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11

신라 시조묘始祖廟의 재궁齋宮 아로阿老 삼국사기 신라 남해차차웅본기와 同 제사지를 종합하면 이 왕은 신라 창업주이자 아버지인 혁거세가 죽자 그를 제사하는 시조묘始祖廟를 세우되 그것을 주관할 이로 남해南解의 누이동생 아로阿老를 삼았다고 했다. 아로는 시조묘 제주祭主였다. 이것이 바로 중국사에서는 좀처럼 흔적이 보이지 않으나 고대 일본에선 흔해 빠진 재궁齋宮이다. 재궁이란 신궁神宮 혹은 신사神社의 제사를 주관하는 최고 우두머리로 일본을 보면 결혼하지 않은 황녀皇女로 삼았다. 이런 재궁은 나중에 몸을 더럽히거나 하면 그 지위를 박탈당한다. 신라 국가제사는 기록이 얼마되지 않으나 아로가 재궁임을 알면 그 이야기는 사뭇 풍부해진다. 말한다. 일본사는 곧 한국사다. 이 신라 시조묘와 밀접한 것이 신궁이거나 이 신궁은 주周나라 시조 후직后稷의 어미를 제사.. 2023. 12. 28.
공자? 입시학원으로 변질한 성균관 뭐 공자와 맹자, 그리고 주희가 절대의 이데올로기로 등극한 조선시대 지식인 사회는 시종 근엄했다고 생각한다. 그 전당인 성균관은 공자 사당인 대성전까지 있으니, 더욱 그러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십상이다. 공자? 웃기는 소리다. 물론 시대별 넘나듦이 있겠지만, 조선중기를 살다간 심수경(沈守慶․1516~1599)이 《견한잡록(遣閑雜錄)》에 남긴 성균관 관련 다음 한 토막을 보면 공자는 먼나라 딴나라 얘기임을 안다. 성균관은 단순한 입시학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수업 일수 채우기 위한 식당 출석체크가 전부였다. 문과 식년 초시(文科式年初試)는 생원生員과 진사進士가 성균관에서 생활한 지 3백 일이 넘는 자를 50명 뽑으니, 이는 생원과 진사가 성균관에서 지내도록 권유하는 것이다. 양현고養賢庫를 성균관 옆.. 2023. 12. 28.
[거란의 치맛바람] (4) 성종의 황후를 핍박해 죽인 검은 후궁(2) 그렇담 성종聖宗의 정식 부인이 아니면서도 참람하게 후궁에서 일약 황태후로, 그것도 성종의 죽음과 더불어 그렇게 진급한 흠애황후欽哀皇后 소누근蕭耨斤은 누구이며, 어찌하여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요사遼史 권63 열전 제1 후비后妃 전에 그를 일러 “어릴 적 이름이 누근耨斤이며 순흠황후淳欽皇后 동생인 소아고지蕭阿古只의 5세손이다”고 했으니, 예서 순흠황후(879~953)란 거란 태조 태조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 황후를 말한다. 아무리 후궁이라 해도 근본이 없을 수는 없겠지만, 아무래도 그 동생의 5세손이라 한 대목은 한참이나 왕비를 배출하는 소씨 가문에서도 한미한 계통이 아닌가 한다. 요사 다른 데를 보면 그의 아버지는 소요괴蕭陶瑰 혹은 소해리蕭諧里라 하며, 한식漢式으로는 소화蕭和라 했다 한다. 열전에서는 .. 2023. 12. 28.
내키지는 않았지만 언제나 반응은 제일 좋았던 보도자료작성법 강의 나는 강연과 같은 발표가 많은 사람이 아니다. 그럼에도 연식이 고물에 가까워지다 보니 더러 이런 자리에 불려나가곤 한다. 다른 기자들이야 어떤지 모르지만 나한테 할당되는 문제로서 내가 제일로 내키지 않는 것이 언론 관련이다. 심지어 어떤 학회에는 몇 년 전 '언론에서 바라본 무슨 문제' 같은 발표를 할당하기도 했으니, 마음에 내키지 않으니 그거 작성한다고 무지 고생한 기억이 생생하다. 바이더웨이...희한한 현상이 있으니, 그런 내키지 않는 강연 중에 "보도자료작성법"은 의외로 관심이 많다는 점에 내가 놀라곤 했다. 이런 것과 관련되는 내용일지 어떨지는 모르겠다. 국내 학술계 논문 글쓰기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그 개선방안에 대한 발표나 강연을 내가 구상한지는 오래됐으니, 페북 같은 데서 더러 싸지르곤 .. 2023. 12. 28.
