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964

눈 뜨고 당하는 갯벌 사태에 부친다. 문화재행정, 문화재여서 행복을 주어야 한다. 요새 해양수산부 하는 꼴이 가관이라, 그래 이런 일에 문화재청이 어디있고 지자체가 따로 있겠으며, 갯벌 관리 주무 부서가 해수부임은 분명하니, 갯벌로 뭔가 해보겠다고 설치는 일 당연히 환영할 만한 일이고, 그래 저런 공룡부처가 무엇인가 갯벌 발전을 위해 무엇인가는 해야 하며, 그런 점에서 근자 해수부가 갯벌로 뭔가 해보겠다고 설치는 일은 환영할 만하다. 문제는 분수 모르고 날뛴다는 점이다. 월권한다는 점이다. 본연의 구실 권능에서 벗어나 다른 부처에서 해야 할 일까지 가로채려 한다는 사실이다. 그래 지들이 갯벌이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일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않았다고는 할 수 없다. 당연히 지지가 있었으니 그 주무부처인 문화재청과 관련 지자체가 등재를 밀어붙였고, 그리하여 마침내 등재까지 이뤄냈다. 물론 .. 2021. 10. 17.
마스크는 코까지 덮으라, 턱스크에 대한 1938년의 경고 1938년 11월 15일 매일신보 계몽기사라 당시 사망원인 일등인 결핵 감염 예방을 위해 양치질을 잘해야 하고 또 마스크를 쓰야 한다고 권고한다. 또 마스크를 입에만 씨우고 코는 내놋는 사람이 잇는데 그러케하면 효과가 반감되는 것이니 입과 코를 잘 덥도록 하십시다. 턱스크를 하지 말란 말이다. 백년 전 그때나 지금이나 달라진 건 하등 없다 이러다 팬데믹 지난 뒤에도 마스크는 필수인 시대가 도래하지 않나 한다. 그만큼 면역력은 떨어질 텐데 그게 걱정이다. 2021. 10. 17.
"멀리 있어야 아름답죠 가까이 있으면 시끄러워요" MBN 관찰 예능 《나는 자연인이다》 녹화방영분 한 산골 외톨이 노인네 출연자가 아침에 일찍 일어나 고무총으로 돌맹이를 나무숲으로 연신 쏘아대면서 하는 말이다. 새소리가 시끄러워 잠을 못 잔단다. 산촌 농촌에 사는 사람들한테 개구리 맹꽁이 우는 소리는 실은 진절머리다. 이놈들이 한꺼번에 울어대면 잠이 다 달아난다. 얼마나 시끄러운가? 열라 시끄럽다. 세상 모든 잡음 잡소리라는 잡소리는 다 모아놓은 듯하다. 오죽 저 개구락지 맹꽁이 소리가 소음이었으면 중국 남조시대 한 황제는 개구리 울지 못하게 하라고 보초까지 서게 만들었겠는가? 너희들이 아니 그 고통을? 그래 뭐 농활 한 번 가 보고 잠깐 듣는 개구리 맹꽁이가 낭만일지 모르나 그곳을 터전으로 삼는 사람들한테는 귀마개를 하고 자야 하는 존재다. 참다 못해.. 2021. 10. 16.
"백번 기도가 한 번 종두만 못하다" 100년전 두창 예방주사 장려 표어 1922년 코레라 예방 표어 당선작과 이듬해 두창 예방 표어 당선작이다. 코레라 콜레라 예방 표어 당선작은 이렇다. 일등..보이지 않는 곳에서 코레라는 번진다 이등..코레라에는 내일이라 하지 말고 오늘 주사 삼등..천리의 코레라도 이웃이라 생각하라 두창 예방 표어 당선작이다. 일등..죽을내, 얽을내, 종두할내 이등..백번 기도가 한번 종두만도 못하다 삼등..곰보는 문명의 수치 둘다 어딘가 기시감 다대하니 지금의 코로나 정국에서 백신접종을 독려하는 논리랑 같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 2021. 10. 16.
