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7696 불나국弗奈國 vs. 불내후不耐侯 고려사 본기와 고려사절요를 보면 현종顯宗 11년(1020) 6월 19일 기해己亥에 이르기를 불나국 추장 사가문沙訶門이 여진의 노울달奴鬱達來을 보내서 토산물을 바쳤다. 己亥 弗奈國酋長沙訶門遣女眞奴鬱達來, 獻土物. 라 했거니와, 이 불나국弗奈國이 다른 데 보이지 아니해서 그 정체를 추정하기 매우 곤란하거니와, 나는 이 대목을 볼 때마다 왜 자꾸만 이보다 800년을 거슬러 올라간 시점에 보이는 불내不耐가 어른어른하는지 모르겠다. 삼국지三國志 권 제30 위서魏書 30 동이전東夷傳 예濊에 이르기를 (위나라) 정시正始 6년(AD 245, 고구려 동천왕東川王 19)에 낙랑태수樂浪太守 유무劉茂와 대방태수帶方太守 궁준弓遵이 [단단대單單大]령領 동쪽 예濊가 구려句麗(고구려)에 복속하자, 군대를 일으켜 정벌하니 불내후不耐侯.. 2024. 2. 16. 외채 때문에 나라 망한다고 했던 자들 소위 80-90년대 논객 중에 외채 때문에 나라 곧 망한다고, 자립적 경제를 해야 한다고 설친 자들들은 지금 다 쓰던 붓 꺾어라. 되도 않논 소리로 민심이나 선동하고 다닌 인간들이 어떻게 자기가 한 소리가 몽땅 구라로 판명이 났는데도 안면 몰수하고 그냥 교수질을 해 먹고 있냐. 그래. 한국은 식민지반봉건사회냐 아니면, 신식민지 국가독점자본주의사회냐? 이거 이야기 하던 놈들 다 어디로 갔냐? 당신들 아니라도 인문학 사회과학하면 잘 할 애들 젊은 애들 사이에 널렸으니까 이제 왠만큼 구라 좀 푼 것 같으면 족한 줄 알고 마무리들 해라. 솔직히 다 구라 아니냐? 하나도 맞는 게 없었잖아. #외채망국론 2024. 2. 16. 팩트부터 몽땅 다시 봐야 하는 한국근현대사 어차피 필자는 사학전공자도 아니고 본격적인 인문학자로 나설 생각도 없다. 그러니까 전공자도 아니니 눈치 보지 않고 하고 싶은 말 하면서 살련다. 짧은 인생에서 제대로 된 정신 활동을 해 봐야 몇 살까지나 하겠나. 잘해야 75세, 80세 아닐까. 그러면 필자도 길어봐야 20년, 짧으면 15년 그나마 제정신에서 이야기 하다 저 세상으로 가게 되는 셈이다. 굳이 하고 싶은 말을 그냥 맘에 담아둘 필요가 없는 나이가 된 것 아닌가 한다. 각설하고, 한국사 특히 근현대사는 팩트부터 다시 봐야 한다. 특히 해방전후사-. 가정부터 잘못되어 있고 팩트도 어거지투성이다. 한국근현대사를 지금 포맷대로 따라가면 한국이 도대체 왜 20세기 이전에 지지리도 못살다가 느닷없이 잘 살게 되었는지 전혀 설명할 수가 없다. 한국인이 .. 2024. 2. 16. 신동훈: 고고기생충학-화장실 고고학 관련 논문 총 서지 목록 https://shindonghoon.tistory.com/37 신동훈: 고고기생충학-화장실 고고학 관련 논문 총 서지목록 필자의 연구실에서 출판된, 2024년 2월 현재까지 출판된 고고기생충학 관련 논문의 서지를 모두 싣는다. 한국과 일본학계에서 소위 말하는 "화장실고고학" 논문도 모두 포함이다. 구글링으로 쉽 shindonghoon.tistory.com 필자의 고고기생충학-화장실 고고학 관련 논문 총 서지 목록을 위에 링크로 올려둔다. 앞으로 단행본 한 권 정도가 추가 될 것 같은데 대략 연구가 거의 종결되었다고 보시면 될 듯하다. 필자로서는 고고기생충학-화장실 고고학에 대해서는 학계에 더 할 말이 없다. 위에 링크된 서지의 논문을 참고하시면 감사드리겠다. 2024. 2. 15. 