문화재 설명에 난무하는 도식적 평면적, 문화재청 홈페이지의 경우 밑도 끝도 없고 도대체가 맥락을 종잡기도 힘들며, 그래서 쓴 놈도 도대체 어떤 맥락인지도 모르는 저 도식적 평면적 이라는 말이 쓰이는 양태를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 검출해 봤더니 도식적 이라는 말의 경우 물경 1천328건이 걸리고 저와 일란성 쌍둥이인 평면적은 781건이 검출된다. 이쯤이면 문화재청은 도식청 평면청이다. 그것이 쓰인 맥락을 두어개 짚어본다. - 불신(佛身)은 평면적으로 조각되었는데, 얼굴에 비하여 어깨폭이 좁고 각지게 표현되어 강직한 느낌을 준다. - 조각 표현은 평면적으로 굳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옷주름도 형식화가 되어가고 있는 통일신라 후기의 불상으로 보인다. - 양 어깨에 걸쳐져 있는 옷의 주름은 도식적이고, 손모양은 두 손을 무릎 위에 나란히 모아 보주(寶珠)를 들고 있는 모.. 2023. 12. 28.
‘天皇천황’에 대한 알레르기를 넘어 나는 줄기차게 자색이 천황의 색깔임을 주장했다. 그리고 전편에 이어 이번 글까지 합쳐 많은 한반도 역대 군주가 지상에 강림한 천상의 천황임을 내세운 증좌들을 제시했다. 그렇다고 해서, 다시 말해 그들이 지상의 천황임을 표방했다 해서 그런 ‘우리’ 역사가 자랑스럽다고 내세우고 싶은 생각은 추호도 없다. 중요한 점은 그들이 천황을 표방했다는 사실 그 자체이며, 그들이 천황을 표방했다 해서 절대 권력의 화신인 천황이었던 것은 더더구나 아니다. 천상의 천황이 지상의 천국을 보증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우리는 천황이라는 말 자체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 일본의 군주를 그렇게 지칭한다는 이유에서다. 나는 왜 일본의 군주를 천황이라 부르지 않고, 굳이 밑도 끝도 없는 ‘日王’이라는 말로 대체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 2023. 12. 28.
천황대제天皇大帝에 밀려난 호천상제昊天上帝 이름 잘 지어야 한다. 천신지대자天神之大者. 그러니깐 천상세계를 지배하는 천신 중에서도 오야붕 대빵이라는 뜻이다. 그런 천신지대자로 저 호천상제가 등장한다. 이 호천상제는 시경에 이미 보인다. 호천昊天이란 무엇인가? 그냥 큰 하늘이란 뜻이다. 이런 이름 좋을 거 같지? 문제는 호천상제는 너무나 밋밋하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눈으로 볼 수 있고 손으로 만질 수 있으며, 말을 걸 수 있는 구상을 요구한다. 전한시대 말기, 신비적 예언술이 천문학과 결합해 탄생한 참위讖緯가 일대 극성을 부리면서 이 호천상제는 현격히 밀려나기 시작한다. 왜? 호천이라는 말이 너무 밋밋하고, 무엇보다 너무 추상적인 까닭이다. 추상은 구상으로 해체되어야 한다. 하늘에서 가장 크신 분, 그 분을 실제로 특정해야 한다. 참위설은 이런 욕.. 2023. 12. 28.
초고속 승진 충주시 홍보맨, 그가 설정하는 30대 좌표 '충주시 홍보맨'의 초고속 승진…7년 만에 9급→6급 송고시간 2023-12-27 14:11 공식 유튜브 채널 '충TV'로 충주시 이미지 제고 성과 '충주시 홍보맨'의 초고속 승진…7년 만에 9급→6급 | 연합뉴스 (충주=연합뉴스) 권정상 기자 = 충북 충주시의 홍보맨 김선태(36) 주무관이 6급으로 고속 승진하며 이목을 끌었다. www.yna.co.kr 이 친구야 워낙 전국적 유명세를 탔으니 새삼 설명이 필요 없을 테고, 나는 이 친구 나이를 눈여겨 보았음 싶다. 내가 지금껏 말한 30대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그 좌표 중 하나가 된다 생각하는 까닭이다. 이르기를 30대는 징징거릴 여유 없다 했다. 한가롭게 셀카질 할 시간 없다 했다. 그딴 거는 20대에 끝내버렸어야 한다고 말이다. 30대는 인생 정점.. 2023. 12. 27.
