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07

서희와 강감찬, 그 공통분모 강동6주 두 사람은 막연히 한 세대 정도 차이나는 줄 알았지만, 실제 생몰년을 비교하면 서희徐熙가 942~998년이고 강감찬姜邯贊은 948~1031년이라 불과 여섯 살 차이라, 실상 같은 시대를 호흡했다. 두 사람 사이가 뜨게 보이는 까닭은 저들이 역사에 두각을 드러낸 고려와 거란간 전쟁에서 주역이 된 시기가 달랐기 때문이다. 서희가 그의 이름을 영원히 아로새긴 계기는 익히 알려졌듯이 993년, 요 성종聖宗 통화統和 11년, 고려 성종成宗 12년, 요나라가 소손녕을 총대장으로 하는 고려 정벌군 80만 대군을 일으켰을 때라, 이때 서희는 적진으로 혈혈단신 들어가 소손녕과 담판을 벌려 이른바 강동6주(강동육주)를 획득했다. 같은 문신인 까닭에 둘은 비슷한 관로를 거쳤다. 강감찬은 성종 3년, 983년에 과거 급제해 .. 2023. 12. 23.
훈민정음 정인지 서문을 다시 본다 세종실록에 나오는 훈민정음 정인지 서문에, /象形而字倣古篆, 因聲而音叶七調.(상형이자방고전, 인성이음협칠조)/ 가 나오는데, 국어학 논문들을 보면, 아직 이 구절에 대해 정확한 이해가 부족해 보인다. 물론 기존의 세종실록 번역문은 부정확한 번역이다. 훈민정음 관련 논문을 쓰려면 이 구절 해석이 가장 중요하다. 해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각 어휘의 뜻을 알아야 하고, 이 구절이 어떤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지 그 문장의 구조를 알아야 한다. ‘象形’, ‘古篆’, ‘因聲’, ‘七調’ 등과 ‘倣’, ‘叶’의 뜻을 알아야 하고, ‘而’의 뜻을 알아야 한다. ‘상형象形’은 ‘형상을 기호화했다’는 뜻이다. 이를테면, 이응(o)은 목구멍 모양을 기호화했고 미음(ㅁ)은 입 모양을 기호화한 것이다. ‘고전古篆’은 ‘옛 전서체.. 2023. 12. 23.
우리의 브랜딩: 서울을 보여드립니다 브랜딩이라는 말이 넘쳐난다. 마케팅에서만 쓰는 말인 줄 알았는데, 이제는 퍼스널 브랜딩이라는 말까지 나오니 말이다. 그래도 그 용어에서 느껴지는 뉘앙스 때문인지, 왠지 브랜딩이라는 단어는 상업적인 무언가에 어울릴 것 같은 느낌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박물관과 브랜딩이라는 두 단어는 이질적인 것 같았다. 처음 국립박물관과 그 산하 기관들에서 박물관 브랜딩화를 한다했을 때, 느낀 내 감정이다. 무엇을 브랜딩해야할까 박물관과 브랜딩이 어울리는 것일까. 대체 무엇을 브랜딩한다는 것일까 궁금했다. 국립박물관 중 내가 가장 마음에 드는 곳은 국립진주박물관이다. 진주박물관은 임진왜란 특화 박물관으로 탈바꿈했다. 진주성에 있는 지리적 위치까지 안성맞춤이다. 브랜딩이란 사람들이 특정 브랜드에 갖는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것.. 2023. 12. 23.
