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690

구글어스로 탐험하는 개성 만월대 이 만월대는 고려 왕궁 혹은 왕성이라, 요새야 구글로 앉아서 그 양태를 점검하는 시대라. 앞서 평양 안학궁을 구글어스로 탐험했듯이 오늘은 같은 운전대를 잡고서 이 만월대를 점검하고자 한다. 이를 보면 왜 하필 저쪽을 도읍으로 골랐는지 대강 짐작은 한다. 방어에 무엇보다 신경썼음을 본다. 이를 보면 송악산이 뒤로 병풍처럼 막아선 모습을 본다. 예성강 벽란도로 나가는 지점에도 언덕이 있다. 이 왕궁 혹은 궁성 역시 동아시아 보편 그랜드디자인을 따라 남북 장축이며, 그 중심 남북축을 따라 그 중심 혹은 양쪽으로 주요 건물들을 배치했음을 본다. 만월대라 표시한 지점이 남대문이라, 경복궁으로 치면 광화문에 해당하는 데라, 저곳이 아마 위봉루 라고 자주 보이는 그 남대문일 것이다. 저기서 왕이 자주 나타나 각종 쇼.. 2024. 2. 18.
순식간에 사라진 이강인 광고판 그제만 해도 이랬던 kt 매장이 오늘은 이 풍경이라 광고 계약 걷어치운다는 발표가 나기가 무섭게 이강인은 흔적도 없이 completely erazed라 광고시장은 이리도 무섭다. 왜? 장사꾼이니깐. 2024. 2. 18.
합천 다라리 고분군은 옥전고분군과 유사 경남 합천군이 가야문화재 조사연구 사업 일환으로 경남도비를 지원받아 쌍책면 다라리에 위치한 삼국시대 공동묘지인 다라리고분군을 (재)경남연구원에 의뢰한 발굴조사를 벌인 결과 만든 시기라든가 문화 양상을 볼 때 근자 가야고분군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된 같은 고장 옥전고분군과 유사성이 많음을 확인했다고 한다. 이번에 판 데는 다라리 고분군Ⅱ이라 명명한 곳 2‧3호 봉토분이다. 그 결과 두 무덤 주변으로는 모두 14기에 이르는 중소형 돌덧널무덤이 추가로 드러났다. 조사 면적(233㎡) 대비 무덤 밀집분포가 매우 높은 편이라고 조사단은 전했다. 두 무덤은 봉분 때문에 존재가 알려져 이미 극심한 도굴 피해를 봤음에도 금박을 입힌 큰칼 편과 함께 재갈, 등자 등 마구류를 출토했다. 봉분 주변으로는 둘레돌 호석.. 2024. 2. 18.
거란, 깔아준 멍석 일전에 글쓰기 역시 시류에 편승해야 한다 역설하며 거란과 고려를 소재로 떠들어대는 나를 변명했지만 혹자는 지가 고려 거란에 대해 뭘 알아 저리 나대는가 하겠지만 불알 두 쪽으로만 떠들겠는가? 고려는 틈나는대로 닥치는대로 읽었으니 생각보단 이쪽은 아주 오랜 기간 나로서는 나름 절차탁마했다. 문제는 거란. 이 거란은 대략 25년 전쯤으로 기억하는데 그 무렵 산서성을 혹닉하던 때라 그때부터 관심이 일었고 이후 그곳을 몇 차례 더 다녀오고 또 언제인가는 요서지방 일대를 답사하며 그 갈증에 닥치는대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때가 있었다. 하지만 그 거란을 내가 써먹을 일이 마뜩히 없었다. 그냥 썩혔고 그러다 다른 데 관심이 일면서 이내 뒤켠으로 물렸다. 그러다 단국대 쪽에서 요사 금사를 완역해 내자 다시 그쪽에 붙.. 2024. 2. 18.