이강인 논란에서 생각해야 할 국대 축구 뭐 상명불복 이런 차원의 문제라기보다 팀웍을 깨는 행동이 있다면 처음부터 오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에 부르는 쪽에서도 공공에 대한 봉사를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알고 가는 풍토도 좀 자제했으면 하는 생각이다. 국대에서 뛰는 것은 큰 명예이겠지만 선수 개인에게는 희생이라는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요즘은 옛날보다는 덜해졌지만 우리 사회는 공공에 대한 봉사를 조선시대 군역처럼 무보수 복역을 사키는 것을 당연히 여기는 풍토가 있어서 그 풍토 그대로 지금까지 이어진 것은 휴전선 너머 이북으로, 탈북자들의 이구동성 중 하나가 남한에 와서 제일 좋았던 것이 매일 일하면 어쨌건 보수가 있었단 거라. 국대도 선수들에게 저보수 봉사를 당연한 것으로 알고 있는 것은 아니겠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이번에 그 어린 친.. 2024. 2. 15. AI로 증폭한 13년 전 저화질 이란 답사 사진 13년 전 오늘 페이스북에 사진을 탑재할 때는 사진 원본이 아무리 고해상도라 해도 페북 스스로가 화상도를 저급하게 만들어 탑재했다. 내 기억에 저 두 장은 장당 5메가 이상짜리였다고 기억하지만 지금 다운로드해서 살피니 각각 100kb 남짓한 해상도라 인쇄물에는 도저히 사용할 수 없다. AI 증폭기술을 썼더니 각각 1메가 정도로 증폭된다. 그런대로 써먹기엔 크게 아쉽지는 않다. 이런 날이 올 줄은 몰랐다. 이럴 줄 알았더래면 망실하고 말았을 사진이나 잔뜩 올려둘 걸 그랬다는 후회가 밀려든다. 저 사진들은 2008년 2월 페르시아문화탐방 때 찍은 것들로 당시 이란답사는 배기동 선생 인솔로 노땅 중에선 김병모 조유전 윤열수 선생이 가셨고 훗날 문화재청장이 되는 나선화 선생도 동행했으며 아랫것들로는 이한용 김충.. 2024. 2. 15. 당 고종-무측천 합장 서안 건릉 당 고종 이치랑 그의 마누라 무측천을 합장한 서안 건릉이다. 이 부부 참으로 요란시럽게 살았다. (2016. 2. 15) *** 이전에 갔던 것을 정리했을 것이다. 하도 싸돌아댕겼더니 언제 어디를 갔는지도 다 아리송송하다. 2024. 2. 15. 교치僑置 하나로 모든 걸 퉁쳐 버린 낙랑 대방의 문제 이 문제, 곧 낙랑 대방이 어디메쯤 있었느냐 하는 논란은 언제나 나로서는 체증과 같아 좀체로 해결 기미를 찾지 못한다. 이 논란이 이른바 재야와 강단사학을 가르는 가장 주된 문제이기도 하거니와, 간단히 말해 재야 쪽은 요서 요동에 처음부터 있었다는 것이고, 강단 쪽은 평양 황해도 일대에 있었다고 보며 서로를 공격하는 재미로 산다. 이 논란과 관련해 나는 언제나 다음과 같은 말을 했으며 지금도 그런 생각은 변함이 없다. 둘 다 맞을 수도 있다. 딱 이거다. 낙랑 대방 위치 문제 관건은 313년 고구려 미천왕에 의한 이른바 한 군현 축출이라, 이것도 솔까 삼국사기 등등 이런 사실을 전하는 기록은 하나 같이 낙랑을 미천왕이 공격했다 했지, 그래서 축출했다는 흔적은 어디에도 없다. 그냥 한 방 건드려 봤다 딱 .. 2024. 2. 15. 더 얻어터져야 하는 이강인 남영동 시저 인근 어느 갤럭시 매장인지 광고판이다. 통신사 광고인지도 모르겠다. 이번 아시안컵 축구대회 뒷말이 아연 무성하고 그 논란 핵심에 저 앳되디 앳된 이강인이 휘말려 있다. 손흥민이랑 멱살잡이하고 주먹질을 했다나 마나 한다. 급기야 이강인이 사과문을 올리는 사태로 발전했다. 젊은 혈기에 뭔 짓인들 못하겠는가? 