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690

설민석 현상 말이 많은 친구는 설화를 피해갈 수 없다. 더구나 언제나 대중에 노출되는 저명 강사야 오죽하겠는가?나는 지명도에서 저와 비교가 될 수 없지만 혹여 내가 저 정도로 유명해진다면 저보다 더한 일 겪을 것이다.그만큼 나는 문제의 소지가 많은 말을 뇌까려 놓았다. 각설하고 나는 설민석을 새로운 시대의 인문학 열풍을 일으킨 현상으로써 줄곧 주시했다. 학원강사의 강의를 인문학 영역에 포함해야 하느냐는 논란은 논외로 친다. 그는 분명 이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유형의 강연 열풍을 일으켰다. 그는 그것을 축제로 만들 줄 알았다. 나는 지나가며 몇번 그의 강연을 봤지만 내용과 더불어 그의 액션을 봤다. 내용..이건 처참하기 짝이 없다. 그런 점에선 난 늘 사석에서 저 친구는 이제 침잠할 때라는 말을 하곤 했다. 그는 역.. 2018. 3. 19.
포대화상의 시대 실명을 적시하기 곤란한 전남 지역 한 사찰에 철퍼덕 걸터앉은 포대화상이다. 그가 주는 익살성 때문인지, 아니면 현전하는 그에 행적이 현대사회에 맞은 매력성이 있기 때문인지 국내 사찰마다 이런 포대화상 하나 안치하지 않은 사찰이 없다시피 하다.그에 관한 증언들을 종합하면 포대는 당말~송초 교체기 중간에 낀 오대 시대를 살다간 중국 불교승려다. 생김새는 저 조각과 같이 묘사되지만, 실은 저리 웃는 모습과는 조금 거리가 멀어 우락부락했다고 하거니와, 저 몸매를 유지하고자, 혹은 저 몸매가 되기까지 게걸스레 걸리는대로 남들한테 얻어먹으나, 반면 베풀기를 잘 했다 하니, 특히 어린이들한테 잘 했다 한다. 생김새만 보면 일본 스모선수 혹은 과거 씨름판에서 익살성으로 이름을 날린 박광덕과 흡사하다. 활동 시기가 저러.. 2018. 3. 18.
Rooftiles Abandoned roofiles, which might be reused someday 2018. 3. 17.
spring Spring has come along with Japanese apricot flowers at Jangseong, Cheollanamdo Province. 2018. 3. 17.
"우리 아버지 시 좀 넣어주라" 문집 로비 미암 유희춘 미암선생 일기와 미암집 목판, 출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탈 《동문선(東文選)》이며 《속동문선(續東文選)》처럼 국가 주도, 혹은 심지어 개인이 편찬을 주도한 시문집은 로비의 산물이다. 말할 것도 없이 어떻게든 자기 조상 시를 많이 집어 넣으려 한다. 《속동문선》 증보판이 준비될 무렵, 미암 유희춘이 한 일이 이렇다. 그의 방대한 《미암일기(眉巖日記)》 제16권 선조 2년(1569) 윤6월 3일자에 보이는 내용이다. 박 직장(朴直長˙ 박개)이 찾아왔는데, 나는 선친이 지은 〈항우소시(項羽小詩)〉를 베껴 (그에게) 보여 주었다. 그 시는 다음과 같다.장군이 칼 들고 강동에서 일어나 / 將軍提劍起江東천하를 싸잡아 손아귀에 넣었네 / 囊括乾坤掌握中영포를 강중 밀사로 삼지 않았다면 / 不將英布江中使어찌 팔년 보람.. 2018. 3. 16.
숙(淑) 금관가야 9대 겸지왕의 비로 아버지는 각간 출중(出忠)이며, 구형왕 어머니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겸지왕(鉗知王). 김겸왕(金鉗王)이라고도 함. 영명(永明) 10년에 즉위. 치세 30년. 정광(正光) 2년 신축(辛丑. 521) 4월7일에 죽음. 왕비는 출충(出忠) 각간의 딸 숙(淑). 왕자 구형(仇衡)을 낳음. 2018. 3. 16.