고창고보 교사 송태회宋泰會(1872~1941) 송태회는 호가 염재(念齋), 염재(恬齋), 호산(壺山)이다. 화순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한학자이자 서화가이다. 숙부인 사호(沙湖) 송수면(宋修勉, 1847~1916)의 제자로 16세에 진사시에 급제하였으며 22세에 성균관 유생이 되었으나 출사하지 않았다. 1909년 7월 《대한매일신보》 기자로 잠깐 동안 근무하였으며, 1920년 고창으로 이거하여 고창 오산고등보통학교에서 한문과 역사를 가르쳤다. 이후 오산보통고등학교는 고창고등보통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오늘날 고창고등학교이다. 교직 생활을 하는 동안 1922년부터 31년까지 조선미술전람회에 서예에 2회 입선하였으며 문인화 부문에서 6회 입선하면서 화단에서 활동하였다. 고암 이응노(李應魯, 1904~1989)를 지도하기도 하였다. 매천 황현, .. 2021. 10. 16.
쉘부르의 우산 같고 어우동 일산 같은 개미취 이 친구가 토종인지 귀화한 여진족 이성계 같은지 알 순 없으나 그런 까닭에 분명 고향에서 통칭하는 이름은 따로 있을 텐데 도대체가 기억에 떠오르지 않는다. 앞 친군 수송동 우리공장 옥상이요 먼 벗이 상경해 휴대폰에 주어담는 이 친구는 경복궁 경내 그것이라 특히 후자는 군란 이루어 그네가 만발하는 지금 시즌은 자못 황홀이라 할 만 하니 지자체마다 꽃밭 만들지 못해 환장하는 시대라 국화 맨드라미 핑크뮬리 댑싸리 말고도 내가 있다 살랑살랑 흔드는 폼새 살피면 천상 쉘브르의 우산이요 데이지 밀러라 궁댕이 씰룩씰룩하며 피맛골 활보하는 어우동이 걸쳤을 기름 일산日傘이 천상 이 모양이었으리라. 누군가한테 물으니 저 어우동 짝을 일러 개미취라 하더라. 2021. 10. 16.
"내부를 공개하자" 무덤을 판 조사단의 담대한 제안 한반도 서남해안 땅끝마을 전남 해남에 방산리 장고봉고분이라는 삼국시대 무덤이 있다. 정확한 지점은 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방산리 721번지라 이를 지도에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 지도 한 장이 저 무덤의 모든 것을 말해준다. 딱 길목이다. 서남해안을 관통하는 수로 길목이면서, 그렇게 바다를 통해 오가는 물자가 육상으로 상륙하는 길목이기도 하다. 간단히 견주건대 저곳은 경부고속도로로 치자면 추풍령휴게소다. 저 길목을 딱 지키고선 삥을 뜯어먹고 살았다. 만든 시기를 보면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한반도 주도권을 쥐기 위한 치열한 쟁투를 벌이던 6세기 어간이라, 무엇보다 이 무덤은 구조가 조금은 독특하다는 점에서 이채롭거니와 시체를 묻는 공간은 둥근 흙을 덮어 봉긋이 쌓아 올리되, 그 앞짝에다가 대체로 사각.. 2021. 10. 16.
살모사로 안되면 코브라로, 마침내 이룬 마누라죽이기 살모사로 안되자 코브라 동원…독사 풀어 아내 살해한 인도 남성 아내 가족 "지참금 문제로 범행" 주장…법원, 종신형 선고 살모사로 안되자 코브라 동원…독사 풀어 아내 살해한 인도 남성 | 연합뉴스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여러 차례 독사를 동원한 끝에 아내를 살해한 인도 남성에게 종신형이 선고됐다. www.yna.co.kr 이런 사건을 접하는 이들이야 기괴하다 하겠지만 수사하는 쪽은 골치가 아퍼 심증은 가나 입증하기가 여간 어렵지 아니하니 두들겨 팬다 해서 능사는 아니다. 대개 이런 때 수사기관은 동원하는 유력한 증거가 인터넷 검색 관련 기록이라, 한국에서도 흔히 쓰는 수법이다. 저 소식 접하고선 인도 경찰은 어땠을까 보니 아니나 다를까 이쪽 사정도 예외는 아니어서 해당 대목을 아래와 같이 .. 2021. 10. 15.
