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001

문화재보호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오늘 문화재보호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 통과됐다고 합니다!!!!😭 우리 모두의 염원과 노력덕분입니다!!! 전국학예연구회가 출범한지 4년이 조금 못되었는데, 기다림의 시간 끝에 드디어 작은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애써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제 지자체에 문화유산 전담인력 배치를 위한 시행령이 잘 제정될 수 있도록 더욱 많은 관심과 참여가 필요합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학예연구직 처우 개선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해나갈 수 있도록, 많은 참여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3. 10. 6.
해직에서 비롯한 문화부장이라는 자리 여러 번 얘기했듯이 해직 무렵 문화부 문화재 담당기자라는 자리에서 느닷없이 전국부로 발령나면서 가뜩이나 기자질에 환멸이 일면서, 그리고 복직소송을 진행하면서 다시는 내가 현장 기자로 돌아가지는 않겠다 스스로 다짐했거니와 그런 내가 막상 2년 만에 복직이 되어서는 선택지가 거의 없었다. 전문기자를 나는 허울뿐이라고 계속 말하는데 막상 그 허울을 벗고나면 진짜로 갈 데가 없다. 용처가 하나로 고정되는 까닭이다. 현장 기자는 안 한다 했지, 또 복직한 마당에 정권도 바뀌고 나를 쫓아낸 경영진도 물갈이가 된 마당에 회사로서도 나를 배려할 수밖에 없었으니 그 배려가 거창한 것도 아니어서 너 어디 가고 싶으냐 해서 들어보고 웬간하면 들어주는 일을 말한다. 내가 딱 그랬다. 아니나 다를까 어찌했으면 좋겠냐 물어왔으니.. 2023. 10. 6.
구석기 그 효용을 묻는 광주삼리구석기유적 한국 구석기유적은 일부 동굴 유적을 제외하고는 모든 현장이 이런 난관에 봉착하다. 구상화가 불가능하다. 눈으로는 볼 게 없고 귀로는 들을 게 없으며 손으로는 만질 게 없다. 이곳이 열라 중요한 유적이라는 강박 가득한 안내판 하나랑 족보도 없는 조형물 몇 개, 그리고 잡풀 들판이 전부다. 개중엔 전곡리며 석장리 같은 데 박물관이 있어 구상화를 꾀하지만 그런 데서도 막상 그 현장 어디에도 구석기 체취는 없다. 이곳 광주 삼리 구석기 유적 또한 그에서 한 치 어긋남이 없어 이럴 거 뭐하러 보존하는가를 묻게 된다. 구석기 구상화는 한국문화재학이 봉착한 가장 큰 난관이다. 현지 입간판 설명은 아래와 같다. 광주 삼리 구석기 유적 廣州三里舊石器遺蹟 Paleolithic Site in Sam-ri, Gwangju 경.. 2023. 10. 6.
자혜병원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일제시대에 자혜병원이라는 것이 있다. 원래 기원 자체는 국치 이전 대한제국 말기에 계획은 세워졌다고 하는데 본격적으로 설립된 것은 일제시대였다. 우리가 잘 아는 소록도병원도 자혜병원에 속한다. 원래 이 병원은 총독부 직속이었다가 나중에 도립으로 모두 이관된 것으로 안다. 해방 이후에는 이 자혜병원이 지방의 대학병원이 되거나아니면 의료원으로 바뀌었다. 지방 의료제도 골격을 이루었다 할 것이다. 이 자혜병원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이는 사실 식민지근대화론과 짝을 이루는 한쌍이다. 자혜병원은 조선 의료제도의 발전인가 아닌가. 이를 극도로 부정하다 보면 자혜병원은 식민지 조선인을 갈취하는 기구에 인권탄압이나 하던 곳으로 폄하되게 된다. 과연 그런가. 반대로 이를 극도로 긍정하면 한국의 보건제도의 기원은 자혜병원이.. 2023. 10. 6.