아들놈이랑 동갑내긴데 문제는 누구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이강인 편이 없다는 사실이다. 질타 일색이다. 속내 곡절 개무시하고 새까만 놈이 것도 주장한테 대들었다는 걸 용납할 사람은 없다. 더구나 주장한테 대드는 일은 항명이다. 리버풀 시절 그 악동 수아레즈도 절대 레전드이자 캡틴 제라드 앞에선 찍소리도 못했다. 그건 복종이 아니라 존중이다. 치기라고 하자. 손흥민이라고 저 나이에 저러지 않았다.. 2024. 2. 15. AI가 증폭한 윤동주 김별아 작가 포스팅을 보니 내일 2월 16일이 윤동주 시인 공식 사망일이라 한다. 각지를 저화질로 떠도는 동주 사진들을 모조리 AI로 증폭해 봤다. 그대로 클릭해서 다운로드 가능하니 사용하고픈 분들 맘껏 사용하시기 바란다. 2024. 2. 15. 각중에 궁금해서 물어본 안중근 키와 몸무게 현역에서 나름 기자랍시고 우쭐대며 현장을 뛸 때 이야기다. 근자 느닷없이 경기도박물관장으로 튄 이동국 선생이 예술의전당 서예관을 한창 말아드실 적에 안중근 유묵전을 대대적으로 개최한 적이 있는데, 그 유묵 중에는 널리 알려졌듯이 이른바 단지斷指 동맹이라 해서 조국 독립 의지를 다지며 동지들과 손가락 하나를 짤라 맹서한 그 흔적이 오롯하거니와 그는 유묵마다 거개 이 손바닥으로 낙관을 대신해 찍었으니, 그때 전시실을 채운 그 유묵에다가 무심코 내 손바닥을 펴서 얹어보고서는 놀란 점이 하나 있으니 이 유묵 손바닥은 말할 것도 없이 안의사 손바닥 실물크기를 말해줌이라, 한데 그에다 얹어 보니 내 손바닥보다 딱 마디 하나가 짧았다. 아 그때야 못 먹고 살 때니깐 그럴 수도 있겠다 싶었지만, 영 기분이 묘했으니, .. 2024. 2. 15. 잡곡문화의 이해는 왜 중요한가 최근에 중국 쪽에서 나오는 이야기를 보면, 잡곡기반의 황하유역과 도작기반의 장강유역이 심지어는 돼지키우는 법도 달랐다는 이야기가 있다. 생활양상 전반이 양쪽은 많이 달랐는데 그 이유는 역시 양측의 생산기반이 무엇이었느냐가 정말 중요했던 듯 하다. 도작기반 사회가 언제나 경제적으로 우위였을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도작기반의 장강유역이 경제적으로 잡곡기반의 황하유역을 압도한 것은 어마무시한 세월의 뒤로 서기 천년기가 되어야 비로소 강남의 경제력이 중원을 앞질렀다는 이야기가 있는 것으로 안다. 무슨 이야기냐 하면, 우리는 잡곡 기반사회라고 하면 무조건 후진 사회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고조선 고구려는 깡 잡곡이나 먹고 살던 사회라고는 생각않는다. 그래도 쌀농사 지었겠지.. 여기랑 비슷했겠지 하는 생각이 머리 .. 2024. 2. 15. 정월대보름 조밥을 바다에 띄운 이유는? 어릴 때 저희 지역 바닷가에서는 정월대보름에 조밥을 지어 피마자잎(묵은나물할 때 불려 남겨둔 거)이나 종이에 싸서 물에 띄웠어요. 돌아오지 못한 분들을 위한 거라고. 왜 조밥일까? 궁금했는데 그에 대한 답은 아직도 찾지 못했습니다. *** 김포에 사는 지인 신소희 선생이 아래 설렁탕 조밥에 대한 글에 붙인 일화라, 혹 민속학을 중심으로 이런 쪽에 관심이 있을 분도 없지는 않은 듯해서 따로 소개한다. 혹 이에 대한 조사와 논급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설렁탕에는 왜 조밥을 말아 먹는가 설렁탕에는 왜 조밥을 말아 먹는가 설렁탕에는 쌀밥보다 조밥을 말아 먹는 게 더 맛이 있어서 설렁탕 먹을 줄 아는 사람들은 조밥을 말아 먹는다고 한다. 