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072

1962년, 백옥빈 씨가 브라질행 치차렌카 호에 몸을 실은 까닭은? 치차렌카호에 실은 반세기 전 브라질 이민의 꿈 송고시간 2014-04-30 17:25 김태식 기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브라질 속의 한국인' 특별전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백옥빈(白玉彬) 씨는 지구 반대편 머나먼 브라질 산토스항을 향해 정오에 부산항 제2부두를 출항한 화란(和蘭) 선적 치차렌카호(號)에 몸을 실었다. 12월 18일, 남쪽이라 그런지 그가 항구에 도착한 이른 아침에는 날씨가 영하로는 떨어지지 않았지만 "몹시도 쌀쌀"한 추위에 "오돌오돌 떨었다". 이날 부산 기온은 최저 1.9도, 최고 9.6도. 서울 영등포초등학교 교사로 일하다 그만둔 서른아홉 살 백씨는 남편이자 의사인 고계순 씨, 그리고 슬하 아들 3명과 딸 1명과 함께 탔다. 그를 실은 배는 오키나와와 홍콩, 그리고 싱가포르를.. 2022. 12. 6.
연합뉴스 K컬처아카데미 사진과미술 1기 수강생 모집 https://www.yna.co.kr/2022-site/photo-art K컬처 아카데미 사진과 미술 | 연합뉴스 K컬처 아카데미 사진과 미술 www.yna.co.kr 연합뉴스 K컬처아카데미가 여행자학교 2기 모집을 마감하고는 오늘(12. 6) 김별아 작가 강연을 시작으로 개강을 알리는 한편, 그 자매편으로 마련한 1기 강좌는 다음주 목요일(12. 15) 개강을 앞두고 이 기회에 동참하실 분들을 찾습니다. 걸출한 서양미술 이야기꾼 양정무 선생과 저명 건축가 임형남 선생, 설치미술로 유명한 이이남 작가를 모십니다. 민병찬 전 국립중앙박물관장과 건축학계 권위 천득염 전남대 명예교수, 고구려고분벽화 1인자 전호태 선생, 사진작가 주기중 선생도 묵직한 강연을 준비 중입니다. 나눔과 교유, 그 장을 한 판 마련.. 2022. 12. 6.
야외고고학 제46호 원고 모집 안내 🤩야외고고학 제46호 원고 모집🤩 ✅모집분야 - 협회 및 회원기관의 조사·연구 활동에 관한 연구논문 - 매장문화재 조사 이론과 방법에 관한 연구논문 - 고고학 일반의 연구논문 - 고고학 발전에 기여할 만한 연구동향에 관한 글 - 자료 소개, 번역논문, 비평논문(서평) 등 ✅투고자격 - 협회 회원기관 소속 연구원 ※ 비회원기관 소속 연구원 및 개인연구자도 편집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투고 할 수 있음 ✅접수기간 - 2022년 12월 30일(금) 까지 ✅접수방법 - 협회 이메일(hmh-9260@hanmail.net) ✅연구비 - 게재 결정 시 연구비(50만원 이내) 지급 - 회원기관 소속 투고자에 한함 🔗협회 누리집 해당 게시글 링크 http://www.kaah.kr/index.php?group=d&before.. 2022. 12. 6.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와 여전론閭田論 앞에서 쓴 바와 같이 필자는 《논어집주論語集註》를 읽을 때 《논어고금주》를 같이 놓고 읽는 방식으로 통독한 바 있다. 《논어고금주》에는 《논어집주》의 주자朱子 주註에 없는 내용이 많이 실려 있다. 제목 그대로 고금주古今註, 여러 사람의 주를 다 모아 놓은 것이라 주자집주集註보다는 내용이 풍부하다. 정다산의 논어고금주를 보면 흥미로운 부분이, 소위 말하는 한당漢唐의 주석가들이 달아 놓은 주석에는 자유로이 자신의 생각을 펴고 반박하는데 주자 주에는 거의 이설을 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다산이 주자 주장을 논파하고 새로운 자신의 경학을 펴려고 헀다면 이를 위해 반박의 여지가 있는 주자의 주가 논어에는 수두룩하므로 여기서 주자의 주장에 거의 이설을 달지 않았다는 이야기는 다른 경학이라는 것도 사실 비슷할 것이.. 2022. 12. 6.