김훈과 최질의 제2차 고려막부정권, 그 시작과 전개와 결말 KBS 대하드라마 고려거란전쟁이 그 3차 귀주대첩으로 가는 길목에 만난 중대한 사건이 이 막부쿠데타다. 이 드라마 25회가 그 발발을 다루고, 26회 역시 그 연장을 다룰 것이 확실하거니와 지금의 대통령 경호부대장들인 김훈과 최질이 주도한 이 2차 고려막부정권에 대해서는 우리 THE HERITAGE TRIBUNE이 장기 연재한 것이 있으니 혹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하셨으면 한다. 고려는 태생 자체가 막부 정권이다 고려는 태생 자체가 막부 정권이다 동시대 중국은 당唐 제국이 결딴난 상황이라, 절도사 시대가 개막하면서 막부정권 문을 다시금 열었다. 다시금이라 하는 이유는 인류 역사는 언제나 군사력을 바탕으로 삼아 새로운 시대를 연 historylibrary.net [제3차 고려 막부정권] (2) 영업전이 당.. 2024. 2. 18.
부러운 영어권 책: 출판망 영어권에서 책을 출판하면 부러운 것이 있다. 특별히 신경쓸 것도 없이 출판 당일 얼마 안 지나 전 세계 도서관과 책방에 일제히 출판된 책의 서지가 올라가며 심지어는 저널 북 리뷰까지 책이 내가 신경쓰지 않아도 알아서 전달 된다는 것이다. New perspectives on the Harappan culture in light of recent excavations at Rakhigarhi: 2011–2017: volume 1: bioarchaeological Date received: Tuesday, November 21, 2023 Vasant Shinde, Dong Hoon Shin & Banani Bhattacharyya (ed.). 2023. New perspectives on the Harappa.. 2024. 2. 18.
한국이 소비하는 거란, 언제나 곁다리 이 주체를 이른바 직업적 학문종사자로 국한한다면, 이 분야를 개척한 주인공은 동빈 김상기다. 1세대 역사학도가 거개 그렇듯이 동빈 역시 잡탕이었다. 동빈이 지닌 가장 큰 무기는 한학漢學이었다. 그는 한문이 동시대 어떤 연구자보다 탁월했다. 서울대에 교편을 잡으면서 동양사라 특징지을 만한 일군의 학도를 길러냈고, 지금 한국에서 동양사라 하면 거개 동빈을 남상으로 삼는다. 이 동양사는 지금은 합쳐진 듯한데, 서울대에 동양사학과가 별도로 독립하고, 고려대 역시 그러했다고 기억하거니와, 아무튼 이 두 학교를 발판으로 동양사는 나름 독자성을 확보하려 안간힘을 쓰는데, 이 동양사가 탑재한 가장 큰 문제는 한국사 서양사랑 따로 노는 문제였다. 이를 역사 영역 전반, 특히 한국사를 기준으로 한국사 영역으로 급격히 포섭.. 2024. 2. 18.
[거란의 치맛바람 spinoff] 공주의 등급 거란은 요사遼史를 중심으로 귀납으로 살피면, 황제 소생 딸들한테서도 당연히 정비 소생이냐 혹은 첩실 소생이냐에 따른 신분 차별이 엄격하고, 나아가 그 자체 등급 역시 등락이 있다. 다만, 아쉽게도 이 공주 봉작제도에 대해서는 요사遼史 어디에서도 체계적인 논급 혹은 정리가 없어 모조리 사례 중심으로 살펴 그 작동원리를 추단하는 수밖에 없다. 위선 이 봉작 제도를 보면 공주는 철저히 현재의 황제를 기준으로 이뤄진다. 정비 소생은 당연히 자동으로 공주公主라 한다. 후궁 소생은 엄마 격에 따라 아래로부터 현주縣主와 군주郡主가 있고, 아예 봉작을 받지 못하는 딸도 있다. 공주냐 군주냐 현주냐 하는 봉작이 이뤄지는 시점은 모르겠다. 태어나서 곧바로 이뤄지는 것은 아닌 듯하다. 하긴 뭐 그때야 걸핏하면 얼나 때 죽었.. 2024. 2. 18.