2021 청주공예비엔날레 (2021.10.13.) 2021 청주공예비엔날레 2021.09.08. (수) ~ 2021.10.17. (일) 문화제조창 본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옆 건물) 에 다녀왔습니다. 끝나기 전에 가봐야지~가봐야지~ 하다가 아슬아슬하게 다녀왔습니다. (10월 17일까지 진행한다고 합니다.) 저는 청주공예비엔날레 방문이 처음 이었습니다. 의외이지요? (아닌가요?ㅎㅎ) 제가 공예에 관심이 많을 것 같지만, 의외로 공예에 관심이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정확히 말씀 드리면, 유물을 보는 건 좋은데, 현대 공예작품을 보는 건 왠지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도 청주공예비엔날레에 간 목적도 작품 하나하나 보다는 비엔날레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어떤지, 어떻게 전시를 진행하고 있는지, 어떻게 관람객들과 소통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이었습니다. 이.. 2021. 10. 15.
[전국학예연구회] 문화재보호법과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개정안 지난 번에 개정안이 발의된 문화재보호법과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대해 의안정보시스템에서 의견 등록이 가능합니다. 이 개정안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조금이라도 법안통과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찬성 의견등록 부탁드립니다.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Z2Y1Q0E9Y0D1T1X6P4B9Y3K6X2J9F1 의안정보시스템 likms.assembly.go.kr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O2K1B0B9V0D8K1P7M5Y1N3Z4R2Q8L6 의안정보시스템 likms.assembly.go.kr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 2021. 10. 14.
썩어버린 양상추에 엎어버린 나락, 저주받은 한반도 뭐 내가 간여하는 연합뉴스 한류 홈페이지 k-odyssey도 그렇지만,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멋진 한국, 빛나는 한반도를 내놓고 자랑하고 싶지, 구린내 풍기는 것들로 이것이 한국의 대표상품이라 선전하겠는가? 아픈 데는 숨기고 자랑할 만한 것들을 내어놓기 마련이라 단언커니와 한반도는 저주받은 땅이다. 하긴 이 관점에서 저주받지 아니한 지구촌 있겠는가? 기후 기상조건이라 하지만, 그것을 기반으로 한반도는 금수강산이라는 신화가 양산되고 강고하게 구축되었지만, 유사 이래 한반도가 거친 과정을 보면 기상이변 아니었던 적 한 번도 없으니, 이는 말할 것도 없이 사관이 정상에서 벗어난다고 간주한 이상異常을 적어놓은 까닭이기도 하겠지만 우리가 지금은 이변異變이라 하지만, 이는 정상을 준거점으로 삼거니와, 하시何時라도 .. 2021. 10. 14.
운석, 머리맡 베개로 곤두박질한 별똥 잠자던 캐나다 여성 베개 옆에 운석이 지붕 뚫고 '쿵' 잠자던 캐나다 여성 베개 옆에 운석이 지붕 뚫고 '쿵' | 연합뉴스 (밴쿠버=연합뉴스) 조재용 통신원= 캐나다에서 최근 운석이 주택 지붕을 뚫고 내려와 잠자던 여성의 침대 위로 떨어지는 '아찔한 일'이 있었던 것... www.yna.co.kr 이 블로그 과거 포스팅 중에 느닷없이 트래픽이 늘어나는 일이 있는데, 그때마다 조사하면 그럴 만한 곡절이 있기 마련이라, 오늘은 아래가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지라 우주로 부터 온 선물, 운석! 우주로 부터 온 선물, 운석! 무려 우주로 부터 온 선물을 받았습니다. 바로 운석! 제가 선물 받은 운석은 Campo del Cielo Meteorite(캄포델시엘로 운석) 입니다. 우주가 제 손바닥 안에 있다고 하니, 하.. 2021. 10. 14.