딸을 과부로 만든 김유신(3) 원술이 희생되지 않은 이유 김유신 장자는 김삼광金三光이다. 그가 군직에 있었으면 당연히 그는 아버지를 따라 백제정벌전에 종군했어야 했지만, 이미 660년 이 전쟁 당시 김유신은 66세 노장이었고, 그 아들 삼광은 몇 살이었는지 확실치는 아니하나, 적어도 40대 중년이었을 것이다. 또 군대 쪽에서 활동한 흔적은 없고, 저 전쟁보다 6년이 지난 문무왕 6년(666)에는 천존의 아들 한림漢林과 더불어 나마로서, 당나라에 들어가 숙위한 상태였다고 하므로, 금수저로 일찍이 관직에 진출해 차곡차곡 공무원 경력을 쌓은 듯하다. 그는 분명 백제 정벌전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앞서 얘기했듯이 했다면 그가 가장 먼저 희생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김유신은 곤혹에 처한 전세를 만회하고자 약발이 센 젊은 친구들만 골랐다. 그래서 부사령관들 자제를 골랐으니.. 2023. 12. 27.
딸을 과부로 만든 김유신 (2) 약발은 셀수록 좋다. 이참에 반드시 백제는 인류 역사에서 종적을 말살하고 말리라고 결심은 굳힌 신라는 5만이라는 대군을 동원해 사비성을 향해 나아갔지만, 황산벌에서 계백에 이끄는 5천 군대에 발목이 잡혔다. 네 번 싸워 네 번을 진 신라군 수뇌부에서는 특단의 대책을 강구할 수밖에 없었으니, 분기탱천을 유발하는 전술을 강구했다. 이에서 66세에 이른 노회한 총사령관 김유신이 택한 방법은 그 분기탱천이 최대한 ‘약발’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아주 괜찮은 놈을 희생시킨다는 것이었다. 아마 이 전쟁에 그의 아들들은 참전하지 못한 듯하다. 나는 이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이때까지 성년에 이른 그의 유일한 아들은 삼광三光이었다. 하지만 삼광은 이 무렵 당군에 가담해 그들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 듯하다. 황산벌 전투에서 위기를 타개하고자 왜 김.. 2023. 12. 27.
雖不足藏之名山, 庶無使墁之醬瓿 필자가 가끔 헌책방을 둘러볼 때 느끼는 것은, 이렇게 좋은 책들이 이미 절판되어 사라져 버렸다는 것에 대한 감회이다. 절판되어 헌책방을 전전하는 책 중에는 한 눈에 봐도 저자의 많은 노력이 들어간 것 같은 책이 무척 많다. 종류도 다양하여 나올 만한 책은 다 나온가 싶을 정도다. 반면에 요즘 신간 서적이 나오는 대형서적 가 보면 글쎄. 솔직히 요즘 나오는 책, 읽을 만한 책이 없다. 읽을 만한 책은 죄다 헌책방으로 가버리고 또 읽는 사람이 없어 절판되었다는 생각이다. 雖不足藏之名山, 庶無使墁之醬瓿이란, 저 유명한 삼국사기 서문에 나오는 김부식의 문장인데, 간장독 덮개로 쓴다는 저 말이 농담이 아니라는 생각이다. 김부식은 읽을 만한 책은 명산에 두어 보존하지만 그렇지 않은 책은 간장독 덮개로나 쓴다 그 소.. 2023. 12. 27.
하도 궁금해 찾아본 도식적 평면적 미술사가들이 남발하는 저 두 말 의미가 궁금해서 표준국어대사전 항목을 검출했다. 도식-적(圖式的) 발음 [도식쩍] 주표제어 도식6 [Ⅰ] 「명사」 「1」 사물의 구조, 관계, 변화 상태 따위를 나타낸 그림이나 양식 같은 것. 수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다. 「2」 사물의 본질이나 구체적인 특성을 밝히기 위한 창조적 태도 없이, 일정한 형식이나 틀에 기계적으로 맞추려는 경향 같은 것. =도식주의적. 도식적인 사고. 아마도 미술사가들이 말하는 도식적이란 2번일 것이요 평면-적(平面的) 발음 [평면적] 주표제어 평면 [Ⅰ] 「명사」 「1」 평면으로 되어 있는 것. 그 빌딩이 입체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내용들을 지상에다 평면적으로 늘어놓는다면, 그것은 아마도 조그마한 규모의 취락 하나는 족히 형성하리라 생각되었다.≪.. 2023. 12. 27.
