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0778 [동양일보] 다시 한 번 온溫.양陽. 증명사진 대문짝 만하게 넣어보기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9269 동양에세이/ 다시 한 번, 온(溫)양(陽) - 동양일보 '이땅의 푸른 깃발' [동양일보]따뜻할 온溫, 볕 양陽. ‘온양’은 이름에서부터 따뜻함이 묻어있다. 현재는 아산시로 개편되어 행정구역상 ‘온양시’라는 곳은 사라졌지만, 같이 지내온 세월 때문 인지 왠지 모르게 ‘아산’보다... www.dynews.co.kr 동양에세이에 짧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ㅎㅎ *** 여송은 온양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동양일보]따뜻할 온溫, 볕 양陽. ‘온양’은 이름에서부터 따뜻함이 묻어있다. 현재는 아산시로 개편되어 행정구역상 ‘온양시’라는 곳은 사라졌지만, 같이 지내.. 2020. 5. 4. 실려간 이원일의 예비신부 "이원일 약혼녀 김유진PD, 극단적 선택에 의식불명"(종합) | 연합뉴스 "이원일 약혼녀 김유진PD, 극단적 선택에 의식불명"(종합), 이정현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5-04 09:01) www.yna.co.kr "이원일 약혼녀 김유진PD, 극단적 선택에 의식불명"(종합2보) | 연합뉴스 "이원일 약혼녀 김유진PD, 극단적 선택에 의식불명"(종합2보), 정성조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5-04 09:29) www.yna.co.kr 깅가밍가했다. 애초 방송팀에서 저명한 셰프 이원인의 예비신부로 학폭논란에 휘말린 프리랜서 PD 김유진이 자신의 인스타그람에다가 수상한 글을 올렸다는 사실을 캐취하고는 그런 사실을 내보냈을 적만 해도, 설마 했더랬는데 이내 그가 의식불명 상태로 병원에 실려.. 2020. 5. 4. 촉석봉정矗石逢釘 낭중지추囊中之錐, Waxing으로 가는 첩경 낭중지추囊中之錐...보게또에 든 송곳이란 뜻이다. 송곳을 쑤셔넣으면 보게또를 헤집고 나오기 마련이다. 뛰어난 인재는 어딜 가도 표가 난다는 뜻이지만, 저리 튀어나오면 그만큼 사방에 적이 많아진다. 그래서 한 방에 날아간다. 감시 견제하는 눈길이 그만큼 많은 까닭이다. 촉석봉정矗石逢釘...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뜻이다. 묻어가라, 중간쯤만 가라는 뜻일 수도 있다. 괜히 나섰다가 한 방 얻어터진다는 뜻이다. 모가 나면 그 모진 데를 없애고자 정을 대고 망치로 두들기기 마련이다. 이렇게 분수 모르고 솟아올랐다가 조만간 모가지가 달아난다. 가위로 갖다 대고 싹뚝싹뚝 짤라 버리기 마련이다. 굽은 나무 선산 지킨다지만, 선산 지키다 톱질 당하기 일쑤요 저리 솟아올랐다간 왁싱되는 신세 면치 못한다. 모자라도 정을 맞.. 2020. 5. 4. 고고학과 보존정비가 야합하는 문화재 파괴 어찌할 것인가? 이 남원 실상사 원지. 내가 여러 번 지적했듯이 발굴조사 완료 뒤 현장을 어떻게 보존할 것인지를 보여주는 시금석이 되어야 한다. 종래의 정비 전통으로는 볼짝없이 정비업체 들어와서 기초가 어떻네, 손을 대지 않으면 무너지네 어쩌고 해서 쏵 밀어버리고 새로 돌 갖다 쌓는 수법이라. 이 따위 정비 이제는 집어쳐야 한다. 저걸 그대로 살려야 한다. 나는 지금 저 상태로 그대로 물 넣어 보자 했다. 아직 정비 방식이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만, 내 눈에 흙 들어가기 전에는 지금과 같은 문화재 정비 꼬라지는 다시 보기 싫다고 하는 곳이다. (2017. 6. 27) *** 누차 말하듯이 나는 고고학과 보존정비가 야합한 문화재 현장 관리방식 증오한다. 각종 되먹지도 않는 이유 들이대며, 듣도보도 못한 21세기 문화재.. 2020. 5. 4. 