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968

쓰레기통에서 구출한 천마총 쓰레기통에 버려지기 직전 극적으로 구출되어 버스를 기다리는 《천마총》. 크고 무구바서 가방에 안 드간다. 노약자석에 앉히려 했더니 천마총은 경로우대정이 없단다. 올게 나이 천사백인데. (2016. 10. 4) *** 저 보고서가 어찌하여 우리 공장 자료실서 폐기처분되려다가 내 눈에 띄어 극적으로 구출되어 살아남았다. 물론 헌책방으로 가서 새 주인을 찾았을 수도 있지만 그래도 나같은 새주인 만났으니 다행이지 않겠는가? 2023. 6. 3.
[전시소식] 소수박물관 "선비, 꿈과 이상을 걸다. 현판懸板" 소수박물관에서는 "선비, 꿈과 이상을 걸다. 懸板" 이란 제목으로 특별기획전을 개막합니다. 현판이 말하는 선비들의 꿈과 이상. 그리고 현판을 제작한 장인들의 숨결도 함께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전시실앞에서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일케 저 박물관 수괴 금창헌이 유혹한다. 2023. 6. 3.
남한산성 장경사에서 토로하는 울분 강한집江漢集 제1권 / 시詩 장경사에서 묵다 을묘년〔宿長慶寺 乙卯〕 남한산성 지세 매우 험준해 등성 이은 백치 높이 성이라 가까스로 산속 절에 올라 밤새도록 피리 소리 듣네 황량한 성벽엔 고요한 자비 구름 싸늘한 초소엔 밝은 지혜 달빛 말 물먹이는 자들을 어찌 막으랴 적 깃발 펄럭임 참을 수 없었네 옛날 숭정 시대에 청해가 구원병 냈네 동쪽 강에선 북소리 진동하고 북쪽 항구엔 배가 늘어섰네 만리 길 군사 오기 어려워 하루아침 맹약이 이루줬네 충신은 분노로 배 찌르고 곧은 선비 다투며 글 찢네 능욕 당한 일도 서러운 마당에 맑아지는 황하 보지 못하네 법당엔 여직 한이 남았는데 성벽엔 새벽 기러기 울며가네 南漢極天險。連岡百雉城。聊登山上寺。終夜聽笳聲。荒堞慈雲靜。寒譙慧月明。何能防飮馬。不忍見懸旌。昔在崇禎世。靑海出.. 2023. 6. 3.
해방이후 국립대와 사립대 필자의 글을 쭉 보신 분들은 이해하겠지만, 해방이후 우리나라는 그때까지 존재한 모든 관립 공립학교를 싹싹 긁어모아 서울대라는 미국식 종합대학을 하나 간신히 만들어 놓고 실신했다는 표현이 옳다. 물론 그렇게 만들어 놓은 서울대도 실상을 들여다 보면 대학연구실에서 박사까지 마친 교수들이 거의 없어 (경성대 법문학부 전체교수에서 박사학위 소지자가 2명인가 그랬고 나머지는 전부 학사소지자였다. 당시에는 정식대학 졸업한 학사학위 소지자도 조선에는 거의 없어 학사학위 소지자 교수로 채우는 것도 쉽지 않았다 할 수 있다.) 대학자체가 이름만 번듯하지 완전 부실 대학이었다 하겠다. 해방이후 이승만 정권 10년간 우리나라 교육제도는 고등교육기관 증설, 고등교육자 숫자 배가에 강력한 드라이브가 걸렸는데 사실상 1960년대.. 2023. 6. 3.
일제시대의 지식인 [9]: 석주명 나비박사로 유명한 석주명 선생의 프로필은 위키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어릴 때부터 토끼, 비둘기와 같은 동물을 좋아해 집에서 길렀으며, 1921년 장로교 선교사 베어드가 세운 숭실고등보통학교에 진학했다. 하지만 동맹휴학에 가담하여 개성의 송도고등보통학교로 학교를 옮겼으며, 다시 경상북도 대구 고등농림학교로 전학하였고 1927년에 졸업했다. 송도고보 학생 시절에 석주명은 집에서 떠나서 공부했는데, 한때 음악에 정신이 팔려 공부를 게을리 하기도 했다. 집에서 많은 생활비를 보내 주는 데다가, 공부를 감독할 부모가 옆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낙제 과목이 나올 정도로 성적이 나쁘게 나오자, 그제서야 정신을 차리고 방학 동안 공부에 힘썼다. 일본 최고의 농업 전문 학교의 하나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鹿兒島高等.. 2023. 6. 3.