다산 정약용이 구상한 여전제閭田制 아래는 국사편찬위 우리역사넷에 올라 있는 여전론閭田論에 대한 기술이다. 원문을 간략히 간추린다. 여전론은 정약용 토지개혁론 가운데 가장 먼저 마련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연적인 지리와 경계를 고려하여 대략 30호 정도로 말단 행정조직인 여閭를 만들고, 여의 경계 안에 있는 토지는 여민이 공동 소유한다. 다음으로 여민은 가부장적 권위를 가진 지도자인 여장閭長의 지휘를 받아 이 토지를 공동 경작하고, 여장은 개개인의 노동량을 장부에 기록하였다가 가을에 수확한 생산물을 한 곳에 모아 놓고 기여한 노동량에 따라 분배한다. 이때 국가에 내는 10분의 1세와 여장의 봉급을 먼저 공제한다. 여전론 특징은 한마디로 모든 토지의 사유화를 인정하지 않고 농사를 짓는 사람에게만 토지의 점유권과.. 2022. 12. 5.
조선후기 실학사에 묻는다 소위 조선후기 실학파 중 중농학파 토지개혁론 중에 실제로 실현될 만한 게 뭐가 있는가? 죄다 유교 경전 정전법에 기초하여 중국의 인민공사 내지는 북한 집단농장 같은 것을 만들자는 주장 뿐인데 이것을 정말 "근대의 징후"라고 생각하는 것인가? 만약 그렇다고 생각한다면, 나는 이런 "중농학파"를 근대의 선구로 보는 사람들의 "근대화"라는 실체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 쉽게 말해서 조선시대 중농학파 주장을 따라간다면 그 최종 종착역은 지금 북한 정권과 같은 사회 아니겠는가? 조선후기 실학파, 특히 중농학파는 "근대의 선구"가 아니다. 이걸 근대의 선구라고 보는 데서 우리나라 조선 후기의 모든 역사 서술은 꼬이기 시작한다. 특히 다산의 토지개혁론은 말이 좋아 개혁이지 인민공사를 만들자는 것인데, 중국 인민공사와 .. 2022. 12. 4.
kkachibap 까치밥, food for magpies? Korean people seldom pick persimmons at the tops of the trees so that birds, such as magpies, can eat them. Such treetop persimmons are often called "kkachibap 까치밥," which means food for magpies. However, in any rural area of Korea, where all young people have left, when the season turns into winter, all the persimmon trees are covered with kkachibap. 2022. 12. 4.
톨스토이 《부활》, 그 첫 문장 번역을 논한다 기자가 쓰는 기사도 그렇지만, 작가 또한 제목과 첫 줄과 마지막 줄에 목숨을 건다. 외국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데도 이 세 가지는 더 유념해야 하는 이유다. 거기에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골자를 압축하는 까닭이다. 두어 번 지적했지만, 아예 작품 제목이 패착을 빚은 대표 케이스로 어네스트 헤밍웨이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냐》가 있으니, 16세기 영문학에서 형이상학 시 돌풍을 주도한 존 던 John Dunne의 설교에서 따온 저 제목 영어 원제는 《For Whom the Bell Tolls》라, 저 옮김이 꼭 오역이라 할 순 없지만 그냥 종이 아니라 이 경우는 조종弔鐘이라 했어야 한다. 그 벨은 사람이 죽어 추념할 때 울리는 종인 까닭이다. to toll이라는 동사가 그런 뜻이다. 저리 옮겨 놓으면 학.. 2022. 12. 4.
민농憫農을 외치던 그 시기: 사대부는 농사기술에 주목했어야 했다 鋤禾日當午 汗滴禾下土 誰知盤中飧 粒粒皆辛苦 김매는 날 한낮이면 땀방울 벼포기 적시네 뉘 알리 그릇 속 밥이 알알이 모두 피땀임을 당시唐詩에서 유명한 이신李紳(772~846)의 민농憫農이다. 농민을 측은히 여긴다는 뜻이다. 필자는 당대 이후 사대부들의 농부들에 대한 측은한 감정, 이들에게 먹고 살 길을 마련해 줘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전혀 반박할 생각이 없다. 하지만 우리의 조선후기 문제는 저런 민농시가 아니다. 정말 해결해야 할 부분 중에 당시 낙후한 우리 농업 기술 문제가 매우 심각했다는 점을 들지 않을 수 없다. 재미있는 것은 송대 사대부들도 그렇고, 영국 농업혁명기의 gentry도 그들이 살던 시대에 농업기술을 개발하고 혁신한 주역들은 바로 당대 지식인이라는 점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조선후.. 2022. 12. 4.