여행길이 폭로하는 조선의 이른바 선물경제 '선물경제'라는 말이 있다. 조선 후기, 17-18세기 경제가 화폐경제가 아니라 사대부들 사이의 선물 증여와 수수로 이루어진 선물경제더라, 이런 이야기인데 실제로 이 당시 조선시대 일기를 읽어보면 돈을 주고 필수품을 조달한 것보다는 집안마다 선물을 주고 받아 충족한 현상이 뚜렷이 보인다. 일종의 물물교환이라 하겠지만 선비들끼리인지 예의를 갖추어 물물교환한다. 그것이 선물경제이지 뭐 딴 것 없을 것 같다. 이 선물경제의 모습이 잘 드러나는 것은 조선시대 여행길이다. 부북일기 같은 당시 여행 모습을 보여주는 희귀한 기록을 보면, 경상도에서 함경도까지 부방하러 가는 군관이 여행길에서 지급한 것은 돈이 아니다. 현물이다. 그리고 여로에는 상업적으로 발달한 숙소가 없다. 때로는 그 동네 사대부의 집에서 묵기도 하.. 2023. 10. 6.
타도 조명치 기치 내건 전곡선사박물관 특별전 고기 전곡선사박물관이 타도 조명치라는 기치를 높이 빼어들고는 고기 라는 깃발을 펄럭이기 시작했다. 인생은 고기서 고기다. 해서 특별전 주제로 를 잡고는 그 수괴 털보 관장 이한용이 프로모션에 나섰다. 그 특별전 포스터다. 전시는 10월20일 개막이라고. #전곡선사박물관 #특별전고기 2023. 10. 6.
장수 삼봉리산성은 어떤 곳? 학술대회 by 이현석 서울에 남산이 있듯이 전북 장수군 장계면에도 남산마을이 있어요~^^ 그 남산마을 뒷산에 산성이 자리하며 이 산성에서 가야토기를 비롯해 도량의 증거인 저울 관련 유물 등이 출토되어 학계의 넘치는 관심이 있던 곳이죠 앞마당에 삼봉리 고분군이 자리하고요 ~^^ 이것을 담아 보려 학술회의를 개최합니다 . 관심있는 분들의 지나친 관심과 참여부탁드려요~^^ 2023. 10. 6.
문화재 언론계 맹주들이 다 사라지고 홀로 남은 지정생존자 내가 사회부에 있다 문화부 문화재 학술 담당 기자로 전근한 1998년 12월 당시 다른 언론사 문화재 분야 기자들을 보면 조선일보 신형준 한국일보 서사봉 경향신문 최정훈 동아일보 이광표 문화일보 최영창 이 형들이 매일 박터지는 특종 싸움을 벌일 때라 나이 여부와는 상관없이 언론계 경력으로 보면 1년 후배인 광표 형을 제외하고는 나보다 1-2년 정도 선배였으니 다 동년배로 보아 대과는 없다. 순서는 확실치 않으나 아마도 최정훈 형이 가장 먼저 언론계를 떠나 한창 뜨기 시작한 포털 다음으로 가지 않았나 싶은데 그 비슷한 시기에 서사봉 형도 아예 언론계를 떠나 출판사를 차렸으니 이 두 형은 극심한 기자생활이 초래한 스트레스로 건강을 아주 망치다시피 해서 떠날 수밖에 없었다고 기억하며 이어 아마도 신형준 형이 .. 2023. 10. 5.
용인 충렬서원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방안 학술대회 용인 충렬서원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방안 학술대회. 2023. 10. 27 14:00 용인문화예술원 국제회의실 주최·주관 용인특례시·단국대 석주선박물관 이런 자리에 어찌하여 마크 피터슨이라는 이른바 대가를 기조강연자로 모시게 되었는지 모르겠다만 암튼 우리가 눈여겨 봐야 할 대목은 온옥역사문화자산연구소 소장님께서 토론자로 등단하신다는 사실이다. 2023. 10. 5.