얻어터져야 하는 역사 501년인가 작성 문서로 간주되는 포항 중성리비. 503년 문서로 인정하는 영일 냉수리비 524년 문서인가 하는 울진봉평비.. 이들 문서에 드러난 신라는 고도의 법률국가다 지나치게 문서행정 법률행정이 세분화했다. 이 그림을 보지 못한 채 당시 신라가 부체제였네 중앙집권권력이 성립하지 않았네 하는 헛소리가 횡행한다. 이런 헛소리 남발하는 자들이 언필칭 그 분야 대가인양 활보하는 무대가 신라 상중고기다. 그들에게 필요한건 몽둥이 찜질이다. 조정 대신 서너놈이 화백이라는 이름으로 한여름 원두막에서 가운데다가 왕은 시동처럼 앉혀놓히고는 모여서는 수박 짤라 먹고 아이스커피 한 잔 때리며 이 놈 죽일까 저 놈 죽일까 하고는 국정을 운영했다는 설레발이 난무하는 무대가 신라사다. 전라도천년사? 있지도 아니한 마한이라는.. 2023. 6. 3.
도쿄 경매에 나왔다가 나치 도난품으로 드러난 바로크 시대 투르치 그림 조금은 얼이 빠진 듯한 외모인 이 분이 알렉산드로 투르치 Alessandro Turchi 라는 분이라는데, 생몰년 보니 1578~1649년이라, 르네상스 시대라기에는 좀 늦어 아니나 다를까 그를 소개하기를 베로나 태생 초기 바로크시대 이탈리아 화가라고 한다. 후기에는 로마로 무대를 옮겼으니, 알렉산드로 베로네제 Alessandro Veronese 혹은 로베르토 L'Orbetto 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댄다. 이 시대 유럽 화풍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아니해서 위키 영문판 그의 표제 아래 소개한 작품 몇 개를 보면 아래와 같아서 딱 봐도 종교 색채 무척이나 짙다. 한데 이 양반 작품 하나가 어찌된 셈인지 일본으로 건너가 경매에 출품됐다가 그 유출 과정이 불법으로 드러났다 해서 본래 소장처인 폴란드로 돌아가게 됐다.. 2023. 6. 2.
완역 앞둔 배송지 주 삼국지 추진 내력은 알 수 없지만 도서출판 글항아리가 저 배송지가 주석한 삼국지를 김영문 선생한테 의뢰한 완역본을 준비 중이며 아마도 올해 안에는 그 완성물을 볼 듯 하다. 보통 이런 번역이 여러 역자로써 챕터별 분담을 하지만 이건 통째로 김옹이 맡아한 모양이다. 그 완성은 중국 고전 역주의 금자탑으로 기록될 것이기에 역자 김옹의 관련 글을 전재한다. **** [삼국지.배송지주] 완역 주요 참고 도서 * 드디어 [삼국지.배송지주] 완역 원고를 출판사에 넘겼다. 본문만 모두 7권으로 각 권 700~800쪽 정도로 예상한다. 부록이 한 권 들어갈 예정이니 전체 분량은 총 8권이 될 듯하다. * 마지막 8권은 부록인데 [삼국지.배송지주]를 이해하기 위한 각종 자료가 수록된다. 지도, 계보도, [배송지주]에 인용된 다.. 2023. 6. 2.
연구실 소식 인도와 우리의 공동연구 과정을 담은 글이 인도현지 출판 단행본에 실렸습니다. 우리로 치면 정년 기념 논총입니다. 다음은 예전 러시아와 공동작업으로 얻은 결과를 출판한 것입니다. 시베리아 미라 관련의 두번째 논문입니다. 다음은 서울시내에서 조사된 일제시대 화장실 유구의 기생충검사 결과를 출판한 논문입니다. 일제시대 화장실 유구조사로는 첫번째 고고기생충 논문입니다. 다음은 현재 홍승직 교수님 등과 공동작업 중인 조선시대 무원록 관련 연구사를 정리한 영어 논문입니다. 2023. 6. 2.