한반도를 폭격하는 댑싸리 내가 2년에 걸친 해직 생활을 청산하고서 해고 직전 근무처인 전국부로 복귀한 직후이니, 대략 3~4년 전쯤 일로 기억하고서 관련 기록을 검출하니 2018년 10월 27일이라, 당시 연합뉴스에서 [핑크 열풍]이라는 제목으로 핑크뮬리 열풍을 3회에 걸쳐 다루었으니, 제목만 검출하면 다음과 같다. [핑크 열풍] ① '여기도, 저기도' 한반도 뒤덮은 핑크뮬리 [핑크 열풍] ② 신비로운 분위기…근데, 왠지 낯설다 [핑크 열풍] ③ 이렇게 막 심어도 되나…엄연한 외래종(끝) 이런 특집에는 으레 편집자 주라 해서, 왜 이런 시리즈를 다루는지, 이를 통해 무엇을 어찌 했으면 좋겠는지 아는 제언을 담거니와, 그에 대한 편집자 주는 아래와 같았다. 편집자 주 = 가을 진객인 '단풍'이 올해도 곱고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습니.. 2021. 10. 14.
궁상맞은 경복궁 가을 하늘 모처를 들렀다 공장으로 복귀하는 길에 가로지른 경복궁은 파래 삶은 듯한 배경으로 하이타이 비누 거품 색깔을 풀어놓았으니 누군간 고향 두고온 순이 생각할 테고 누군 섬마을 휘젖고 떠나 버린 국민학교 선생이 떠오를 테고 또 누군간 곧 만날 님을 그릴 테고 또 누군간 참말로 잔정이라곤 눈꼽만큼도 없던 아비를 그릴지도 모른다. 그래서 저 청명은 궁상이다. 2021. 10. 13.
유례없이 공활한 가을 하늘이 팬데믹의 선물? 착란한 기억인지 자신이 없으나 한반도 하늘이 이리도 공활한 무렵은 한여름 막바지 가을 문턱 시점의 전매특허 아닌가 하거니와 단풍이 시작하고 그것이 한창일 무렵은 대체로 우중충한 하늘이 펼쳐지지 않았던가? 한데 올해는 유례없이 이런 하늘이 거푸거푸 펼쳐지니 얼마전인가? 이는 통계로도 그런 증상이 입증된 것이 아닌가 하거니와 그런 기사를 본 듯 하다. 코로나 팬데믹과 모종의 연동이 있을라나? 그러지 않고선 이렇다 할 이유도 찾기 에렵다. 2021. 10. 13.
문광부, 한자병용이 씌운 덤터기 문화부로 전근하고 3개월 남짓 지난 1999년 2월 9일, 당시로는 아마 약칭으로 문광부라 했을 문화관광부가 어문정책 불을 싸지른 발표를 들고 나왔으니 이른바 한자병용이라 이 문제가 워낙 폭발성 있는 까닭에 최현배 세례를 듬뿍 받은 연세대 국어학 계열 한글순수운동주의자들과 서울대와 이희승에 뿌리를 두는 혼용 계열이 박터지게 싸웠으니 지금은 국립국어원이라 일컫는 국립국어연구원이 그 진원지였고 그 수장은 서울대 교수 심재기였다. 지금 보면 아무렇지 않게 보일 수도 있지만, 물론 한글단체들은 반발한다, 이 사안이 기름을 부었으니 언론사도 갈려서 조선 동아가 당연 찬성 쪽이었고 한겨레야 노동신문과 마찬가지로 한글전용론이었으니 이 사태는 날이 가면서 계속 불이 붙었다. 당시 문화부 인력현황은 앞서 말한대로 처참한.. 2021. 10. 13.
[갯골생태공원] 현장이 곧 박물관 '갯골생태공원에 가면 댑싸리 보고, 핑크뮬리 보면 끝 아닌가?' 생각했는데, 아니었습니다. 댑싸리, 핑크뮬리는 에피타이저(?)였습니다. (아…미안. 예쁘다고 좋아해 놓고, 에피타이저 취급해서…) 억새길따라 생태공원 안쪽으로 들어가니, 이 곳의 이름이 왜 '갯골'인지 알 수 있는 곳과 염전(鹽田), 염전창고 등을 볼 수 있었습니다. 뭐야~~! 볼 게 엄청 많잖아?!! 그럼 천천히 사진으로 같이 보겠습니다! 맞습니다. 입구에서 댑싸리와 핑크뮬리에 현혹되어 이곳이 '갯골'이라는 것을 잠시 잊었습니다. 염전이라니!!! 저는 왜 '시흥'과 '소금'을, 아니 '시흥'과 '바다'를 연결하지 못했을 까요. 갯골생태공원에서 조금만 더 가면 오이도가 있고, 오이도까지 가지 않더라도 근방에 소래포구가 옆에 있었는데 말이죠... 2021. 10. 13.