딱 맞는 말이다. 국물은 쌀밥에는 사실 필요 없다. 필자도 평소에 쌀밥 먹 h.. 2024. 2. 15. [202401 독일풍경] (8) 베를린 ② 과거를 기억하는 법, 베를린 유대인박물관 from 장남원 [202401 독일풍경] (8)베를린 ②과거를 기억하는 법... 베를린 유대인박물관, 독일역사박물관... 그리고 홀로코스트 기념비 베를린에는 과거에 대한 독일의 입장이 박물관들을 통해 정리되어 있다. 에서는 https://www.jmberlin.de/ Jüdisches Museum Berlin Planen Sie ihren Besuch und tauchen Sie in das digitale Museum ein. Erfahren Sie mehr zu jüdischer Geschichte und Gegenwart in Deutschland. www.jmberlin.de 독일내 유대인들의 위치와 영광, 기여, 역할 그리고 나찌시대에 겪은 비극적 역사를 통해 최대한 객관적인 좌표 위에 그들을 자리매김 하려는 .. 2024. 2. 15. [거란의 치맛바람] (12) 딸을 죽였다고 사위 소손녕을 죽여 순장한 장모 예지황후睿智皇后 소작蕭綽 요사遼史 권80 열전列傳 제18에는 소항덕蕭恆德, 곧 蕭손녕遜寧이 열전이 그의 친형 소배압蕭排押 열전 바로 뒤에 붙었거니와, 이에 의하면 소항덕은 통화 원년(983) 제5대 황제 경종景宗 야율현耶律賢과 예지황후睿智皇后 소작蕭綽 사이에서 난 월국공주越國公主한테 장가들어 부마도위駙馬都尉가 되어 주로 군사 분야에서 출세가도를 달린다. 물론 굴곡도 없지는 않아서 군사 발동을 잘못했다 해서 공신 칭호를 삭탈당하기도 한다. 통화統和 14년(996)에는 행군도부서行軍都部署가 되어 포로모타부蒲盧毛朵部를 치고 개선했다. 문제는 이때 생겼다. 그의 열전에는 이렇게 적었다. (소항덕이 전장에서) 돌아오자 (부인 월국) 공주가 병이 들었다. 태후가 궁인宮人 현석賢釋을 보내 병 간호를 하게 하였는데 소항덕이 그와 사통하니 공주.. 2024. 2. 15. 고구려의 밥 색깔 노란색이다. 고구려 주식은 조, 기장, 수수였을 가능성이 백프로다. 쌀? 있기는 했겠지만 많지 않았을 것이다. 귀족들 기호품 정도였을 것이라고 본다. 수수는 또 다른데 기장과 조로 밥을 하면 노란색으로 밥이 나온다. 고구려 밥은 노란색이다. 2024. 2. 15. 이조판서 인사발령 이틀만에 급서했다 해서 칭송받은 오재순 정조실록에 의하면 그 16년, 1792년 12월 28일 임진일에 이조판서 정민시鄭民始를 체직하고는 오재순吳載純을 그 자리에 앉힌다. 당시 오재순은 66살 상노인이었지만, 적어도 몇 년은 더 써 먹을 체력은 된다 정조가 생각한 인사조치였다. 하지만 불과 이틀 뒤 오재순은 허망하게 간다. 실록이 적기한 그의 졸기卒記 전문은 다음과 같다. 원임 이조판서 오재순이 죽었다. 재순은 자字가 문경文卿이라 고 대제학 오원吳瑗의 아들이다. 풍채가 청수하고 차분하고 말수가 적었으며 벼슬길에 나가는 것을 좋이 여기지 않았다. 영종英宗 임진년에 급제하고 상이 등극하자 내각에 들어와 이조·병조판서를 지내고 대제학을 역임했는데, 상이 그의 겸손하고 과묵함을 가상히 여겨 우불급재愚不及齋라는 호號를 내리기도 하였다. 어려서부터 경전.. 2024. 2. 15. 설렁탕에는 왜 조밥을 말아 먹는가 설렁탕에는 쌀밥보다 조밥을 말아 먹는 게 더 맛이 있어서 설렁탕 먹을 줄 아는 사람들은 조밥을 말아 먹는다고 한다. 딱 맞는 말이다. 국물은 쌀밥에는 사실 필요 없다. 필자도 평소에 쌀밥 먹을 때는 국을 안 올린다. 