일제시대의 지식인 [8]: 이병도 이병도 선생은 일전에 한 번 살펴 본 바 있으나 여기서 한 번 더 자세히 적어본다. 선생 프로필은 다음과 같다. 어려서 한학을 수학하고 서울로 올라와 중동학교(中東學校)를 졸업했다. 1912년 보성전문학교 법률학과에 입학해 3년 과정을 마쳤으며, 이어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에 진학, 고등예과(高等豫科)를 거쳐 1919년 문학부 사학급사회학과(史學及社會學科)를 졸업했다. 요약하면: 한성보광보통학교-중동학교-보전 법률학과 (1915)-와세다대 고등예과-동 문학부 사학 및 사회학과 졸 (1919)이다. 중동학교는 고보 (중학) 졸업이니 보전 입학으로 이어졌을 것이고, 이어 와세다대 고등예과를 들어갔다고 한다. 선생은 보전 입학으로 고등학교 졸업과 같은 학력을 얻었기 때문에, 예과를 들어갈 필요는 없었는데.. 2023. 6. 2.
3천미터 같은 393미터 호암산행 한강 이남 서울 지도를 펼쳐보면 그 북쪽 중앙 지점을 정좌하는 북한산 견주어 남한산은 덩치나 높이, 또 무엇보다 위치로 로 볼 적에 실은 관악산이어야 하지만, 어찌하여 남쪽도 아닌 동산東山이라 불러야 할 그 남한산에 빼앗겼는지 귀신이 곡할 노릇이어니와, 이 관악산 줄기가 서쪽으로 흘러내린 끄터머리에 툭 튀어나왔다가 산으로의 기운을 소멸하는 지점이 호암산虎巖山이라, 해발이라 해 봐야 겨우 393미터에 지나지 않거니와, 해발 천미터 넘는 산이 사방으로 즐비한 소백산 기슭 출신인 나 같은 사람한테야 안마당에 지나지 않겠지만 문제는 그리 온산을 주름잡던 시절은 내가 어렸지만 팔팔해서 산을 날아다녔지만, 지금은 심신이 다 찌그러진 서울 사람이 되어 있다는 데 있을 테니, 저 산이 왜 호랑이[虎]는 차치하고 암산巖.. 2023. 6. 2.
대학로 오실 때면 들리시길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77년사 - 해부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기간 2023. 6. 16 ~ 11. 18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 특별전시실 77년 교실사라는 것은 해방된지 77년 되었다는 뜻입니다. 45년 당시 서울의대에서 해방 이전 이 대학 교수였던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는데 그 후 어떻게 변해갔는지 생각해 볼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대학로 나들이 때 들리세요. 2023. 6. 1.
껴묻거리만 넣은 6세기 신라 무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아래와 같은 발굴 성과를 공개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동국대와 공동 발굴한 현장설명회 개최 - 쪽샘지구에서 최초 확인된 6세기 돌방무덤·단독 부장곽 공개 / 6.2.(금) 오후 3시-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황인호)는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총장 이영경) 고고미술사학과와 오는 2일 오후 3시 경주 쪽샘유적 발굴조사 현장에서 공동 발굴조사 성과와 출토유물을 공개한다. * 발굴조사 현장 : 경북 경주시 황남동 18-1 쪽샘지구 유적 조사 현장 두 기관은 지난 2020년 경주 구황동 지석묘를 시작으로 2021년부터는 신라 왕족과 귀족의 무덤군인 경주 쪽샘지구 유적에서 매년 공동으로 발굴조사를 해오고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조사를 위한 기술‧행정‧예산을.. 2023. 6. 1.