왜 이제야 왔을까? 진천 사곡리 마애여래입상 이곳을 다녀온 사람들도 많이 있겠지만, ‘나는 왜 여기를 이제야 왔을까?’하는 생각이 드는 곳이다. 날씨가 맑았다면 더 좋았겠지만, 이런 흐릿한 날씨가 주는 운치가 있었다. 첫째, 이렇게 거대한 마애불이, 더군다나 선각도 아니고 환조에 가까운 고부조로 남아 있다는 점에서 놀랐고, 둘째, 어떻게 이런 마애불이 잘 알려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곡리 마애여래입상이 있는 진천군 이월면 사곡리는 안성 서운면으로 넘어가는 방면 초입의 산 중턱에 있다. 마을 입구에 있는 작은 안내판을 제외하면, 산으로 오르는 길 입구에서도 안내판은 찾을 수 없었고, 중간에 있는 등산로 안내판에서도 볼 수 없었다.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처지라서, 이런 얘기하기가 조심스럽지만, 안내판과 홍보에서 좀 아쉽다.) 이곳을 찾.. 2021. 10. 12.
이스라엘 고고학 소식은 이곳으로 http://www.antiquities.org.il/default_en.aspx http://www.antiquities.org.il/default_en.aspx www.antiquities.org.il 우리의 문화재청에 해당하는 기관이 Israel Antiquities Authority 라는 데라 우리 말로는 이스라엘 고물부지만 우리네 사정을 고려해 이스라엘 문화재청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다. 국가에서 관장하는 거의 모든 고고학 소식은 이곳을 통한다. 관련 sns로는 아래가 있다. 트위터는 찾지 못했다. https://www.facebook.com/AntiquitiesEN 로그인 또는 가입하여 보기 Facebook에서 게시물, 사진 등을 확인하세요. www.facebook.com #이스라엘고고학 #이스.. 2021. 10. 12.
이데올로기로 혁파하는 무령왕릉 무령왕릉 발굴은 정치사의 맥락으로 접근해야 한다. 언제까지 남조 유물이 어떻네, 왜와의 관계가 어땠네 하는 식으로 소비할 수는 없다. 그 논리를 혁파해야 하며, 그에 내재한 내셔널리즘 이데올로기를 간파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건 죽었다 깨어나도 고고학은 할 수 없다. 자신을 겨냥하므로.. (2020. 10. 12) *** 모든 학문이 그렇듯이 고고학 역시 당대 사상과 뗄 수 없다. 고고학은 그 내재하는 태생 공간이 더 내셔널리즘과 밀접할 수밖에 없거니와, 그런 특징은 한반도 고고학에서 유감없이 드러난다. 졸저에서 누누이 밝혔듯이 무령왕릉은 민족주체성이라는 시각에서 소비되었으니, 그 발굴 50주년을 맞아 다시 난무하는 갱위강국更爲强國은 이 시대가 무령왕릉을 소비하는 표상이다. 2021. 10. 12.
그리스조각의 대량 복제생산 로마제국시대 유물을 보면서 이상했던 점 중의 하나가 그리스 조각의 대량 복제 문제였다. 왜 짝퉁을 저리 많이 만들었을까? 이것이 궁금하기는 해도, 나는 그것을 제대로 물은 적도 없고 그런 까닭에 그런 의문을 풀 이유도 없었다. 그렇다고 내가 이쪽에 관심이 많아 적어도 개설서라도 한 번 읽어봤으면, 그에 대한 해명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런 기회조차 나에게는 없었다. 그러다가 근자 로마제국 관련 책 하나를 읽다가 이 문제가 심각히 언급되고 있음을 보았다. 이에 의하면 로마제국 어느 시기에 고대 그리스 어느 지역 정복전쟁이 있었단다. 그 전리품으로 그리스 조작이 대량으로 로마에 들어왔단다. 꼭 이 사건이 아니었다 해도, 그리스 광풍이 일어 그때 권력자들 사이에서는 그리스 조각 수집 열풍이 일었단다. 그것을 집.. 2021.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