출충(出忠) 금관가야 제9대 겸지왕의 부인 숙(淑)의 아버지다. 금관가야 마지막 왕 구형을 낳았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겸지왕(鉗知王). 김겸왕(金鉗王)이라고도 함. 영명(永明) 10년에 즉위. 치세 30년. 정광(正光) 2년 신축(辛丑. 521) 4월7일에 죽음. 왕비는 출충(出忠) 각간의 딸 숙(淑). 왕자 구형(仇衡)을 낳음. 2018. 3. 16.
방원(邦媛) 금관가야 8대 좌지왕 왕비로 사간(沙干) 김상(金相)의 딸이다. 9대 임금 겸지왕 어머니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9대 겸지왕(鉗知王)은 아버지가 질지왕(銍知王)이며 어머니는 방원(邦媛)이다. 임신년에 즉위해 29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질지왕(銍知王). 김질왕(金銍王)이라고도 함. 원가(元嘉) 28년에 즉위. 이듬해 시조(始祖)와 허황옥 왕후(許黃玉王后)의 명복(冥福)을 빌기 위해 처음 시조(始祖)와 만났던 자리에 절을 지어 왕후사(王后寺)라 하고 밭 10결(結)을 바쳐 비용에 쓰게 함. 치세는 42년. 영명(永明) 10년 임신(壬申; 492) 10월 4일에 죽음. 왕비는 김상(金相) 사간(沙干)의 딸 방원(邦媛). 왕자 겸지(鉗知)를 낳음. 2018. 3. 16.
김상(金相) 금관가야 제8대 좌지왕(재위 451~492년) 왕비 방원(邦媛)의 아버지다. 관위는 사간(沙干)인데, 신라인인지 금관가야인지는 알 수 없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질지왕(銍知王). 김질왕(金銍王)이라고도 함. 원가(元嘉) 28년에 즉위. 이듬해 시조(始祖)와 허황옥 왕후(許黃玉王后)의 명복(冥福)을 빌기 위해 처음 시조(始祖)와 만났던 자리에 절을 지어 왕후사(王后寺)라 하고 밭 10결(結)을 바쳐 비용에 쓰게 함. 치세는 42년. 영명(永明) 10년 임신(壬申; 492) 10월 4일에 죽음. 왕비는 김상(金相) 사간(沙干)의 딸 방원(邦媛). 왕자 겸지(鉗知)를 낳음. 2018. 3. 16.
김질왕(金銍王) 금관가야 8대 질지왕의 다른 이름. 金은 성으로 보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수로왕(首露王)의 8대손 김질왕(金銍王)은 정치에 부지런하고 또 참된 일을 매우 숭상하여 시조모(始祖母) 허황후(許皇后)를 위해서 그의 명복(冥福)을 빌고자 했다. 이에 원가(元嘉) 29년 임진(壬辰; 452)에 수로왕과 허황후가 혼인하던 곳에 절을 세워 절 이름을 왕후사(王后寺)라 하고 사자(使者)를 보내어 절 근처에 있는 평전(平田) 10결(結)을 측량해서 삼보(三寶)를 공양하는 비용으로 쓰게 했다.이 절이 생긴 지 500년 후에 장유사(長遊寺)를 세웠는데, 이 절에 바친 밭이 도합 300결(結)이나 되었다. 이에 장유사의 삼강(三綱)이, 왕후사(王后寺)가 장유사의 밭 동남쪽 지역 안에 .. 2018. 3. 16.
질지왕(銍知王) 금관가야 제8대 왕이며, 재위기간은 451~492년. 일명 김질왕(金銍王). 취희왕(吹希王)과 인덕(仁德) 사이에서 태어났다. 왕비는 사간(沙干) 김상(金相) 딸인 방원(邦媛)이다.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8대 질지왕(銍知王)은 김질(金銍)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취희(吹希)이며 어머니는 인덕(仁德)이다. 신묘년에 즉위해 38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9대 겸지왕(鉗知王)은 아버지가 질지왕(銍知王)이며 어머니는 방원(邦媛)이다. 임신년에 즉위해 29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제3권 탑상(塔像) 제4 금관성(金官城)의 파사석탑(婆娑石塔) : 수로왕(首露王)이 황후(皇后)를 맞아서 같이 150여 년 동안 나라를 다스렸다. 하지만 그때까지도 해동(海東)에는 아직 절을 세우고 불법(佛法)을 신.. 2018. 3. 16.