[탐라국통신] 제주돼지 널리 알려졌듯이 제주는 '도새기', 곧 돼지를 많이 기릅니다. 흑돼지, 똥돼지라고 하는 까만 놈이 유명한데, 코가 좀 길고 몸집이 작달막하지만 탄탄한 게 토종이라는군요. 토종 똥돼지를 먹기는 정말 어려운데 그 맛이..이야 돼지가 이런 맛이 나나 싶습니다. 제주 돼지는 뒷간(제주어로 통시 또는 돗통시. "돗"도 돼지를 가리키는 제주어)에서 기르기 때문에 먹이통이 필요없다고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설마 그것만 먹고 살겠습니까? 적어도 물은 먹어야죠. 다른 먹이도 먹어야하고. 그러니 먹이통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돌도고리' 또는 '돗도고리'라 합니다. 돌로 만든 도고리(제주어로 함지박), 돼지용 도고리란 뜻이죠. 돼지는 성질 뻗쳐서 정말 코로 이리저리 돼지우리를 돼지우리화하는 일이 간혹 있는데, 그때 엎어지.. 2023. 10. 5.
나는 왜 연합뉴스를 떠나는가? 1. 직접 발단 : 연합뉴스의 곤경과 어찌할 수 없는 희망퇴직제 퇴직키로 했다 공개하니, 애꿎은 김충배한테 몇몇 지인이 사정을 캐묻는 모양이나, 그러지 말았음 싶은 마음에 몇 자 긁적거려둔다. 혹 내가 무슨 불미한 일에 휘말려 짤리는 게 아닌가 기대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실망시켜 미안하다만 그와는 전연 거리가 멀다. 퇴직 결정이 느닷없는 치기가 아님은 혹 지난 몇 달간 내 관련 글들을 읽은 분들은 눈치채셨을 줄로 알거니와, 결심이 선지는 오래되었다. 1993년 1월 1일, 연합통신에 입사한 내가 이번 달로 입사 만 30년 10개월이라, 그 어중간에 해직 혹은 해고라는 어처구니 없는 일도 있었지만, 그와 상관없이 기자 생활, 더욱 엄밀히는 연합뉴스라는 제도권 언론의 기자로서는 내가 더는 할 일이 없다는 생.. 2023. 10. 5.
조금은 곱씹어 봐야 하는 2023년 가림성 연못 발굴성과 이른바 사랑나무로 유명한 부여 가림성 발굴소식은 우리 THE HERITAGE TRIBUNE에서도 여러 번 전했거니와, 그러면서 지난 발굴성과를 토대로 분석하면서, 그 성벽을 만드는 기법이 아크 댐 arch dam 이라 해서 현대 댐 공법에 쓰는 그 기법과는 근간에서 같다는 소개를 했으니 아크 댐 arch dam 기법과 흡사한 부여 가림성 성벽 아크 댐 arch dam 기법과 흡사한 부여 가림성 성벽 댐을 만드는 방법 중에 arch dam 이라는 형식이 있다. 번역할 적에는 아치 댐이라고 하는데, 그 모양이 댐둑이 마치 시위를 한껏 당긴 활 모양이라는 뜻에서 비롯한다. 장황한 설명 필요없이 아래 historylibrary.net 그 추가 발굴을 진행한 결과 저에서 한 치 어긋남이 없다. 이번 발굴 최대 성.. 2023. 10. 5.
가을 억새 명소, 용인 할미산성 2년 전 쯤, 할미산성 내 탐방로 정비하면서 정상부근에 억새를 무진장 심었다. 첫 해에는 왜이리 안자라나 싶었는데, 오늘 가보니 억새가 엄청 자라 있었다. 이만하면 맞은 편 석성산을 바라보기에 괜찮은 가을 경관이 되지 않았나 싶다. 인생샷이 별거있나, 자연이 주는 배경이 최고인듯. *** previous article *** 6월의 어느 날, 용인 할미산성에서장마가 올라오기 전, 습하고 더운 6월의 어느 날 오랜만에 할미산성에 올랐다. 용인에서 학예연구사로 살아오면서 처음 만난 유적이 할미산성이었다. 토지매입, 발굴조사, 정비공사, 학술대회, historylibrary.net 2023. 10. 5.