[독설고고학] 넘쳐나는 자기표절 자기 표절이 가장 극심한 데는 국가별로 보면, 순전히 내 분야 기준이긴 하나 일본이다. 이 일본 쪽 논문들은 보면, 초지일관 자기표절이다. 이는 이들의 논문집 단행본을 보면 그 극심한 양상이 잘 드러난다. 논문 10편을 단행본으로 묶었으면, 중복된 거 제외하고 나면 절반도 남지 않는다. 자기 분야 대가로 통하는 사람들도 보면, 중복된 부분 제외하면 심지어 논문 10편 중 꼴랑 1편 남는 사람도 부지기수에 이른다. 이 일본쪽 전통이 그대로 한국에 침투해 비슷한 양상이 벌어진다. 요새는 자기표절 금지를 강화하는 바람에 한국쪽은 그나마 사정이 좀 나아지는 형국이기는 하다. 한국 고고학계를 보면 논문 묶음 단행본이 거의 없다. 이유는 자기 표절 때문이다. 중복 걸러내면 논문 꼴랑 한 편 남는다. (2018. 2.. 2024. 2. 18.
증폭해서 살려 본 벽초와 육당 동시대를 살다간 춘원과 달리 벽초 홍명희와 육당 최남선은 좋은 사진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이것이 두 사람 연구에 일대 장애가 되고 있는데 ai 도움을 빌려 거지 같은 해상도를 살리고 다시 포토샵 기능 일부를 가미해 최대한 복원해 봤다. 일부는 왜곡 논란을 부를 수도 있지마는 최신 기술을 응용하면 거지 같은 저 거인들도 더 생생히 다가 온다. 이상 홍명희다. 이상 최남선이다. 2024. 2. 17.
[거란의 치맛바람] (14) 세 번 결혼한 죄인 공주 거란 7대 황체 흥종興宗 야율종진耶律宗眞(재위 1031~1054)은 앞서 소개한 적이 있는데, 즉위 초반기에는 워낙 어렸던 데다 별난 엄마 소누근蕭耨斤한테 짓눌려 성년이 되고 나서도 한동안 찍소리도 하지 못했다. 그에게 딸은 둘이 확인되는데 모두 정비 인의황후仁懿皇后 소달리蕭撻里 소생이라, 첫째를 아율발근耶律跋芹이라 하고, 둘째를 야율알리태耶律斡里太라 하거니와, 이 둘째는 정국공주鄭國公主에 봉해지고 청녕清寧 연간에 장공주長公主가 되었으니, 장공주란 앞서 누누이 말한 대로 황제의 고모가 되면 거의 자동으로 붙은 칭호였다. 이 알리태는 수륭壽隆 연간에 장공주 중에서도 대빵 장공주라 해서 대장공주大長公主가 되는데, 아마 언니가 죽고 나서 이리되었거나, 아니면 황제의 왕고모 할매가 되어 이런 대접을 받았을 것이.. 2024. 2. 17.
식민지 문인 이광수의 인생 춘원은 식민지가 아닌 나라에 태어났다면 인생 자체가 달라 그 나라의 근대문학의 대문호로 남았을 가능성이 거의 확실한 양반이지만, 식민지라도 인도에서만 태어났어도 아마 이 양반은 인생 경로를 달리 잡았을 것이다. 태평양전쟁은 한때 밀리던 미국이 일본을 밀어부쳐 마침내 원자탄 투하로 전쟁을 종식시킬 때까지 제법 긴 전쟁기간이었지만 실제로 미국이 일본을 태평양에서 밀어부쳐 섬을 하나씩 다 탈환하고 동경에 폭격까지 하기 시작한 것은 불과 1년이 안되는 짧은 기간이었다. 이 시기에 한반도에 살던 지식인들이 도대체 전쟁이 어떻게 끝날지 누가 이기고 있는지도 전혀 모르고, 전쟁이 도대체 어떻게 전개되는지도 모르는 상황이었다는 것은 여운형이 건준과 인공을 가지고 벌인 헤프닝을 보면 짐작할 수 있다. 여운형도 태평양전쟁.. 2024. 2. 17.
