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064

염치 불구하고 빈 술동이를 보내니 담아주소서..아버님이 자시고 싶다기에.. 존경하는 페친 박진우 선생님 포스팅을 보다 흥미로운 글을 읽었다. 아버지가 술을 드시고 싶어하는데, 성균관 근처에서 파는 술은 영 맛이 떨어지니 염치없지만 댁에서 담근 술을 한 동이 걸러서 보내달라는 옛 간찰 속 이야기였다. 오죽 아버님이 술을 좋아하셨으면...그리고 아들이 얼마나 효성스러웠으면(어쩌면 아버님이 빨리 술 좀 받아오라고 하셨을지도 모를 일이나) 이런 간찰을 써서 보냈겠는가. 여러 가지로 생각할 거리를 주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왜 성균관 술맛 얘기를 했을까? 그 간찰을 쓴 이만상(1622-1645)이란 분이 뉘신지 알고 보니 이해가 간다. 그의 할아버지는 조선 중기 한문 4대가 중 하나로 꼽히는 월사 이정구(1564-1635)요, 아버지는 대제학을 지낸 백주 이명한(1595-1645)이다. .. 2020. 12. 24.
합성해서 대상 먹은 제주도국제사진전 제주국제사진공모전 대상 작품 합성 판정…수상 취소 송고시간 2020-12-24 13:53 고성식 기자 제주국제사진공모전 대상 작품 합성 판정…수상 취소 | 연합뉴스제주국제사진공모전 대상 작품 합성 판정…수상 취소, 고성식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12-24 13:53)www.yna.co.kr 합성, 이른바 포샵기술이 나날이 진화함에 따라 합성을 가려내는 일도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는 세부 확대해 보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대부분 땜질 부분이 드러나기 마련이다. 문제의 저 사진 '설원에 노루 나들이'를 보니 언뜻 합성 흔적이 쉬 보이지는 않는데, 어떤 방식을 통해 잡아냈는지는 모르겠다. 첫째, 저와 같은 풍경이 실제 제주에 있는지를 점검하는 방법도 있거니와, 如컨대 .. 2020. 12. 24.
선우추鮮于樞 《초서 한유 진학해草書韓愈進學解》 2020. 12. 24.
당唐 고한高閑 《초서천자문草書千字文》 2020. 12. 24.
진흥왕의 사위로 출세가도를 달린 김무력 김유신은 널리 알려져 있듯이 김수로에게 뿌리가 닿는 금관가야 왕실 직계 후손이다. 그 마지막 왕 구형이 신라 법흥왕의 압박을 받아 자발적으로 나라를 받치니 그가 바로 김유신의 증조다. 구형이 경주로 와서 항복할 때 세 아들이 있었다. 그 막내 아들이 김무력. 자발적인 항복이었기에 구형과 그 세 아들은 안위를 보장받았다. 그의 세 아들 중에서도 유난히 막내 무력이 뛰어났다. 새로운 조정을 섬기게 된 무력은 진흥왕 시대에 만개하게 되거니와 553년 관산성 전투에서 백제를 패몰하고 그 왕 명농을 사로잡아 참수하는 전과를 올린다. 김유신 가문은 김무력에게서 신라사회에 확실한 뿌리를 내린다. 한데 김무력은 도대체 어떤 발판이나 백이 있어 이렇게 출세가도를 달리게 되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베일에 쌓여있을 뿐이다... 2020. 12. 24.
자기검열이 글을 변조케 한다 글이 변질되기 시작하는 시점은 남들을 염두에 두기 시작하는 그때다. 일기가 그렇다. 나를 위한 일기가 아니라, 남들을 위한 일기, 곧 출간·공간, 혹은 후세를 염두에 두는 순간, 그 성격은 변질하기 시작해 독자가 나가 아니라 남들이 된다. 그 시점이 가장 위험해 이후 글은 조작이다. 후세 혹은 독자에 구속되는 까닭이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보면, 이는 검열이다. 페이스북에 포스팅하는 글. 그 주제를 기사로 가져간다면, 그때부터 무수한 검열이 일어난다. 무차별적인 자기 검열이 가해지고, 그런 무수한 검열을 통과한 글은 다시 다른 사람의 검열을 거치기 마련이다. 이 과정에서 서술인칭도 변화해서, 나가 그가 된다. 이른바 객관화를 가장한 조작이 일어난다. (2017. 12. 24) 2020. 12. 24.