조선시대 농민의 눈물이 만든 보 가끔 이 블로그 김단장께서 쓰신 글을 보면 흡사 조선시대 문사가 재림하여 쓴 거 같은 생생한 내용을 보는데 바로 전 포스팅한 글이 그렇다. 김단장 선친께서 농사 짓는데 고생하신데 관해 보에 대해서 쓰신 바 이것은 조선시대 전공자들이 현재까지 밝혀낸 바와 정확히 일치하는 이야기다. 최근 조선시대사 연구자들이 밝혀낸 바는 필자가 아는 한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는 모내기가 쉽게 되지 않았다. 무엇보다 모내기만 할만하면 봄 가뭄이 꼭 드는지라 모내기 한다고 하다가는 잘못하다가 한 해 농사 다 망칠 가능성이 높았다. 이 때문에 모내기를 하면 노동력이 절약되고 수확이 올라가는 그 장점은 누구나 다 알고 있었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멀쩡히 잘 도입되던 모내기가 우리나라에서는 일종의 도박처럼 취급되었다. 모내기에 성.. 2022. 12. 4.
[유성환의 이집트 이야기] 투탕카멘과 하워드 카터(4) 하워드 카터와 카나본 경 1905년 영국과 프랑스 간 외교분쟁으로 하이집트 유물 총괄 감독관 Chief Inspector of Antiquities, Lower Egypt 직을 사임한 하워드 카터 Howard Carter (1874~1939)는 이집트에 계속 머물면서 관광가이드 화가 골동품 거래상 등으로 생계를 간신히 꾸려나갔습니다. 한편, 비슷한 시기에 심각한 교통사고를 당한 영국의 제5대 카나본 백작 조지 허버트 George Edward Stanhope Molyneux Herbert, Fifth Earl of Carnarvon (1866~1923) 경이 요양차 이집트를 방문했습니다. 부유한 귀족가문 출신으로 막대한 재산은 있었으나 인생의 뚜렷한 목표가 없던 카나본 경은 세계 각지를 여행하고 스포츠를 즐겼으며 열정적으로 예술품.. 2022. 12. 4.
참말로 불쌍한 아버지, 23주기에 부친다 2022년 양력 12월 2일은 음력 11월 9일이라 선친 23주기였다. 갓 제대하고 탱자탱자 중인 아들놈 대동하고는 제사 지내려 고향을 찾았으니 그 고향집 직선 백미터도 안 되는 지점이 경상북도 지정문화재인 섬계서원이고 다시 그 경내는 국가지정 문화재 천연기념물인 김천 섬계서원 은행나무가 있으니 이 은행나무 인근에 어머니가 작은 문중 밭뙤기를 소작하며 배추니 하는 채소밭으로 쓴다. 누님들도 내려오고 내친 김에 다시 그 배추 뽑아 김장해서 누님들한테 보낸다 해서 주말에 좀 부산을 떨었다. 욕심이 났는지, 차를 몰고 오지 아니한 남편을 원망하던 마눌님 다마네기 망태기에 배추 네 포기씩 세 자루를 만들더니 서울로 이송한단 엄명 내린다. 각기 한 자루씩 들고서 기어어 남영동으로 이송했으니 21세기 캐러밴이다. .. 2022. 12. 4.
일본 성리학 도입시기에 대한 논의 일본사를 보다 보면 일본에 성리학 도입시기에 대해 남북조시대를 지목하는 경우를 가끔 본다. 고다이고천황과 구스노키 마사시게의 사상이 성리학의 정통론에 입각하고 있는 바, 남북조시대의 남조정통론이 성리학의 영향 하에 성공했다는 시각이다. 이를 이유로 일본의 성리학 도입시기는 남북조시대라고 보는 시각이 있다. 이에 대해서 한마디로 평하자면,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성리학이 뭔지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다. 정통론은 성리학의 아주 극히 일부분에 불과한 주장이며 남북조시대의 근왕론과 같은것은 굳이 성리학에 그 연원을 댈 필요도 없다. 성리학 성립 이전에 이미 근왕론은 유교에 뿌리박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은 임진왜란 이후, 에도막부가 성립될때까지 성리학이 무엇인지 그 실체에 대해 전혀 종잡지 못하고 있었다고 이.. 2022. 12. 3.
김치가 묵으면 찌게가 되지만 원고는 쓰레기가 된다 15년전 원고를 꺼냈다. 여러 차례 이사와 잦은 컴터 교체에도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 그새 여러 사정이 변했다. 그에 등장한 생존인물 일부는 이미 고인이 되었다. 현재형이 과거형으로 변한 곳은 부지기에 이른다. 고치려니 한도끝도 없다. 더구나 그새 얼마나 많은 신진 연구가 쏟아져 나왔던가? 적당히 타협하는 수밖에 없다. 내 생각도 변한 곳이 많으니 이를 어찌한단 말인가? (2015. 12.3) *** 원고도 원고 나름이겠지만 저에서 말하는 묵힌 원고는 그 이듬해 도서출판 메디치미디어에서 《직설 무령왕릉》이란 이름으로 나온 단행본 원고를 말한다. 이 책은 크게 발굴기와 무령왕릉 자체에 대한 탐구 두 편으로 구성되는데 둘 다 15년이 지나다 보니 문제가 심각해졌다. 먼저 발굴기의 경우 그 상당 부문이 인터뷰.. 2022. 12. 3.