국을 먹어 봐야 소금만 더 섭취하게 되고 쌀밥 먹을 때는 국이 별로 필요 없다고 느낄 때가 많다. 그런데. 잡곡밥 특히 기장이나 조밥은 국을 부른다. 국에 말아 먹거나 부어 먹으면 정말 밥맛이 바뀐다. 우리 조상도 그랬을 것이다. 밥에 국이 따라나오는 전통은 잡곡을 먹던 우리 조상들이 처음 시작했을 가능성이 그래서 높다고 생각한다. #조밥 #설렁탕 #설렁탕_조밥 2024. 2. 15. [거란의 치맛바람] (11) 네 번 결혼한 거란의 리즈 테일러 소배압 말고 야율륭서耶律隆緒 만큼 일반에 친숙한 거란 사람 있을까? 드라마가 불러온 현상이다. 이제는 초동급부까지 야율륭서를 알게 됐으니 말이다. 거란 황금기를 이룩한 위대한 군주라는 야율륭서는 죽어서 성종聖宗이라는 묘효廟號를 얻으니 흔히 이렇게 일컬어지만, 생전에 그 자신은 이런 이름을 들어본 적도 없다. 왜? 귀신이 되어 받은 이름인 까닭이다. 성종은 생식력 또한 왕성했으니, 딸만 해도 열넷을 두었다. 귀비貴妃한테서 야율연가耶律燕哥라는 첫딸을 두니, 이 여식은 수국공주隨國公主에 봉해졌다가 나중에 진국공주秦國公主로 바뀌었으며, 흥종興宗 시대에는 송국장공주宋國長公主라 했다. 장공주는 보통 현재의 황제 고모한테 붙인다. 소필리蕭匹里한테 시집갔다. 이 자리서 논하고자 하는 성종 따님은 앞에서도 집중으로 다룬.. 2024. 2. 15. 위대한 기장 우리나라와 일본은 쌀 아니면 제대로 된 곡식이 아닌 걸로 보지만, 사실 인류사에서 쌀 못지 않게 중요한 곡식이 기장이다. 기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선시대에서 쌀농사를 짓다가 딱 봐서 이건 망했다 싶으면 갈아 엎고 바로 기장을 심었다. 이유는 기장은 몇 개월이면 수확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거지 같은 날씨에 척박한 땅에서도 수확이 가능했다. 그래서 수렵채집민이 농경민으로 바뀔 때 가장 먼저 다루는 곡식이 기장이다. 별다른 기술이 없어도 되고 척박한 토지에서 잘 자란다는 말은 별다른 시비나 관리 없이도 수확이 된다는 의미이고, 또 심은 후에 빨리 수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장이 황하문명을 이루었고, 마찬가지로 고조선문명, 부여, 고구려 문명도 모두 기장으로부터 일어났다. 기장을 우습게 보면 다친다. 2024. 2. 15. 쪄서 만든 깡기장밥 예상 대로 기장밥은 쪄서 만들면 굉장히 잘 익는다. 낱알 크기가 작기 때문이다. 물에 미리 불릴 필요도 없다. 딱 10분 정도 찌면 다 익는다. 맛도 괜찮다. 특히 된장국이라도 있으면 말아먹으면 최고다. 결론: (1) 밥을 쪄서 만드는 것은 잡곡밥 용이다. (2) 잡곡 중에서도 낱알이 작은 조나 기장밥이 쪄서 밥을 지으면 가장 잘된다. (3) 쌀농사도 처음에는 밥을 쪄서 지었겠지만 찐밥 자체는 잡곡문화권에서 왔을 것이므로 밥을 끓여 뜸들이는 무쇠솥 밥짓기가 나오기 전까지는 잡곡보다 별로 맛이 썩 낫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4) 국이라도 하나 있으면 쪄서 만든 기장밥에 말거나 부어 먹으면 최고다. (5) 밥과 국의 조합은 쌀농사 이전에 이미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6) 숭늉과 누룽지는 무쇠솥 나온.. 2024. 2. 14. 이전 1 ··· 155 156 157 158 159 160 161 ··· 8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