康熙字典강희자전 www.zdic.net/zd/kx/《康熙字典》總目漢字解釋,釋義,異體字,音韻方言,部首筆劃,康熙字典,說文解字,字源字形www.zdic.net 이 강희자전康熙字典은 내가 항용 이용하는 자전이라, 그것은 무엇보다 설문해자說文解字를 필두로 하는 역대 사전을 모조리 하나로 응축한 까닭이다. 《康熙字典》은 清代 강희황제康熙皇帝 재위 강희康熙 49년(1710) 3월에 황제의 명령으로 진연경陳延敬 등이 明代의 《자휘字彙》와 《정자통正字通》을 남본藍本으로 삼아 편찬하기 시작해 成書는 康熙 55년(1716)에 이룩하니, 걸린 시간이 6년이요 古代 字書의 집대성集大成이다. 저 강희자전은 비단 저 강희자전만이 아니라 그것을 주축으로 삼아 이후에 보강한 것들까지 모조리 제공하니 한자사전의 제1이다. 설문해자는 따로 찾을 필요가 없.. 2020. 12. 24.
전천후 친일파 박영철朴榮喆의 일본 찬양시 *** 이하는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강민경 선생 글이다. 1. 다산多山 박영철朴榮喆(1879~1939)만큼이나 "친일반민족행위자"라는 말이 어울리는 사람도 드물다. 그는 전주의 부잣집 아들로 태어나 대한제국의 관비유학생으로 일본에 갔고, 일본 육사 15기로 러일전쟁에 종군했다. 강제합병 뒤 1912년 일본 육군 소좌로 전역한 박영철은 강원도지사와 함경북도지사, 삼남은행장, 조선상업은행 부은행장과 은행장, 경성방송국 이사, 동양척식주식회사 감사, 조선맥주주식회사 취체역(지금의 이사)을 거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까지 올랐던, 당시로서는 입지전적이라고 할 만한 인물이었다. 이토 히로부미의 양딸 배정자와도 같이 살았고, 3.1운동을 비난했으며 일제로부터 여러 차례 훈장을 받기도 했던 그를 “친일반민족행위자.. 2020. 12. 23.
한복치마 얼마 전 예식장에 갔다가 곱게 한복을 차려 입은 여자 분이 앞에 가는데 치맛자락 방향이 오른쪽으로 가게 입었더라. 나는 그렇게 입은 건 기생품으로 알고 있어서 속으로 웃었다. [신윤복의 《야금모행(夜禁冒行)》의 저 여인이 입은 게 기생품] 그런데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자락치마〉에 이런 구절이 보인다. "조선시대 자락치마를 입는 방법은 신분에 따라서 달랐다. 일반 부녀자는 치마를 오른쪽으로 여며 입었으며, 양반집 부녀자는 왼쪽으로 여며 입었다. 그러나 경상도 지방에서는 반대로 대부분 양반집 부녀자가 치마를 오른쪽으로 여며 입었고, 치마를 왼쪽으로 여며 입으면 ‘상놈’이라고 하였다." 이게 사실이라면 내심 비웃은 것은 잘못이렸다. 2020. 12. 23.
동기창董其昌 《초서천자문草書千字文》 2020. 12. 23.
동파거사 담배 배우시다 소식: 웩! 퉤퉤, 아니, 이 요망한 건 뭐냐? 오상순: 아 선배님도, 이게 담배 아닙니까 담배. 술 한 잔 걸치면 이놈을 뺄 수 없지요. 아 아니 그런가 횡보! 염상섭: 허허 그렇고말고요. 하지만 송나라 때는 아마 담배가 없었지 무애? 양주동: 그렇지요. 중국으로 치면 명나라 때 들어오니까, 그땐 남쪽에서 오는 신령한 풀이라고 했다지요. (라이터를 키며) 선배님이 아직 이 맛을 모르셔서 그렇지 익숙해지면 술만큼 자주 찾을 겝니다. 아니 그런데 노산 이 친구는 왜 안오누? ㅡ 이 때, 헐레벌떡 뛰어오는 딸깍딸깍 발소리. 손에는 자기 문집과 술 큰 거 한 병을 들고 있는 이은상이다. 이은상: 동파 선배님이 계시다구? 어디, 어디 계시는가? 이 시를 보여드려야는데! by 강민경 2020. 12. 23.
주선시불회합도酒仙詩佛會合圖 이규보: "제가 왕년에 주필이당백이라 이름 좀 날렸습니다, 어흠!" 정철: "선배님보다야 못하지만 저도 술과 시라면 빠지지 않지요!" 이백: "호오, 제법이로다." 변영로: "아이고~선배님들, 저를 빼놓고 여기 계시면 어떡합니까 ㅠㅠ" ㅡ 수주 선생은 소주병을 들고 뛰어들어온다. 이상 강민경 선생 글 그림이다. 말이 통하지 않아 필담으로 회의를 진행했단 말이 있다. 어차피 말이 필요했겠는가? 쏼라쏼라 헬레헬레였으니 말이다. 2020. 12. 23.