러시아 이긴 이태째에 일본 군인에게 청나라 유학생이 글씨를 써주다 1900년대를 전후한 시기, 생각보다 많은 동아시아 지식인이 일본에서 희망을 찾았다. 서구 열강의 침략에 시들어가는 그들의 조국과 비교해 볼 때, 개항 이후 열강화해가던 일본은 어쨌거나 좋은 본보기였기 때문이다. 이에 그들은 일본 유학을 경쟁적으로 떠난다. 베트남에서 일어난 동유東遊 운동이 그 대표적인 사례가 되겠다. 청일전쟁으로 양무운동이 스러졌고, 변법자강운동마저 실패로 돌아갔던 청나라에서도 일본 유학 붐이 인다. 청나라가 1912년 멸망하고 민국시대가 열렸지만, 일본에 유학가는 이들은 줄지 않았다. 노신(1881-1936), 곽말약(1892-1978), 주은래(1898-1976) 같은 거물들이 그 시절 앞서거니 뒤서거니 일본 유학을 떠났던 이들이다. 정작 이들은 일본에서 '중국'의 현실을 깨닫고 돌.. 2024. 2. 17.
탁구 쳤다가 광고 철거 수준 들어간 이강인 KT, 이강인 포스터 철거…"S24 프로모션 종료 따른 것" 송고시간 2024-02-16 22:03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6156700017?section=sports&site=popularnews_view KT, 이강인 포스터 철거…"S24 프로모션 종료 따른 것"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오규진 기자 = 축구대표팀 내분 사태의 중심에 선 이강인(파리 생제르맹)을 광고 모델로 기용한 KT[030200]가 진행하는 ...www.yna.co.kr 예상한 대로다. 단순 치기라고 보기엔 책임져야 할 일이 너무 많았으니 무엇보다 금전 손실 또한 막대하다. 혹자야 아직 어리니, 외국에서 오래 생활했으니 이해할 만하다 하겠지만, 외국생활 오래해서? 웃기는 소리 하지 .. 2024. 2. 17.
미증유의 대재난 을축년대홍수, 공공사업으로 이재민 구조에 나서다 다시금 말하지만 1925년 을축년대홍수는 단군조선이래 한반도가 직면한 자연재해로는 미증유였고 그 피해 역시 전국적이었으며 이재민만 물경 60만을 양산했다. 이런 미증유 사태에 정부는 어찌 반응했는가? 우리는 자꾸만 이 시대를 국권을 상실한 시대로 설정하니 정작 봐야 할 것들은 제대로 보지 못하는 당달봉사가 되었으니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이 시기는 권력 공백이 아니라 새로운 국가권력으로 대체된 시절이라는 점이다. 국권을 상실한 적은 없다. 그 국권의 주체가 대한제국에서 대일본제국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저 시대를 국권상실로 치환하니 식민당국의 모든 행위는 불법탈법이 될 뿐이다. 권력탈취가 합법이었던 적은 유사 이래 단 한 번도 없다. 고려왕조 개창 조선왕조 개창 역시 다 불법탈법이었다. 그렇다 해서 우리는 .. 2024. 2. 17.
폭발하는 욕망, 경복궁을 끌탕하다. 단군조선 이래 이리 많은 인파가 몰린 척 있던가? 1915년 조선총독부가 개최한 조선물산공진회다. 관제동원? 식민논리? 개소리 말라. 저기서 욕망을 봐야 한다. 드글드글하는 욕망을. 그 욕망을 권력은 알았다. 그 틀을 마련해준 것이다. 땅속에서 분출하기만 기다리는 마그마 라바 lava가 폭발한 것이다. 저에서 맛본 욕망은 이내 식민지 권력에는 비수가 되어 돌아왔다. 삼일운동이 폭발한 것이다. 독립욕구? 그걸로 간단히 해명될 거 같은가? 이미 조선은 걷잡을 수 없는 대중사회로 끌려들어가고 있었다. 근대란 그런 것이다. 2024. 2. 17.
역대 조선통감 총독 2024. 2. 17.