인덕(仁德) 금관가야 제7대 취희왕 비로서, 각간 진사(進思)의 딸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8대 질지왕(銍知王)은 김질(金銍)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취희(吹希)이며 어머니는 인덕(仁德)이다. 신묘년에 즉위해 38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취희왕(吹希王). 질가(叱嘉)라고도 함. 김씨(金氏). 영초(永初) 2년에 즉위. 치세는 31년 동안, 원가(元嘉) 28년 신묘(辛卯; 451) 2월 3일에 죽음. 왕비는 진사(進思) 각간(角干)의 딸 인덕(仁德). 왕자(王子)를 낳음. 2018. 3. 16.
질가왕(叱嘉王) 금관가야 제7대 임금 취희의 다른 이름.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취희왕(吹希王). 질가(叱嘉)라고도 함. 김씨(金氏). 영초(永初) 2년에 즉위. 치세는 31년 동안, 원가(元嘉) 28년 신묘(辛卯; 451) 2월 3일에 죽음. 왕비는 진사(進思) 각간(角干)의 딸 인덕(仁德). 왕자(王子)를 낳음.☞취희왕(吹希王) 2018. 3. 16.
취희王(吹希王) 금관가야 제7대 임금. 좌지왕과 복수 사이에서 났다. 질지왕 아버지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7대 취희왕(吹希王)은 김희(金喜)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좌지왕(坐知王)이며 어머니는 복수(福壽)다. 신유년에 즉위해 30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8대 질지왕(銍知王)은 김질(金銍)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취희(吹希)이며 어머니는 인덕(仁德)이다. 신묘년에 즉위해 38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좌지왕(坐知王). 김질(金叱)이라고도 함. 의희(義熙) 3년(407)에 즉위. 용녀(傭女)에게 장가들어 그 여자의 무리를 관리로 등용하니 국내가 시끄러웠다. 계림(鷄林)이 꾀를 써서 치려하니 박원도(朴元道)라는 신하가 간했다. “유초(遺草)를 보고 또 보아도 역시 털.. 2018. 3. 16.
복수(福壽) 금관가야 제6대 좌지왕 부인으로 제7대 취희왕 어머니다. 아버지는 도녕(道寧) 대아간(大阿干)이니, 금관가야인인지 신라인인지 확실치 않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7대 취희왕(吹希王)은 김희(金喜)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좌지왕(坐知王)이며 어머니는 복수(福壽)다. 신유년에 즉위해 30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좌지왕(坐知王). 김질(金叱)이라고도 함. 의희(義熙) 3년(407)에 즉위. 용녀(傭女)에게 장가들어 그 여자의 무리를 관리로 등용하니 국내가 시끄러웠다. 계림(鷄林)이 꾀를 써서 치려하니 박원도(朴元道)라는 신하가 간했다. “유초(遺草)를 보고 또 보아도 역시 털이 나는 법인데 하물며 사람에 있어서이겠습니까. 하늘이 망하고 땅이 꺼지면 사람이 어느 곳에서 .. 2018. 3. 16.
박원도(朴元道) 금관가야 제6대 좌지왕 때 신하로, 변변찮은 여자를 부인으로 맞고, 그 측근들을 대거 기용함으로써 정치를 어지럽힌 왕에게 간하여 바로잡게 했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좌지왕(坐知王). 김질(金叱)이라고도 함. 의희(義熙) 3년(407)에 즉위. 용녀(傭女)에게 장가들어 그 여자의 무리를 관리로 등용하니 국내가 시끄러웠다. 계림(鷄林)이 꾀를 써서 치려하니 박원도(朴元道)라는 신하가 간했다. “유초(遺草)를 보고 또 보아도 역시 털이 나는 법인데 하물며 사람에 있어서이겠습니까. 하늘이 망하고 땅이 꺼지면 사람이 어느 곳에서 보전하오리까. 또 점쟁이가 점을 쳐서 해괘(解卦)를 얻었는데 그 괘사(卦辭)에 ‘소인(小人)을 없애면 군자(君子)가 와서 도울 것이다’고 했으니 왕께선 역(易).. 2018. 3. 16.