16년 지나 수상 취소하고 황우석더러 상금 내놔라? '대통령상취소' 황우석, 상금반환 거부…과기부 "민사소송할 것" 송고시간2020-12-23 12:48 정윤주 기자 과기부 "준비되는 대로 소송 제기…소송 청구 금액은 최소 3억원" www.yna.co.kr/view/AKR20201223088100017?section=industry/all&site=hot_news '대통령상취소' 황우석, 상금반환 거부…과기부 "민사소송할 것" | 연합뉴스 '대통령상취소' 황우석, 상금반환 거부…과기부 "민사소송할 것", 정윤주기자, IT.과학뉴스 (송고시간 2020-12-23 12:48) www.yna.co.kr 이 소식에서 도대체 이해가 가지 않는 대목이 있다. "관련 규정 미비로 당시 취소되지 않았던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은 상장 수여 이후 16년만인 지난 10.. 2020. 12. 23.
전통문화연구원 동양고전(특히 중국고전) 번역성과물은 이리로!!! 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menu.do 동양고전종합DB 입문자를 위한 동양고전 중급자를 위한 동양고전 고급자를 위한 동양고전 근사록집해 ≪근사록(近思錄)≫은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북송(北宋)의 주돈이(周惇頤), 정호(程顥), 정이(程頤 db.cyberseodang.or.kr 전통문화연구원이 제공하는 東洋古典 동양고전종합DB다. 연구원이 이룩한 역주 성과들을 원문 제공한다. 아주 요긴한 데다. 한국고전번역원이 한국고전 역주 전문 서비스 기관이라면 전통문화연구원은 그에 대한 중국고전 전문 서비스 기관이다. 중국만 아니라 앞으로는 일본, 베트남 같은 같은 한자문화권 고전들로 영역을 넓혀주었으면 한다. 2020. 12. 23.
"오지 마세요!!!!" 대세는 shutdown 연말연시 한라산·성산일출봉 해돋이 못 본다…방역상 통제 고성식 기자 / 기사승인 : 2020-12-23 11:35:02 제주도 오름 및 바닷가서도 집합 금지 명령…5인 이상 모임 금지 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8814137166 연말연시 한라산·성산일출봉 해돋이 못 본다…방역상 통제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연말연시 특별방역 기간 한라산과 성산일출봉 등 해돋이 명소에 대한 출입이 제한된다. 제주도는 연말연시 해돋이와 해넘이 등을 보려고 다수 방문객이 많이 찾 k-odyssey.com "오지 마세요"…거제 바람의 언덕·외도·매미성 연말연시 폐쇄 이정훈 기자 / 기사승인 : 2020-12-23 11:19:06 k-odyssey.com/news/ne.. 2020. 12. 23.
A Buddha Stand in Gyeongju A rock was used as the base of a Buddha statue. On the part where the Buddha statue was placed, the lotus leaves bowed down were sculptured. The Buddha statue disappeared, and only this pedestal remained on the top of the mountain. It is believed made during the Unfied Silla period (668~935 AD). 경주 남산 삼화령(or 용담계) 연화대좌 慶州南山三花嶺蓮花臺座 2020. 12. 23.
도둑놈은 도둑놈 대마도 불상 도둑놈들은 잡아다가 옥살이시키면서 정작 절취한 물건은 주인한테 돌려주지 않는 건 도대체 어떤 법률인가? 안 돌려줄 거면 절취범들 즉각석방하고 문화훈장 수여해야는거 아님? **** 도둑놈들이 왜국땅인 대마도로 잠입해 그곳 사찰의 성보문화재를 절취 절도함은 추잡의 극치요, 더구나 그리 잠입한 성보문화재를 즉각 반환하지 않고 갖은 이유 대며 밍기적거리는 작태도 추악한 도적질이다. (2013. 12. 23) 2020. 12. 23.
글이 안 되자 붓을 던져버린 최온崔昷 고려 중기를 살았던 최온崔昷(?∼1268)이란 사람이 있었다. 당대 문벌인 철원 최씨 출신으로 그 자신 재상까지 올랐던 사람이었는데, 자기 집안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했던 인물이었다. 좋게 말하면 문벌답게 행동한 것이지만, 나쁘게 말하면 콧대높은 안하무인이었다. 그런 그가 문한관이 되어 임금의 문서를 담당하는 고원誥院에 들었다. 그때 이순목李淳牧, 하천단河千旦이라는 이들이 같이 근무했는데, 그들은 지방의 향리 출신이었다. 그러니 최온의 눈에 찰 리가 있나. 서로 경이원지하던 중... "이웃나라에서 견책譴責하려 보낸 조서詔書에 대한 답서答書를 작성하여 올리라는 명령이 있어, 최온이 붓을 잡았는데, 머리를 긁으며 고심을 해도 뜻대로 글이 되지 않자 붓을 집어 던지고 욕을 하며 말하기를, “이것이 시골구석의 포.. 2020. 1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