무덤은 죽은 사람이 사는 집이다 나는 왕릉을 필두로 하는 무덤을 이해하는 관건은 이것이 알파요 오메가라 생각한다. 그런 까닭에 이와 관련한 그 어떤 강연회에서도 항용 이 말을 되풀이한다. 우리는 살아 생전에 그가 살던 공간을 '집'이라 하거니와, 그가 죽어서 사는 '집'이 무덤이다. 그리하여 무덤을 이해하는 첩경은 첫째도 둘째도 백만스물한번째도 '집'이다. 그런 까닭에 집이 이사를 하듯 무덤 역시 이사를 하기도 하며, 나아가 그것이 집이기에 그 구조 발상 이를 퉁쳐서 그랜드 디자인이라 하거니와, 그것은 항용 생전의 집과 일란성쌍둥이를 방불하는 이유다. 집은 넒나드는 대문이 있고, 마당이 있고, 앞채가 있고, 안채가 있듯이 무덤 역시 마찬가지다. 없는 집에는 대문이랄 것도 없고, 안채 뒤채 구별될 리가 없듯이 무덤 역시 없는 집은 콩가루.. 2022. 12. 3.
[유성환의 이집트 이야기] 투탕카멘과 하워드 카터(3) 하워드 카터 – 기록화가에서 고고학자로 하워드 카터 Howard Carter 는 1874년 5월 9일 영국 런던 서부 켄싱턴 Kensington 에서 11명의 형제자매 중 막내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 사무엘 존 카터 Samuel John Carter 는 신문 삽화가이자 동물화가였습니다. 카터는 영국 동부 노퍽 Norfolk 주 스와팜 Swaffam 이라는 작은 도시에서 유년시절 대부분을 보냈는데 건강 때문에 정규교육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아버지로부터 화가 재능을 물려받은 카터는 이웃에 살던 제2대 애머스트 남작부인 메리 세실 Mary Rothes Margaret Cecil, Second Baroness Amherst of Hackney (1857~1919) 추천으로 식물학자이자 이집트학자인 퍼시 뉴베리 Percy Edwar.. 2022. 12. 2.
중국: 민물생선회에 대하여 민물생선회는 흡충류 기생충 감염의 중요한 원인이다. 생선회 하면 일본을 떠올리지만 사실 한국과 일본 모두 생선회 전통은 있었다. 그것도 바다생선이 아니라 민물생선회-. 한국의 경우, 일찌기 기호철 선생 등과 함께 우리나라 민물생선회 감염의 기전을 역사문헌에서 밝혀 대한의사협회지에 출판한 바 있었다. 그 논문은 아래 링크에 있다.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7-866.pdf 오늘 당시삼백수에서 왕유의 시를 보다가 중국도 같은 민물생선회 섭취에 관련된 구절을 보아 여기 써 둔다. 洛陽女兒行 王維 洛陽女兒對門居,纔可容顏十五餘 良人玉勒乘驄馬,侍女金盤鱠鯉魚 畫閣朱樓盡相望,紅桃綠柳垂簷向 羅幃送上七香車,寶扇迎歸九華帳 .. 2022. 12. 2.
금사金史 본기 18권 전체를 독파하고서 모든 죽어가는 장면은 비장하다. 한때 천하를 호령하고, 송을 핍박하고는 신하로 만들었고, 서하에 대해서도 역시 그러했다. 고려는 금의 뿌리인 여진을 위무하는 위치였다가 나중에는 전세가 대역전되어 신하로 굴종해야 했다. 몽골 제국이 흥기하여 금을 압박하자, 시종 금에 억눌려 절치부심하던 송은 복수심에 불타 이때라고 해서 금을 남쪽에서 압박했다. 거인이 쓰러지자 사방이 벌떼처럼 일어났다. 서하 역시 칼을 금에 칼을 겨누었다. 하지만 서하와 금이 무너지고, 몽골이 들어오자 그 앞잡이가 되어 주구 역할을 하던 송 역시 이내 멸망하면서 사직이 문을 닫았다. 100년을 지탱한 거인 금이 쓰러질 때 마지막 황제 애종이 남긴 말은 비참하기만 하다. "예로부터 망하지 않은 나라가 없고 죽지 않은 군주가 없다." 고 했다.. 2022. 1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