뻘짓하다 죽을 뻔한 보리스 존슨 존슨 영국 총리, '죽다 살아나왔다'…코로나19 치료 후일담 | 연합뉴스 존슨 영국 총리, '죽다 살아나왔다'…코로나19 치료 후일담, 김용래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5-03 20:39) www.yna.co.kr 이 친구 한창 위급하달 땐 나는 죽는가 싶었다. 우리가, 아니 내가 접하는 정보야 관련 보도, 특히 영국쪽 언론보도밖에 없었지만, 영국은 북한이랑 달라서 그의 동태가 어느 정도 언론을 통해, 비교적 객관으로 유출 가능했다. 그것을 한 단계 걸러 전하는 국내 언론보도는 별로 신뢰하지 않는 편이었는데, 그가 위급상황으로 갔다는 소식이 본격으로 영국언론들에서 흘러나올 때만 해도 국내에 전해지는 정보는 그리 심각수준은 아니었다. 내가 굳이 이 블로그를 빌려 주로 영국언론이 전하는 그의 실상.. 2020. 5. 4. 낙화落花 꽃이 진다 서러워 할 필요없다. 오뉴월 소불알처럼 늘어졌다 해서 아까워할 필요도 없다. 꽃은 열매로 나아가는 필연의 과정이다. 2015. 5. 3 선암사에서 2020. 5. 4. 잠삼岑參이 배제한 낭만, 그는 사기꾼이었다 일전에 소개한 당시선唐詩選으로, 그에서 추린 잠삼岑參의 시 열편가량을 어제 그제 계속 통독하며 음미했다. 고선지·봉상청의 막부에서 세크레테리로 오랫동안 지금의 신장위구르 방면에서 근무한 전력답게 그의 시는 온통 고향 장안을 향한 그리움과 그에 빗댄 황량한 사막이 대비되어 폐부를 찌른다. 그래서 흔히 잠삼을 일러 변새시邊塞詩를 개척한 인물로 평가한다. 한데 지금의 우리는 뱅기로, 버스로 그의 애환을 즐감하니, 이런 세상이 올 줄 잠삼이 꿈이라도 꾸었으리오. 그의 시에는 사막이 모래바람과 추위로 점철하지만 그 반대편에 위치하는 각종 낭만은 일부러 배제해 버렸다. 왜? 그래야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야 고생하는 티가 나기 때문이다. 그의 시를 보면 마치 그쪽 생활이 사막 한가운데서 연중을 보낸 듯하지만. .. 2020. 5. 3. 비판 비판 중에 제일로 공허하고비판 중에 제일로 하기 쉽고그러면서도 언제나 흥행을 보장하는 비판으로정부 때리기, 대통령 비판 만한 게 없다. 대체로 이런 비판은 피드백이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그것이 장점이 되기도 하고(왜? 안심을 주기도 하므로)가끔은 탄압이라는 이름의 반대급부를 동반하기도 한다.하지만 그럼에도 이게 아주 효과 만점인 이유는그런 탄압이 거의 늘상 그를 義士로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판은 언제나 젤로 쎈 놈을 골라서단 한 방에 찔러야 한다. (May 3, 2014) 6년 전에 쓴 말인데, 요새는 대통령이나 정부 잘못 씹으면 태극기부대라는 비난 듣기 십상이다. 그만큼 시대는 또 달라졌다는 뜻이다. 2020. 5. 3. [영상] 나 홀로 박물관에3 (ft. 강원도 김칫독) 오늘 소개해 드릴 유물은 강원도 김칫독 입니다. 왜 독을 나무로 만들었을까요? 이유는 영상으로 확인해 주세요!^^ 오늘 영상에는 신탁근 고문님께서 특별 출연하시니, 끝까지 지켜봐 주세! 감사합니다!! 2020. 5. 3. 《스카이캐슬》도 꺼꾸러뜨린 《부부의 세계》 '부부의 세계' 24.3%…'SKY캐슬' 넘어 역대 비지상파극 1위 | 연합뉴스'부부의 세계' 24.3%…'SKY캐슬' 넘어 역대 비지상파극 1위, 이정현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5-03 07:24)www.yna.co.kr 손석희가 잘 나갈 때는 손석희로 먹고 살던 JTBC가 손옹이 눈에 띄게 추락하면서는 뭘 먹고 살까 걱정했더니 드라마가 지탱한다. 《스카이캐슬》이 방영된 시점이 2018년 11월 23일~2019년 2월 1일이니, 이때면 이미 손옹을 내세운 뉴스는 맛탱이가 가기 시작한 시점이며, 《부부의 세계》가 방영 중인 지금 JTBC는 손옹이 명목상 회사 대표인 시점이다. 종편이 존재를 각인하는 무기는 결국은 예능 아니면 드라마라는 사실이 새삼 확인된 셈인데, TV조선이 《미스트롯》과 《.. 2020. 5. 