[김태식이 말하는 김태식] (3) 신뢰 딱 하나 보고 달렸다 물론 내 이름으로 나간 모든 기사, 혹은 내가 내보낸 모든 기사가 저에 해당한다 자신할 수는 없으며 개중에선 부끄러운 기사도 분명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이 분야에 어느 정도 사명감이 생기고 나서는 내 이름단 모든 기사, 내가 내보낸 그 어떤 기사도 오직 저 믿음 하나는 확고했으니 적어도 내 기사에 관한 한 나는 사초史草를 쓴다는 자세로 임했다 말하고 싶다. 그래서 내 기사가 어렵다는 말을 들었고 논문 같다는 말도 들었으며 장황하다는 말도 들었다. 하지만 나는 내 기사가 당대를 증언하는 제일급 사초여야 한다는 생각 단 한 번도 저버린 적 없고 백년이 지나고 천년이 흘러도 김태식이 쓴 기사는 믿을 수 있다는 그 일념 하나로 달렸다. 내 기사는 그 어떤 학술논문에서도 참고문헌이 되어야 한다는 믿음이 있었.. 2023. 10. 5.
[전각] 조비어약鸟飞鱼跃 by 홍승직 "새는 (하늘로) 날아오르고 물고기는 (연못에서) 뛴다"다. 《시경诗经·대아大雅·한록旱麓》에서 나온 말이다. 시경에서는 조鸟[새]가 아니라 연鸢[솔개]을 써서, “鸢飞戾天,鱼跃于渊。”이라고 했다. 연鸢이 자주 쓰는 한자가 아니라서, 민간에서는 연鸢 대신 조鸟로 유통되었다. 세상 모든 만물이 저마다 자기의 자리를 잡아서 생명을 마음껏 누리는 것을 노래한 것이라고 해설한다. (새가 물에 있고 물고기가 하늘에 있으면 안되는 것이다.) (요녕석, 9cm * 9cm) 2023. 10. 5.
고약, 조개 껍질의 미시사 역사라는 것을 과연 거시사와 미시사로 구분 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지만, 이 굴껍질도 나름의 "미시사"가 있다. 에도시대에는 이 조개 껍질 안쪽 푹 패인 곳에 고약을 담아 팔았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고약 하면 "이명래 고약"을 떠올리겠지만, 에도시대에는 장거리 여행과 화폐경제가 발달하다 보니 각종 고약을 많이 팔았던 모양이다. 그 중 유명한 것이 여행자들이 많이 사서 들고다녔다는 천리고라는 것인데, 이 고약을 에도시대에는 조개껍질 안쪽에 담아 팔았다고 한다. 東海道中膝栗毛에도 주인공들이 길을 떠나기 전에 조개껍질에 담아 파는 천리고를 챙기는 장면이 나온다. 조개껍질의 미시사라고 불러야 하지 않을까. 한국에서는 고약을 어디다 담아서 팔았을까? 아쉽게도 이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 2023. 10. 5.
경혜인빈상시호죽책敬惠仁嬪上諡號竹冊, 장인이 새긴 왕실의 특별한 이름 Special name of the royal family offered by artisans 조선시대에는 왕비 왕세자 왕세손 등을 책봉하거나 왕 왕비 세자 후궁 등에게 특별한 이름(존호나 시호)을 올릴 때 그 사실이 담긴 기록물, 즉 어책御冊이 제작되었다. 왕 왕비의 경우는 옥玉으로 제작되어 옥책玉冊, 왕세자 후궁의 경우는 대나무로 만들어져 죽책竹冊이라고 했다. 어책은 그 시대 최고의 기량을 가진 남녀 장인들 100명 이상이 최고의 재료를 국가로부터 제공받아 재료의 가공부터 마지막 기물의 완성에 이르기까지 긴밀한 협업을 통해 제작하는 최고 수준의 왕실 공예품이기도 했다. In the Joseon dynasty royal investiture books were published whenever a qu.. 2023. 10. 5.