한 다리 걸친 강화도-나를 채우는 섬 인문학(불광출판사) 강화도-나를 채우는 섬 인문학(불광출판사) 2023년 5월 30일 공저 어떤 경로를 통해서인지 알 수는 없으나 저 책 원고 중 한 챕터 집필 의뢰를 받고는 잠시 고민을 했으니 나한테 할당한 주제가 강화와 이규보인 까닭이다. 이건 마뜩한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로대 혹 블로그 게재하는 이규보 관련 글들 때문이 아닌가 해서 그 주집필자를 추천하려는 생각을 해 보기도 했지만 우야둥둥 이리 되고 말았다. 아마 출판사에서 기획서도 집필자들한테 돌리지 않았나 하는데 어차피 그래봐야 그 대목이 눈에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 내가 맡은 부분만 되도록 제시간에 원고 분량 대강 맞추어 제출하면 그만이다. 챕터별 원고가 많지도 않아서 그 한 챕터는 나같은 나이에도 앉은 자리서 훑어내려가는데 부담이 없다. 책이 나왔다는 전갈은 일.. 2023. 6. 1.
소일에서 부여잡은 쥐꼬리 소명 육체적 고난에서 해방한 요즘은 되도록이면 점심이나 저녁 약속을 정하지 않으려 하며, 날이 갈수록 실제로도 그리되어 가는 심플한 생활로 들어가는 징후 완연하다. 문제는 그에서 오는 허함이라, 무엇인가 그 자리를 채워야 한다는 강박이 아직도 있는 걸 보면, 놓으려면 멀었다 싶기는 하다. 그제부터 시도한 점심시간 보내기가 공장 인근 박물관이나 미술관 같은 부속 자료실에 가서 이런저런 책이나 뒤지며(뒤진다 하는 까닭은 시력과 인내 때문이라, 그것이 바닥난 지금은 정독은 실상 불가능하다) 소일하는 일이라 어제 들른 서울공예박물관 자료실을 어슬렁거리다 보니, 같은 서울시 산하기관인 서울역사편찬원에서 근자에 전 3권으로 역주한 조선 숙종 연간 사대부 관료 엄경수嚴慶遂(1672~1718)가 승문원에 들어간 1706년을.. 2023. 6. 1.
탁본에 왕림한 서산마애삼존불, 미소는 어디에? 이 탁본을 이번 성균관의 보물 전에 내걸면서 박물관이 붙인 설명이 아래와 같다. 서산 마애삼존불상 탁본 국가지정문화재(국보) 286x22lcm, 백제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은 우리나라에서 탁본이 가장 많은 기관 중의 하나이다. 이는 한국 금석학의 대가이자 본교 박물관장을 역임하였던 우영 조동원 선생이 2010년 탁본 400여 점을 기증했기 때문이다. 성균관대 소장 탁본은 문화재의 보존을 위하여 탁본이 자유롭지 않은 지금에는 구할 수 없는 회귀본이 많이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귀중하다. 좌측 탁본의 대상이 되는 서산 마애삼존불상은 국보 제84호이며 충남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의 충암절벽에 새겨져 있다. 가운데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였다. 본 마애불은 빛이 비치는 .. 2023. 6. 1.
일제시대의 지식인: [6] 채병덕 [7] 이종찬 채병덕, 이종찬 장군은 조선에서 고보 (혹은 중학)를 졸업하고 일본육사를 진학한 사람들로, 만군을 거쳐 육사로 온 박정희 이한림 등과는 다른 경로를 걸었다. 일반적으로 일본육사로 바로 입학한 사람들은 만군 출신들보다는 교육경력이 훨씬 심플하고 수준도 높았다. 아마 가정 환경도 그랬을 것이다. 채병덕은 평양종로보통학교-평양중학(평양고보?)-일본육사예과-일본육사본과 이종찬은 경성사범부속보통학교-경성중학-일본육사예과-일본육사본과 이다. 이런 경력은 일제시대 당시 조선인이 가질 수 있는 최고 수준의 교육경력이라 할 수 있다. 채병덕은 평양중학인지 평양고보인지 정확하지가 않은데 어느 쪽이라도 쉽지 않은 경력이고, 이종찬이 다닌 경성중학은 재조선 일본인을 위해 만든 학교였다. 조선인은 거의 들어가지 못하는 학교였는.. 2023. 6. 1.
