골아떨어졌을지는 모르겠다. 대회 참가자들이 사당역 인근 모텔들에 대체로 아지트를 틀었는지 모르겠지만 가뜩이나 번화한 그쪽은 아홉시 전까지는 쉬어가요 손님 받는 바람에 투숙도 하지 못한대서 남영동 사저서 직선 거리 오십미터인 저짝을 소개하고선 밀어넣었다. 가끔 경주 오작가도 이용하는 이 모텔은 그런 번다함이 없어 내가 지인들을 소개하는 곳이지만 들어가본 적은 없다. 장흥 촌놈이 할 줄 아는 일이라고는 문화재, 개중에서도 발굴과 그 활용이라 해서 맨 돌이나 깨고 그렇게 깬 돌로 나무 쪼아 움막 짓는 일을 천직으로 아는 친구다. 근자 강요 백수가 된 춘배랑은 나이도 같고 나 또한 형 행세.. 2023. 11. 3.
학살전쟁 개시 시기를 앞당겼다는 신석기시대 집단 무덤의 인골들 [사이테크+] "5천년 전 스페인 집단매장지는 수개월간의 전쟁 사상자 무덤" 송고시간2023-11-03 07:22 스페인 연구팀, 신석기 매장지 유골 분석… "유럽 전쟁 역사 1천년 이상 앞당겨"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유럽에서 신석기시대에 부족 간 소규모 분쟁이 아니라 최소 수백명이 수개월 이상 살상전을 벌인 대규모 전쟁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1천년 이상 이른 약 5천년 전 일어났음을 보여주는 대규모 매장지가 발견됐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1102133700017?section=culture/scholarship [사이테크+] "5천년 전 스페인 집단매장지는 수개월간의 전쟁 사상자 무덤"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유럽에서 신석.. 2023. 11. 3.
이크롬 차기 사무총장에 Aruna Francesca Maria Gujral 이크롬 ICCROM 차기 사무총장 Director General 에 아루나 프란체스카 마리아 구즈랄 Aruna Francesca Maria Gujral 이 내정됐다. 이크롬 회원국들은 로마 FAO 본부에서 열린 총회에서 차기 4년 이 기구를 책임질 수장으로 그녀를 선출했다 임기는 2024년 1월에 시작한다. 인도계 이탈리아 국적으로 알려진 Ms Gujralas는 20년 이상 공공 국제 부문에서 일했다. 특히 18년간 유엔식량농업기구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에서 일했으며 20개국에서 여러 일을 했다. 이쪽에서 일하는 조유진 선생 새 보스다. 또한 이크롬 새 이사 중 한 명으로 국립문화재연구원 신지영 실장을 선출했다. #I.. 2023. 11. 3.
복잡한 제사는 못배운 이들이 저리 만들었다는 무책임함에 대하여 최근 몇년간 제사 관련한 기사를 접할 때마다 필자가 항상 불쾌하기 짝이 없는 내용의 하나는 어디 어디 종가집을 가보니 제사상이 정말 간단하고 그 집에서는 수백년동안 그리 제사를 지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제사에는 떡그릇, 과일 그릇 몇개면 되는것이지 복잡할 필요 없다고 한수 가르쳐 준다. 말은 바로하자. 예기에 몇줄 되지도 않는 예론을 불리고 불려서 두꺼운 책으로 만들어 놓고는, 그것도 지들끼리 제사법도 통일을 못시켜서 서로 싸움질을 한게 누군데 지금 못배운 이들이 제사법을 그리 복잡하게 만들었다고 훈수질인가. 니네 잖아!!! 예기에 몇 줄 안되는 내용으로 사람을 죽이고 죽이는 칼날을 만들어 낸게 니네들이 아니면 도대체 누구라는건가!!! 고례에는 남아 있지도 않은 제사법을 불리고 불려 복잡하게 만들어 놓은.. 2023. 11. 3.
[요지경] 여자가 한을 품으면 독버섯을 먹인다? 독버섯으로 전 시부모 살해?…호주 여성, 3명 살인혐의로 재판에 2023-11-03 14:57 초대해 대접한 음식에서 독버섯 확인…과거 복통 겪은 전 남편은 초대에도 안가 https://m.yna.co.kr/view/AKR20231103093400104?section=international/index&site=hot_news_view_swipe01 독버섯으로 전 시부모 살해?…호주 여성, 3명 살인혐의로 재판에 | 연합뉴스(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호주의 40대 여성이 이혼한 남편의 부모에게 독버섯이 든 음식을 대접해 사망하게 한 혐의로 법정에 섰다.www.yna.co.kr 이 소식에 왜 영화 미저리가 오버랩하는지 모르겠다만 그러면서도 오죽 원한이 맺혔으면 저리 했을까도 싶다. 독버섯이라... 2023. 11. 3.
신정일 작가와 함께 걷는 갈재 옛길 옛길 걷기에 함께 할 길동무를 모십니다. 딱 하루의 시간을 내서 호남의 조선시대 국도1호선이었던 삼남대로 갈재를 함께 걷고자 합니다. 길 안내는 옛길순례의 선구이신 신정일 작가님이 해 주십니다. 기억에서조차 사라지는 호남 내륙의 가장 큰 교통로. 그리고 그 길에 남겨진 사연과 함께 깊어가는 가을속 여행을 해보시면 어떨까요?. 일시:11월 11일 10시30분~14시30분. 장소: 장성군 북이면 원덕리2구 마을정자. 중식과 간단한 음료는 문화유산마을에서 준비합니다. 아래의 리플렛을 참고하시고 선착순 인원 모집입니다. 연락처 : 063-564-1101 문화유산마을입니다 2023. 1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