정년퇴직을 해고합니다, 저는 떠납니다 그 까닭을 저도 모르겠으나 저를 계속 압박한 두어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저는 정년퇴직이 죽어라 싫었습니다. 굳이 이를 자연사라 할지 모르나 제 죽을 날을 미리 점지하고는 그날 죽었다는 선덕여왕이 내가 아닐진대 그 끝을 굳이 제가 기다릴 이유도 없었고 그래서 그 순간이 오기 전에 내가 먼저 정년퇴직을 해고하고 싶었습니다. 둘째 저는 기자로 끝내고 싶지 않았습니다. 자칫 이 말이 그 일을 천직으로 알고 살아가는 다른 기자분들께는 누가 될지 모르나 이 기자라는 굴레도 제가 스스로 해고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저 두 가지를 동시에 해고함으로써 다른 국면에 들어서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떠납니다. 첫째 정년을 앞질러 미리 그 목을 쳤습니다. 둘째 기자를 잘라 그 목을 쳤습니다. 아마 예정대로라면 저 김.. 2023. 10. 5.
보나파르트 고향 코르시카를 향한 프랑스의 구애 공화국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은 2018년 2월 6일(현지시간) 코르시카 Corsica 제1 도시 아자시오 Ajaccio 를 방문하고는 1998년 코르시카 무장 분리주의단체 코르시카민족해방전선 FNLC 조직원 이방 콜론나 Yvan Colonna 에게 암살당한 코르시카 최고위 행정가[이를 영어권에서는 prefeck로 묘사한다.] 클로드 에리냑 Claude Érignac 20주기 추모식을 주재했다. 이 자리서 마크롱은 코르시카가 프랑스 본토에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음을 상기하면서 "프랑스공화국의 확고한 일부"라고 강조했다. 이는 자칫 독립 요구로 이어질 수 있는 목소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이면서, 그런 공개 의사 표명을 프랑스 본토에서는 정치 입지를 더 확고히 다지기 위함임은 말할 나위가 없겠다. .. 2023. 10. 5.
관광명소 스페인 동굴에서 이제야 발견된 2만4천년 전 구석기 그림들 이베리아 남동해안 코바 도네스 유적의 2만 5천 년 전 그림들이 그려진 새로운 동굴유적에 대한 조사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유럽의 고고학자들은 이미 지난 달에 한 바탕 난리를 친 모양입니다. 아래에 자세한 소식이 있습니다. https://bnn.network/politics/unearthed-a-prehistoric-art-gallery-in-spains-cova-dones-cave/?fbclid=IwAR1N7f_iCqF-vQPXAFcGWWeEZHz3zxFBa2-nP5ZI8BW9AgfV_0IgfBbAnGQ *** 이상은 김충배 선생 소개라 문제의 구석기시대 동굴은 이베리아 반도 동단 스페인 발렌시아 말레라스 Millares 라는 데 있는 코바 도네스 동굴 Cova Dones Cave 라는 데라 이 동굴은 .. 2023. 10. 5.
매운맛에는 후진기어가 없다 필자가 처음 미국 갔던 때를 생각해 보면 그 당시 미국에는 매운 음식이 거의 없었다. LA에도 멕시칸 음식이 없을 때라 핫소스 핫도그에 몇 번 뿌리고는 백인 친구들 맵다고 호들갑 떨 때였다. 학회 때 점심 먹으러 가 보면 온 식당에 치즈 범벅이었다. 요즘.. 멕시코와 한식의 이중 폭격으로 매년 갈 때마다 미국 음식에 매운 정도가 올라가는 듯 하다. 라면. 한국 라면 요즘 정상 아니다. 한국인인 나도 매워서 못먹을 정도로 매운맛이 폭주하고 있는데 그걸 또 맛있다고 미국인들이 먹는다. 매운맛에는 후진기어가 없다. 한번 시작하면 끝까지 간다. 매운맛에 중독성이 있기 때문이다. 매운맛은 올렸으면 올렸지 낮출 수가 없다. 한국 음식도 원래 맵지 않은 시대가 있었을 터인데 어느날 고추를 접하고부터 점점 매워지기 시.. 2023.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