딸을 과부로 만든 김유신(1) 풍월주 김흠순 삼국사기 권제47 열전 제7이 내세운 인물 중 김영윤金令胤 전기는 실은 김영윤을 중심으로 그의 아버지 김반굴金盤屈, 그의 할아버지 김흠춘金欽春에 이르는 3대에 걸친 가문 전기물이다. 물론 주인공은 김영윤인 까닭에 그의 아버지와 조부는 간략히 생애가 언급된다. 하지만 비록 짧은 분량에 지나지 않으나, 이를 통해 반굴과 흠춘에 대한 생애의 몇 가지 중요한 단락을 우리는 보충한다. 먼저 김영윤을 본격 다루기에 앞서 등장하는 반굴과 흠춘은 행적이 다음과 같다. “김영윤은 사량沙梁 사람으로 급찬 반굴盤屈의 아들이다. 할아버지 각간 흠춘欽春[혹은 흠순欽純이라고도 한다.]은 진평왕眞平王 때 화랑이 되었는데 인덕이 깊고 신의가 두터워 뭇 사람의 마음을 얻었다. 장성하자 문무대왕이 발탁하여 재상으로 삼았는데, 임금을 충.. 2023. 12. 27.
필자의 네 번째 단행본 필자가 지금까지 수행한 연구는 총 5-6 권 정도의 영문-일문 단행본으로 요약될 것 같다. 이 중 3권은 이미 나왔고, 다음 3권은 현재 집필 중이다. 이 3권 중 한권은 일본에서, 다른 한권은 Springer에서, 또 다른 한 권은 한국의 대학출판사에서 영문으로 출간 될 것이다. 아직 나오지 않은 단행본 중 필자가 편집자로 참여한 네 번째 단행본은 "법의인류학과 개인식별"에 대한 것이다. 법의인류학이란 쉽게 말해서 미드 BONES를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개인식별이란 법의학에서 인골이나 미라 등 신원을 확인하는 다양한 기법을 총칭한 것이다. 필자는 의대에 봉직 중이지만, 같은 대학의 법의학연구소 연구원으로 겸임 발령되어 있다. 서울대 법의학연구소는 관련 연구가 불모지나 다름없던 우리나라에서 개인식별 기.. 2023. 12. 27.
공개수사의 위험성, 이선균의 경우 결국 허무하기 짝이 없게 끝난 이번 사태를 두고서 공개수사나 다름 없는 수사기관 소환방식을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그래 설사 이선균이 마약을 했다 하자, 흘러나오는 소리로는 억울함을 주장했다 하며, 본인도 속았다고 하는데, 그렇다고 저렇게 세 번인가를 거푸 불러대면서, 일종의 포토라인을 세우게 하니, 설혹 그가 마약을 했다 해서 저리 모욕을 당해도 싸다는 근거는 하늘에도 없고 땅에도 없다. 조용히 불러다가 조용히 조사하고 그에서 혐의가 있음 그 혐의를 적용해서 검찰에 넘기고, 그리하여 법원의 판단에 맡기면 될 뿐이다. 그는 연기의 정점에서 섰던 배우다. 오래도록 고생하다 뒤늦게서야 빛을 봤다. 내가 볼 때 최고의 인생작은 나의 아저씨였다. 어떤 인간이 실책하지 않고 생평을 보낼 수 있겠는가? 설혹 그런 .. 2023. 12. 27.
앎의 평등, 지식의 보편화, 철학의 민주화 그 옛날..그래봤자 얼추 십년 전까지다..엔 내(이 경우 화자는 김태식이 아닌 무수한 화자다) 주장을 펴려해도 매체가 없었다.독과점 구조 때문이었다.이 독과점을 여러 환경이 바꾸었다.뭐 글차나?소위 지식인 사회는 그들만의 리그였자나?그네들이 우리가 보기엔 아무리 개소리 같아도 그들만의 카르텔이 있어 그 카르텔을 깰 수가 없었자나?학계 대가?그네들이 무슨 대가야?하는 소리 보면 기가 차서 말문 막히는 데가 한두 번이라야 말이지.개소리 천지잖아?근데도 이런 개소리들을 주고받으며 지네끼리 농가쳐묵기하면서 인용이란 이름으로 서로가 서로를 베껴주며 카르텔을 형성했자나? 한데 말이다.이게 이젠 불가능하단 말이지.여기저기서 얻어터지니 말이야.블로그에서 터지고 페북에서 터지고 얻어맞는다 정신이 없자나?난 이걸 앎의 평.. 2023. 12. 27.