김질(金叱) 금관가야 6대 임금 좌지왕(坐知王)를 지칭하는 이칭 중 하나. 김토왕(金吐王)이라고도 한다. 金은 김수로에게서 비롯하는 금관가야 왕가 성씨로 판단된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좌지왕(坐知王). 김질(金叱)이라고도 함. 의희(義熙) 3년(407)에 즉위. 용녀(傭女)에게 장가들어 그 여자의 무리를 관리로 등용하니 국내가 시끄러웠다. 계림(鷄林)이 꾀를 써서 치려하니 박원도(朴元道)라는 신하가 간했다. “유초(遺草)를 보고 또 보아도 역시 털이 나는 법인데 하물며 사람에 있어서이겠습니까. 하늘이 망하고 땅이 꺼지면 사람이 어느 곳에서 보전하오리까. 또 점쟁이가 점을 쳐서 해괘(解卦)를 얻었는데 그 괘사(卦辭)에 ‘소인(小人)을 없애면 군자(君子)가 와서 도울 것이다’고 했으니 왕께선 .. 2018. 3. 16.
좌지왕(坐知王) 금관가야 6대 임금으로 재위기간은 407~421년. 김토왕(金吐王) 또는 김질(金叱)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이시품왕(伊尸品王)이고 어머니는 정신(貞信)이며, 도녕(道寧) 대아간(大阿干) 딸 복수(福壽)를 부인으로 맞아 7대 임금 취희(吹希)를 낳았다.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6대 좌지왕(坐知王)은 김토왕(金吐王)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이품(伊品)이며 어머니는 정신(貞信)이다. 정미년에 즉위해 14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7대 취희왕(吹希王)은 김희(金喜)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좌지왕(坐知王)이며 어머니는 복수(福壽)다. 신유년에 즉위해 30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이시품왕(伊尸品王). 김씨(金氏). 영화(永和) 2년에 즉위. 치세는 62년, 의.. 2018. 3. 16.
정신(貞信) 금관가야 중기 사농경을 역임한 극충(克忠)의 딸로, 제5대 이시품왕(346∼407) 부인이 되어 좌지왕을 낳았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6대 좌지왕(坐知王)은 김토왕(金吐王)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이품(伊品)이며 어머니는 정신(貞信)이다. 정미년에 즉위해 14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이시품왕(伊尸品王). 김씨(金氏). 영화(永和) 2년에 즉위. 치세는 62년, 의희(義熙) 3년 정미(丁未; 407) 4월10일에 죽음. 왕비는 사농경(司農卿) 극충(克忠)의 딸 정신(貞信)으로, 왕자 좌지(坐知)를 낳음. 2018. 3. 16.
극충(克忠) 금관가야 중기 사농경을 역임한 인물로, 그의 딸 정신(貞信)이 5대 임금 이시품왕(346∼407) 부인이 되어 좌지왕을 낳았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이시품왕(伊尸品王). 김씨(金氏). 영화(永和) 2년에 즉위. 치세는 62년, 의희(義熙) 3년 정미(丁未; 407) 4월10일에 죽음. 왕비는 사농경(司農卿) 극충(克忠)의 딸 정신(貞信)으로, 왕자 좌지(坐知)를 낳음. 2018. 3. 16.
겸지왕(鉗知王) 금관가야 9대 왕. 질지왕과 방원 사이에 났다. 재위 492∼521년. 화랑세기 15세 유신공(庾信公) : 아버지는 서현 각간이고 할아버지는 무력 각간이고 증조는 구충대왕이며 고조는 겸지대왕(鉗知大王)이다. 겸지는 다섯 형제가 있었는데 모두 우리나라[신라] 골품(骨品) 있는 여자를 아내로 맞아 우리나라 조정에 복종하며 따랐다. 겸지왕 원년(492), 왕의 조카 납수공(納水公)이 우리 덕지공(德知公)의 딸 계황(桂凰)을 아내로 맞았는데 매우 아름다웠다. 왕 또한 우리나라 여자를 원했지만 왕의 어머니 방원(邦媛)이 허락하지 않았다. 처음에 왕의 아버지 질지대왕(銍知大王)이 영명하여 선정을 베푸니 금관(金官)이 잘 다스려졌다. 질지는 백흔공(白欣公)의 손아래 누이인 통리(通里)를 왕후로 삼으니 곧 미해공(美海.. 2018.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