[2023 문화재결산] (1) 전시, 조명치로 시작해 조명치로 끝났다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그래 솔까 다른 박물관에서 전시 열심히 준비한 사람들은 김 빠지겠지만, 2023년 문화재계 전시는 오직 이 하나로 수렴해 이 하나로 끝난다. 조기 명태 멸치에 나머지는 전멸했다. 김창일 쇼 한 방에 나머지가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다. 어떤 점에서 혁명인가? 근엄해야 한다는 전시장에 비린내를 도입한 파격 때문이다. 딴 거 없다. 내가 보는 혁명은 딱 이것 하나다. 전시장에도 비린내를 풍겨도 된다는 것, 썩은 냄새 도는 생선을 내놔도 문제가 없다는 사실 이것 하나 확인한 데 있다. 그에 하나를 더한다면 전시가 이제는 공연으로 갔다는 징후다. 연출이며 쇼다. 김창일은 원맨쇼를 해댔다. 어디서 구해왔는지 장기적출단이 입었을 만한 그 비닐 옷 걸치고 갖은 쇼를 다 해댔다. 이제 박물관도 연.. 2023. 12. 23.
광부림廣富林, 상해의 수중박물관 몇 번 발품을 팔아 1년 멀티 중국비자도 받았겠다 ~ 지난 1년간 열공한 중국어도 테스트 할 겸 잠시 샹하이를 다녀왔다. 코로나19 이후 첫 중국여행 ~^^ 샹하이를 뒤짚고 쑤저우로 통시양으로 ~~ 발바닥 땀나게 쓩쓩. 몇 마디 알아듣고 몇 마디 할 줄 아니 중국은 혼자 여행하기 제법 좋은 곳이었다. 아이들은 예뻤고 청년들은 밝았다. 거리는 깨끗했고 기차는 정확했으며 지하철은 쾌적했다. 모든 게 디지털. 서점과 도서관은 우아했으며 유적과 박물관은 말해 무엇. 우리나라에는 아직도 수 십년 전 문짝없는 중국 화장실 이미지에 갇혀 있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이번 초단기 중국여행의 하일라이트. 사진으로 보고 꼭 한번 가보고 싶었던 '물속의 박물관'이 있는 "광푸린" 상해 중심부에서 전철로 1시간 넘게 가는 .. 2023. 12. 23.
성삼문 박팽년과 입제 동기 정종소 과거시험 답안지 원본 공개 근자 경북 안동에 근거지를 둔 한국국학진흥원이라는 데서 흥미로운 발표 하나를 했으니, 이르건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과거시험 답안지를 발견했다 하거니와, 그네들에 의하면 세종 29년, 1447년 실시된 문과 중시 시험에 정종소가 제출한 답안지 시권試卷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나아가 이것이 현재까지 알려진 국내 과거시험 답안지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임을 확인했다는 것이었다. 그네에 의하면 이번에 드러난 시권 원본 2건은 온전한 형태이며, 당시 정종소는 을과 삼등 제1인으로 급제했다. 그의 동기생들이 기라성을 방불하는데 성삼문, 신숙주, 박팽년, 정창손이 그들이다. 물론 과거시험 답안지는 거개 해당 인물 문집이 남았으면 그에 수록되기는 한다. 왜? 자랑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번에 발견한 것은 시험지 원본이.. 2023. 12. 23.
눈과 귀를 닫으라 하지만...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4646 연합뉴스 지원예산 229억 원 삭감 확정… “정부에 깊은 유감” - 미디어오늘문화체육관광부의 내년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 지원예산이 전년보다 228억원 삭감한 50억원으로 확정됐다. 연합뉴스는 내달부터 재정위기 돌파를 위한 비상경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21www.mediatoday.co.kr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4648 연합뉴스 구성원들, 예산 대폭 삭감에 “윤석열 정부 대형사고” - 미디어오늘전국언론노동조합 연합뉴스지부의 연합뉴스 내년도 정부 지원예산이 50억원으로 대폭 삭감된 데 성명을 내고 “윤석열.. 2023. 12. 23.