묵자가 필요한 시간, 그 짙은 아쉬움 한 가지 어제 기차깐에서 꺼내 읽기 시작해 절반 가량 독파했다. 제목이 원서랑 차이가 있는데 중의성을 유발한다. 묵자가 생소한 사람들은 The time or period that mukja needs 라 생각하겠지만 The time when we need mukja 다. 묵자 개설서로는 훌륭하며 묵자 사상 요체를 잘 정리했다. 나로선 아쉬운 대목은 묵자야말로 동아시아 최초의 교단 창설자라는 것이며 아울러 그 교의와 교단 체계는 고스란히 도교로 계승되었단 것이거나 이 부분이 누락됐단 사실이다. 묵자교단은 놀랍도록 도교와 흡사하다. 그 대표격이 하우에 대한 짙은 숭배다. 고대 전설시대 제왕 중 유독 우임금을 숭배한다. 묵자는 단절된 것이 아니라 오두미도 태평도로 계승되었다. 중국이 끊임없이 자기변신을 꾀한 힘은 묵자.. 2023. 12. 27.
[거란의 치맛바람] (3) 성종의 두 황후, 죽쑤어 개준 소보살가蕭菩薩哥와 그를 죽인 검은 황후 소누근蕭耨斤(1) 요나라 태평성대를 열었다는 제6대 황제 성종聖宗(재위 982~1031)한테는 50년에 달하는 집권 기간 내내 황후는 오직 한 명이었으니, 인덕황후仁德皇后 소씨蕭氏가 그라, 어릴 적 이름은 보살가菩薩哥였다. 시어머니로 바로 앞선 황제 경종景宗의 비 예지황후睿智皇后 동생인 소외인蕭隗因의 딸이다. 시어머니한테는 며느리이기도 하지만, 조카딸이었다. 한데 역사에서는 성종의 황후를 두 명이라 한다. 재위 기간 내내 황후가 쫓겨난 적도 없고, 남편이 죽을 때도 황후였는데, 어찌하여 둘이 되는가? 바로 이에서 피비린내나는 황실 암투를 조우한다. 보통 이런 황실 쟁투는 후사를 두고 발생하는데, 특히 정부인한테서 아들이 없고, 후궁한테서 태어난 아들이 보위를 이었을 때 일어나니, 성종의 경우가 딱 이랬다. 요사遼史 권63.. 2023. 12. 27.
하우夏禹, 묵자墨子, 도교道敎, 그리고 김유신金庾信 오두미도와 태평도가 대표하는 2세기 무렵 초기 도교 교단 특징 중 하나를 보면 강렬한 유토피아를 지향하는 농민 혹은 수공업자 중심 군사조직이라는 점이다. 이들은 유가가 요순을 이상적인 제왕으로 제시한 데 맞서 시종일관 하우를 그에 대항하는 성군의 이상형으로 내세운다. 왜 하우인가? 우임금의 행적 중 단연 압권은 치수다. 그는 범람하는 황하와 쟁투했다. 왕위에 있은 8년을 오직 황하와 대전투를 벌여 마침내 승리했다. 터지는 황하를 막고자 그는 맨발로 튀어나갔다. 집엔 들러지도 않았다. 아니 들를 틈이 없었으니 얼마나 사투를 벌였는지 정갱이엔 터러기가 날 겨를이 없었다. 사서엔 정갱이라 했지만 그는 겨털도 없었고 거시기 털도 없었다. 이 눈물겨운 투쟁을 오직 백성을 위해 벌였다. 이런 그를 묵자 교단이 추앙.. 2023. 12. 27.
[거란의 치맛바람] (2) 북송을 직접 정벌한 경종비 소작蕭綽 요遼나라 제5대 황제 경종景宗 야율명의耶律明扆(재위 969~982) 정비 예지황후睿智皇后는 거란 모든 왕비족이 그렇듯이 소씨蕭氏이며 이름은 작綽, 어릴 때는 연연燕燕이라 일컬었으니, 북부재상北府宰相 소사온蕭思溫의 딸이다. 야율명의가 황제가 되면서 귀비貴妃가 되었다가 황후로 책봉되어 훗날의 황제 성종聖宗을 낳는다. 두 모자, 곧 예지황후와 성종을 우리가 특히 더 기억해야 하는 까닭은 고려거란전쟁을 도발한 직접 당사자들인 까닭이다. 남편 경종이 죽자 아들 야율문수노耶律文殊奴(972~1031)가 즉위하니 이가 훗날 성종聖宗이라 일컫는 거란 제6대 황제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문수노는 982년 즉위 당시 12살 꼬맹이였다. 윤석열 나이로는 두 살 깎여 만 10살에 지나지 않았다. 동아시아 전통 왕조 시대는 .. 2023. 12. 27.
[오늘의 한 마디] 권력과 박수갈채 권력이 부패하는 힘은 그 권력이 아니라 그 권력을 향한 박수갈채다. 이 박수갈채가 권력을 부패케 한다. 2023. 1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