파라오 람세스2세가 자기 신민臣民을 갈굴 때 by 유성환 기원전 1274년 5월 12일 발발한 카데쉬 전투(Battle of Kadesh)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는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많은 분께서 주지하시는 것처럼, 이 전투는 서아시아 최강국 이집트와 히타이트가 카데쉬라는 도시를 두고 격돌한 인류 역사 상 최초의 대규모 전면전이었습니다. 또한 당시 이집트 군을 지휘한 람세스2세(Ramesses II: 기원전 1279-1213년)가 히타이트 총사령관 무와탈리 2세(Muwatalli II: 기원전 1295-1272년)의 기만전술에 넘어가 주력부대로부터 고립되면서 상당히 고군분투했다는 것 역시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런데 자신의 전략적 오판 때문에 적병들에게 살해당할 – 혹은 그보다 더 일이 꼬여 포로로 사로잡힐 – 뻔한 상황을 가까스로 모면한.. 2023. 6. 1.
일란성쌍둥이 왕궁과 왕릉 왕릉은 왕궁이다. 왕궁을 왕릉에 투사하면 둘은 오버랩한다. 둘은 서로에 대한 피사체다. 이 평범하면서도 무척이나 중요한 키워드 하나가 너무도 쉽사리 무시되곤 했다. 그랜드디자인에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2014. 5. 31) 왜 투사하는가? 같은 집이기 때문이다. 무덤은 죽은 사람이 사는 집이다. 이 집이라는 특성이 너무 쉽게 망각되곤 한다. 고고학은 무덤을 파면서도 집을 판다는 생각을 못한다. 내가 보는 거의 모든 고고학도가 그렇다. 이 집을 이해해야 무덤을 더 깊이 파고든다. 물으면 그걸 누가 모르냐 하는 헛소리를 자주 듣는데 그 무덤을 생전의 집과 연결해 이해하려는 시도를 나는 본 적이 없다. 죽은 사람이 사는 집이라는 무덤 정의만 해도 입이 아프게 떠들었더니 이제 겨우 보이기 시작한다. 그 많은.. 2023. 5. 31.
공주 석장리서 중기구석기시대 뗀석기 70점 구석기시대 유적으로는 남한 최초로 확인한 석장리 유적을 낀 충남 공주시가 그 일원 3만 2,095㎡에다가 오는 2026년까지 168억원을 투입해 세계구석기공원을 만들기로 했으니, 구체로는 구석기교육원, 세계구석기체험공원, 구석기전망대 등과 같은 시설을 넣는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위선 그 지역에 대한 발굴조사가 있어야 할 터. 그래서 어느 발굴조사단에다가 이걸 맡길까 하다가 입찰인지 제안서 형태인지 모르겠지만 암튼 겨레문화재연구원이라는 데를 조사기관으로 고르고는 거기다가 너희가 알아서 파 봐라 한 모양이라 단, 저 넓은 지역을 다 파제낄 수는 없으니 2020년 11월 시굴조사에서 문화층이 드러난 석장리동 124-1번지 일원 1,420㎡만을 대상으로 정밀 조사를 벌이게끔 했다. 그 결과 뗀석기를 비롯.. 2023. 5. 31.
일제시대의 지식인 [5] 백선엽 장군 본관 수원인 백선엽白善燁 (1920. 11. 23 ~ 2020. 7. 10) 장군은 위키에는 프로필이 이렇게 되어 있다. 평안남도 강서 약송소학교- 평양사범 (5년제) - 만주봉천군관학교 (2년제) - (해방후) 군사영어학교 1기 백 장군은 박정희 (1917~1979) 전 대통령과 프로필이 아주 비슷하고 두 사람은 집안 살림이 넉넉치 못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시기에 집이 찢어지게 가난하여 공부를 제대로 못할 상황인 사람이 공부를 공짜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사범학교 진학이 거의 유일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사범학교 진학을 하게 되면 학비무료는 물론 매월 생활 보조금도 지급되었다는 증언이 있으므로 집안이 넉넉치 못한 사람들에게는 유일한 교육기회였다고도 할 수 있다. 조선의 사범학교는 소학교를 졸업.. 2023. 5.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