[로마열전] (2) 느닷없는 로마 시체 관광 이 몇 장면 보고선 아, 저 촌놈이 고흐가 담기도 한 투스카니 사이프러스나무 숲길을 구경가지 않았나 하겠지만 천만에. 시체 공시소라, 화장장도 겸하는 로마공동묘지다. 문제의 공동묘지는 크레마토리오 몬테벨로 Crematorio Montebello 라는 데라, 누군가 이곳을 꼭 가서 사진 좀 찍어오라 신신당부하는 바람에, 도저히 그 간절한 청을 이번에는 거부할 수 없어 할 수 없이 가 줬다. 이번에도 라고 하는 까닭은 그가 내가 해외로 나간다 할 때마다 제발 어느 화장장 가서 사진 좀 찍어주라는 부탁을 번번이 했고, 그런 청을 번번이 들어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랬다. 그는 화장장에 미쳤고, 그래서 그 한국적 화장장 문화 발현을 위해 노년을 몸사르는 중이다. 그런 그의 청을 이번에도 거절할 수 없어 갔다고.. 2023. 12. 23.
국립세계문자박물관 문자와 삽화 특별전 개막식에서 인천 송도에 문을 연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이 개관 이래 두 번째 특별전으로 알브레히트 뒤러 판화를 중심으로 꾸민 문자와 삽화 특별전을 개막했다는 소식을 전했거니와 개막식은 지난 18일이었고, 일반공개는 이튿날 시작했다. 이런저런 인연으로 저 박물관과는 인연을 계속 이어간다. 북유럽의 다빈치 알브레히트 뒤러, 인천을 오다 북유럽의 다빈치 알브레히트 뒤러, 인천을 오다국립세계문자박물관, 기획특별전 북유럽의 다빈치' 알브레히트 뒤러의 판화를 만나다 12월 19일부터 내년 3월 31일까지 전시 알브레히트 뒤러 Albrecht Dürer (1471~1528)는 내 세대에는 매우 익숙한 외historylibrary.net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기획전 전시품(사진)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기획전 전시품(사진)국립세계문자박물관 기.. 2023. 12. 23.
경복궁 비름빡 스프레이 처벌, 그 갈림을 어찌 볼 것인가 여러 번 말했듯이 이 일이 문화재보호법 위반 행위임은 분명하나, 그 죄질은 분명히 나는 다르다. 애초 처음 영화공짜를 칠한 십대는 철부지들이었고, 그래서 그런 짓은 처벌이 곤란하다. 국민적 공분 혹은 관심을 샀다 해서 그런 일을 구속 같은 처벌로 처벌할 수는 없다. 물론 이 경우도 그네들 행위가 알려진 대로, 그네가 경찰조사에서 기술한대로 누군가의 지시를 받고 그 댓가로 돈을 받고 저질른 일이 어느 정도 팩트에서 기반할 때다. 문제는 이 사건이 알려지자마자 나도 한 번 해 볼끼라고 보란 듯이 그 이튿날 낙서를 해대고서는 그것이 예술이라 떠벌린 20대다. 이 친구는 분명 악질이며, 이는 분명 또 문화재 반달리즘이다. 이런 놈은 처벌이 있어야 한다. 판사 역시 결과로만 보면 내 판단과 똑같았다. 이른바 모방.. 2023. 12. 23.
당시: 秋日登吳公臺上寺遠眺 (劉長卿) 古臺搖落後 秋日望鄉心。 野寺人來少 雲峰水隔深。 夕陽依舊壘 寒磬滿空林。 惆悵南朝事 長江獨至今。 유장경의 시로 당시삼백수에 실려 있다. 이외에도 당시삼백수에는 유장경의 시가 11편이 실려 있는데 적지 않은 숫자이다. 雲峰水隔深에서 水隔은 산이 隔水하다 표현으로도 시에 자주 나오는데, 필자는 이를 산 높고 골짜기 깊다는 뜻으로 보통 새긴다. 寒磬이라하면 가을철에 들리는 절의 종소리라 풀이하는 경우를 보는데, 범종이 아니라 처마에 매달아 놓은 풍경이 아닐까 한다. 딱 양수리 수종사 쯤에서 해질녘에 들어보면 어울릴 시일듯. 2023. 12. 23.