3. The Shigu Academy (Shigu shuyuan 石鼓書院, 석고서원) 百度地图 map.baidu.com The Stone Drum Academy (Shigu shuyuan 石鼓書院 석고서원), also called Academy of Cultivated Talent Li (Li Xiucai shuyuan 李秀才書院 이수재서원), was one the the early Song period 宋 (960-1279) academies. The remains are to be found at the foot of Mt. Shigu 石鼓山 석고산 near Hengyang 衡陽 형양, Hunan 湖南 호남. During the Tang period 唐 (618-907) there was a Daoist shrine in this place called Xungu Temple 尋真觀 .. 2020. 5. 3. 이토록 예쁜 갈등葛藤 등나무가 만개하는 무렵이다. 등나무꽃은 피어서 곱고 져서 아름답다. 바닥에 수북히 깔린 등꽃 시체 본 일 있는가? 떼죽음이 그리 아름다울 수 없다. 한데 왜 등나무가 칡넝쿨 한 묶음해서 엉킨 실타래 갈등이 되는지 알다가도 모르겠다. 혹자는 넝쿨이라 그런다는데 하긴 이 등꽃보다 칡꽃은 보라색 흰색 붉음이 절묘히 조화하는데 그를 보면 내가 넋을 잃는다. *** 저 등꽃이 청파동 숙명여대 제1캠퍼스다. 옛날 자료 정리하다 튀어나와 지금쯤 한창 꽃을 피웠겠거니 해서 아침 일찍 남영동 출발해 도보로 십분거리인 저짝을 찾아나섰더랬다. 개구멍 같은 정문 입구 통과하려는데 인상 험한 아저씨 둘이 반발 비스무리하게 하며 잡더라. 못들어간단다. 코로나 19 때문인가 하면서도 길 건너편 제2캠퍼스는 이렇다 할 제지가 없고 .. 2020. 5. 3. 금둔사 삼층석탑과 야시꾸리 불상 선암사랑 낙안읍성 사이에 있는 금둔사 삼층석탑과 이상한 마애불 같은 석조불상이다. 저 불상 뒷면이 야시꾸레해서 그라인딩을 한듯하다. 금석문을 새기려 한 것인지 아니면 어디 벽면 덧댐 벽돌처럼 쓰려했는지 도통 짐작할 수가 없다. 이것이 본래 위치라면 설명대로 불비상인 듯 하다. 연화대좌는 본래 세트인듯 하고, 넙띠기 갓도 세트인 느낌이다. 앞쪽엔 이른바 배례석拜禮石이 있고 그 한쪽엔 사자상이 있는데 두 마리 세트였을 듯한데 이 역시 이 불상과 한 세트였는지 나는 모르겠다. (2015. 5. 3)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 順天金芚寺址三層石塔 보물 제945호 Treasure No. 945 Three Stone Stupa at the Site of Geumjeonsa Temple, Suncheon This pag.. 2020. 5. 3. 봄비 머금은 선암사 연녹색이 물기를 머금으면 창포 기름 바른 머리칼 같다. 그런 어느날 선암사는 온몸이 파충류였고 새순 뽕이파리 잔뜩 머금은 누에 핏줄 같았다. (2015. 5. 3 선암사엔 비가 왔다. 제법한 비였다.) 2020. 5. 3. 삼겹살 같은 화강암 화강암은 비를 적당히 머금으면 때론 맛나 보인다. 살짝 익은 삼겹살 같다. 2020. 5. 3. 갈구渴求라는 이름의 빗장 이태전 다시 소쇄원 죽림을 갔더랬다. 뚜렷한 까닭이 있지는 않았다. 꼬나보기도 하고 마주 보기도 했더랬다. 빗장 같은 갇힘이 아늑했으니 그래 삶은 빗장 아니겠는가? 갈구渴求라는 빗장 말이다. *** 추기 대나무밭에는 5분 이상 머물면 안 된다. 반바지 반팔은 안 된다. 죽림에 누워 세상을 꿈꿔? 디비자바라! 모기밥 되지. 대밭 모기는 아가리가 열라 커서 열라 아푸다. 소쇄원 대밭 모기라 해서 그래 나는 국가지정문화재에 사는 고급진 모기니 봐주겠다 할 거 같은가? 더 물어제낀다. 오랜만에 포식한다고 더 물어제낀다. 2020. 5. 3. 여름의 전령 버들솜 지금은 버드나무 버들솜 날리는 시즌이다. 천지사방 목면 가루 휘날리는데 그 정체가 버들솜이다. 물가에서 자라는 속성 활엽수인 버드나무는 지금은 아무짝에도 쓸모없어 고작 이쑤시개 만드는 재료가 전부이나 예로부터 이별의 상징이었다. 버드나무 어디에 그런 맛이 있는지 알지 못하나 그에 해당하는 柳는 흔히 같은 발음인 留와 연동해서 떠나지 말고 머물러 달란 뜻으로 혼용하기도 하지만 별리別離없는 留가 가당키나 하겠는가? 그래서 떠나는 사람한텐 버드나무 가지를 꺾어 다시 만나잔 기약하곤 했다. 