한국근현대사는 팩트고 나발이고 기본을 팽개친 것이 문제 신동훈 교수께서 앞서 한 말을 이어 부친다. 현대사 빼고 식민지시대만 이야기한다. 교과서고 논문이고 나발이고 지금 이 순간에도 수십 편 논문이 쏟아져 나오고, 또 국사편찬위원회니 뭐니 하는 관변 기관들이 무수한 역사 서비스를 하고 자빠졌지만, 이 식민지시대와 그 직전 어간 꼬라지를 보면 도대체 저런 악정에도 한민족이 인종청소 당하지 않고 어찌 살았는지가 궁금할 정도로 처참해서 어찌 35년간이나 그렇게 매질만 당하고 총칼에 찔리고 쏘이고서도 이렇게 한민족이 살아남았는지 알 수가 없다. 저네들이 주장하는 대로라면 한민족은 10년이 되지 않아 이 지구상에서 멸종했어야 하는 까닭이다. 식민통치를 무슨 총칼로 하니 이 썩을 놈들아. 맨 총칼로 찔러대고 쏘아대면서 어찌 통치를 한단 말인가? 내가 궁금한 것은 조선 .. 2024. 2. 17.
조선총독부 시정25년사가 말하는 조선물산공진회 9. 시청 5년 기념 공진희 개설 1) 개설 박람회, 전람회, 기타 유사한 시설은 예전 한국에는 전혀 없있다. 따라서 그것은 1907년(명치 40) 한일 양국의 유지有志들이 발기하여 개최한 경성박람회가 효시이다. 이 박람회는 명의상으로는 한일 유지들이 주최하였지만, 통감부는 물론 한국정부도 상당한 원조를 하였기 때문에 사실상 한일 관민 합동 사업과 다름없었다. 경성박람회는 1907년 9월 1일부터 11월 15일에 이르는 2개월 반 동안 개설되었는데, 단지 조선 내에서만이 아니라 내지의 각 부. 현 및 훗카이도·대만에서도 출품하여 그 수가 [120] 총 7만 9천여 점에 달하였고, 관람인은 총 20만 8,000여 명에 이르러 당시로서는 상당한 성적을 거두었다. 그 무렵에는 일반적으로 한국 부인이 남자와 함.. 2024. 2. 17.
조선총독부 시정25년사가 증언하는 1925년 을축년대홍수 2) 기타 한·수해 구제 조선에서 한해와 수해는 거의 매년 일어나서 일일이 거론하려면 한이 없는데 1919년의 한해에 이어 특별히 기록해야 할 것은 1924년(大正8)의 한·수해와 1925년(대정9)의 대수해다. 1924년(대정8)은 갑자년甲子年으로, 조선의 미신에 따라 일반의 무지한 인민 사이에 연초부터 인심이 흉흉했다. 그런데 모내기철이 되어 쌀 산지인 남선南鮮 지방에 대한해가 일어났고 모내기를 할 수 없는 논은 전남 전북 경북 경남 충남의 여러 도에 걸쳐 약 26만 1천 정보에 달했으며, 약 300만 석이 감수減收할 것으로 예상되어[520] 남선 일대의 인심은 날로 험악해져 갔다. 이에 총독부를 비롯해 도 당국에서는 최선으로 그 대책을 강구했다. 전남도청의 경우는 솔선해서 이들 재해지의 대용작代用作.. 2024. 2. 17.
조선미술전람회와 조선총독부박물관 제19장 문화적 시설 조선 고유의 문화와 관습을 존중하고 만약 채용해야 할 것이 있다면 채용해서 통치에 도움이 되도록 한디는 것은 제3기 시정의 한 방침이었다. 1) 개설 총독부에서 시행한 문화적 사업은 종래부터 이어진 박물관, 고적 조사, 고적조사보 고서 및 고적도보 출판, 조선인명휘고彙考 편찬 등이 있었다. 또한 제3기에 들어 경성제국대학이 설치되자, 경성제국대학 내에서 조선 고문서의 수집, 무격의 조사, 조선 토속품 수집 등의 사업이 시행되었다. 제3기에 총독부에서 직접 착수한 사업은 다음과 같다. 2) 구관舊慣 및 제도 조사 총독부에서는 종래 중추원의 부대사업으로 구관 및 제도의 조사를 시행하여, 이를 입법 자료와 재판의 준칙으로 삼고 정무에 참고해 왔다. 이를 확충해 시정에 한층 더 효과적일 수.. 2024. 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