백발의 학자 정년후에도 연구를 계속 한다고 한다면, 학계의 권위, 죽을 때까지 연구하는 어쩌고 하는 이런 이야기는 다 필요 없는 이야기다. 그게 얼마나 덧 없는 이야기인가는 곰곰히 생각해 보면 안다. 제대로 돌아가는 학계라면 5년만 지나면 그 이전의 연구 태반은 쓰레기통으로 간다. 장강의 물결이라는 말을 실감해야 하는 곳이 학계다. 5년만 지나면 의미가 없어지는 곳에서 이전 수십 년의 학계의 권위 덧없는 소리다. 최근 한 곳 현재의 연구를 자문할 기회가 있었는데 현장은 빠르게 바뀌고 있어 내가 설친다고 될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고 적당한 시기에 적당한 포지션으로 내가 잘 물러나고 있다는 확신을 하게 되었다. 다만 나이든 학자들이 공부를 더 하고자 한다면 유심히 주변을 들여다 보면, 연구비 지원도 별로 없고 빛도 나.. 2023. 12. 23.
직급이랑 권력의 크기는 눈꼽만큼도 관계없다 전근대 사회를 설명할 적에 이 분야 직업적 학문종사자들도 관위가 높을수록 권력 또한 강하다는 믿음이 있다. 이거 위험 천만한 발상이다. 당나라를 보면 실권을 장악한 자들 관품은 고작해야 정삼품 종삼품에 지나지 않는다. 장손무기? 정삼품이었다. 신라사를 논하는 자들이 대나마를 뭣도 아니게 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들이 실은 장차관이다. 대아찬은 5품이다. 뭣도 아닌 거 같지? 하지만 대아찬으로 권력 쥐락펴락한 인물 천지다. 상대등은 일등이다. 힘 있을 거 같지? 꿔다놓은 보릿자루요 허수아비에 지나지 않는다. 관위에 속지마라. 김유신 아비 김서현은 최고 관위가 삼등 소판이었다. 그가 일등 이등 아니었다고 우습게 보는 자가 천지다. 웃기지 마라. 소판이면 더 올라갈 데도 없는 최고다. 가야계라고 차별받았다.. 2023. 12. 23.
제사의 섹스올로지 동아시아 천지 제사 중에 그 규모가 유례없이 커서 광세曠世의 대전大典이라 불리는 이 봉선封禪이다. 봉선을 태산에서만 지낸다고 알고 있는 이 제법이나 개소리다. 봉은 높은 산 정상 부근에다가 흙을 돋우어 하늘을 제사하고, 선은 그 높은 산 인근 북쪽 야산에다가 움을 파고는 제단을 만들어 땅을 제사한다. 여튼 태산 봉선을 보면 이렇게 지냈다. 천天을 제사할 때 그 제단을 고추처럼 만든다. 왜인가? 하늘은 양이요 양은 고추가 신체 특징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산 꼭대기는 하늘과 가장 가까운 곳이라 그 꼭대기서 발기한 고추 모양으로 제단을 만든다. 지신地神을 제사하는 제단은 땅을 판 다음 그 안쪽에 제단을 만들거니와 그 모양은 여성의 성기 혹은 자궁을 빼다박는다. 그 이유는 그것이 음이기 때문이다. 조선왕조는 제.. 2023. 12. 23.
김유신의 79년 성상은 살얼음이었다 전장에서는 백전백승을 구가한 대장군이요 들어와서는 태대서발한으로 더는 오를 데 없는 재상인 김유신도 마침내 서기 673년 칠월에 쓰러지니 향년 79세였다. 죽음 직전 문병 온 문무왕 김법민에게 유신이 남긴 말이다. "신은 어리석고 못났으니 어찌 국가에 보탬이 되었겠습니까? 다행스럽게도 현명하신 임금께서 의심 없이 등용하고, 변치 않고 임무를 맡겨 주셨기에, 대왕의 밝으심에 의지하여 하찮은 공을 이루게 된 것입니다" 김유신의 고민이 보이는가? 언제건 왕이 나를 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보이는가? 왕이 그를 향해 칼을 빼어들 때 그가 택할 길은 둘 중 하나가 있을 뿐이다. 칼을 받고 충신이 되거나 거꾸로 칼을 들어 반란하여 국가를 전복하는 길이 있을 뿐이었다. 텍스트는 전복적으로 읽어야 한다. 저 말은 전쟁.. 2023. 12. 23.