그걸 받은 사람이 그 버드나무 가지를 어찌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내 패대기치지 아니했겠는가? 혹 머리 갓끈에 꽂았을 수도 있으나 이내 버려지는 신세는 마찬가지다. 꽃다발도 이내 시들고 마는데 그 하늘하늘한 버들가지야 버들.. 2020. 5. 3. 여차하면 재털이 날릴 채비 김정은 두릅을 많이 무서 그런지 볼살은 더 뿔어서 조만간 터질 듯한 볼때기, 오동통하니 살이 잔뜩 오른 모습이지만, 어디 아팠던 듯한 흔적이라고는 눈 씻고 찾아볼 수도 없다. 저 친구 무슨 담배를 피우는지, 한대 농가주 봐라. 담배는 열라 피우는구만. 자넨 좋겠다. 담배 끊어라는 마누라 혹은 주변 사람 없을 테니 말이다. 전자 담배로 안바꾸나? 2020. 5. 2. 한국 미라 연구의 2막이 열립니다.. 제 연구실에서 저와함께 우리나라 미라 연구의 첫장을 열기 위해 부지런히 뛰었던 오창석 군이 박사학위를 받고 나서 마침내 을지대학교에 교수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다행스러운것은 오 교수가 을지대학교에서 계속 해서 조선시대 미라 연구를 이어갈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새로 근무하는 학교에서 미라에 대한 과학적 조사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이 준비 되어 정말 다행입니다. 오 교수가 조선시대 미라 연구를 독자 수행할수 있게 됨으로써 우리나라 미라 연구는 이제 2막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발굴현장에서 새로이 발굴되는 조선시대 미라는 을지대학교 오창석 교수에게 연락을 주시기 바랍니다. 오창석 교수 연락처는: 010-4148-0395 입니다. 이메일 주소는: oxman@eulji.ac.kr 입니다. 2.. 2020. 5. 2. 혼자서 비단 자른 김정은 죽었네 살았네 식물인간이네 어쩌네 저쩌네 하다가 20일만에 뿅 하고 나타나서는 니들 놀랐제? 를 외친 김정은이가 그 두문불출 끝내고 대외에 공식 공개한 첫 행사가 이것이다. 조선중앙통신에 의하멘 정은이는 노동절인 5월 1일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면서 이러고로 테이프커팅을 했다면서 컬러사진 잔뜩 배포했다. 나는 언제나 이런 이벤트에 드러나는 의식 ritual 을 주목하거니와, 그 리추얼만큼 그 사회 혹은 행사가 지닌 상징을 잘 드러내주는 일이 없다고 보는 까닭이다. 북한은 최고지도자가 참석하는 테이프커팅이 언제나 이런 양식인데 무엇인가? 오직 최고지도자 혼차만 가시개질을 한다는 점이다. 가시개질을 혼차 하느냐 아니면 그에 관련되는 주요한 인사들이 함께하느냐 아니냐 여부에 따라 그 사회가 독재주의 .. 2020. 5. 2. 당분간 휴재합니다 김기자님 블로그에 연재 해오던 내용이 있었는데 다 마무리 하지 못하고 잠시 휴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코로나 바이러스 관계로 미루어 오던 대면강의가 5월 초부터 의학 실습 위주로 재개 되어 새로운 스케줄 덕에 제가 학기말까지 연재에 신경을 쓸 상황이 아니라는점과, 더구나 지금 올해 말까지 반드시 마무리 지어야 할 해외 단행본 편집 건이 있어 김기자님 블로그에 연재해 오던 글을 주기적으로 올리기 곤란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다시 글을 쓸수 있는 여유가 올때까지 언제가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휴재를 하고자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제가 걸어온 연구 작업을 정리하는 의미에서 나름 의미가 큰 연재였기 때문에 상황이 정리되면 반드시 돌아와 계속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금명간 다시 뵐때까지 건강들 하시길 빕니다. 2020. 5. 2. 이전 1 ··· 735 736 737 738 739 740 741 ··· 99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