배신은 본능 배신의 폭발성은 비수匕首가 아니다. 그것이 두려운 까닭은 이성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배신은 그것을 안겨준 이에겐 비수가 되지만, 자신에겐 차마 할 수 없는 영적 영역으로 들어가는 일이다. 배신이 nothing to lose와 결합할 때 폭발력은 배가培加한다. 배신은 본능이다. (2016. 12. 23) 2023. 12. 23.
나를 바꾼 세 가지 1. 문화재 이전 복원에 대한 나의 불 같은 저항 정신은 판교석실분 이전 복원에서 무너졌고 2. 레플리카 전시에 대한 원초적인 나의 거부감은 나주 복암리전시관에서 교정했으며 3. 우리 문화재 전시는 왜 늘 이 모양인가 하는 자괴감은 황남대총 경주박물관 전시에서 나 자신을 교정했다. 이 세 가지가 나를 바꿨다. (2018. 12. 23) 2023. 12. 23.
진단구?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뭐 또 설명해야 해? 똑같은 건데 건물터에서 나오면 진단구 지진구야? 2023. 12. 22.
[대만풍경(2) 대만고궁박물원 북원(北院)①__<無界之涯—從海出發探索十六世紀東西文化交流> from 장남원 박물관을 다시 찾는 일은 여행 중 흔하지만, 타이페이 고궁 북원은 조금 다르다. 올 때마다 다른 전시가 열리고, 상설전도 시즌에 따라 전시품이 바뀌고 있으므로 사람에 비하자면 혈색 좋고 인상 좋은, 그래서 마음이 젊고 재미있는 어른을 만나는 것과 비슷하다. 설레고 울렁거리는 시간이다. 가장 궁금했던 전시는 한국어로는 라는 전시이다. https://theme.npm.edu.tw/exh112/Boundless/index.html 無界之涯——從海出發探索十六世紀東西文化交流 陸止於此,海始於斯」(Onde a terra acaba e o mar começa)。十六世紀葡萄牙人卡蒙斯(Luís Vaz de Camões,?-1580)筆下的兩句話,訴說著陸地的盡頭,卻正是大海的起點。話中語境見證當時歐洲人嚮往 theme.npm.ed.. 2023. 12. 22.
문명사로서의 고조선-낙랑 필자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이렇다. 고조선을 한민족의 첫 국가, 운운하여 민족주의적 사관의 첫 머리에 올리다보니 이 고대문명의 변천과 역사적 의의가 분명하게 드러나질 않는다. 이집트 문명을 보자. 장구한 이집트 문명의 마지막은 헬레니즘 문명이 장식한다. 필자 생각은 이렇다. 낙랑이 한의 군현이었냐 아니냐 이런 건 하나도 중요하지 않다. 대동강일대를 중심으로 성립한 고대문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낙랑은 한국사 안에서 다루어야 하며 그 전사인 고조선과 묶어서 이해해야 한다. 낙랑은 고조선을 무너뜨린 단순한 한의 식민지가 아니라 고조선 변천사의 최종형태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금 낙랑과 대방은 아예 한국사에서 사라졌는데 한국사에서 사라졌다는건 이것이 중국사라는 걸 한국인들이 인정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헬레.. 2023. 12. 22.
논산 명재 윤증 고택 back to 2014 2014. 12. 21이라는데 촬영시점이랑 포스팅 시점이 같은지는 자신이 없다. 2023. 1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