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610

5만7천년 전 네안데르탈인이 남겼다는 동굴 추상미술 소식을 좀 자세히 살피기 전에 이걸 던진 프랑스 고고학도들이 그네들 연구성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Abstract Here we report on Neanderthal engravings on a cave wall at La Roche-Cotard (LRC) in central France, made more than 57±3 thousand years ago. Following human occupation, the cave was completely sealed by cold-period sediments, which prevented access until its discovery in the 19th century and first excavation in the early 20th centu.. 2023. 6. 22.
일본에 대한 한국의 문화 전수는 "양심적 일본학자"가 밝혀야 하는가 야요이 시대 이래 한국문화의 일본 전파는 다양한 부분에 있어 장기간 동안 여러 차례 진행되어 그 나라의 역사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이 점은 다들 아는 사실이라 부연할 필요 없다. 다만 여기에 대해서 몇 가지만 이야기하고자 한다. 첫째, 일본 역사에서 야요이시대 이래 지금까지 일본 문화는 한국문화의 영향만으로 성장하고 전개된 것이 아니다. 그럴 것이라 생각하고 쓰는 많은 이야기가 근거가 없는 이야기라 오히려 고대 시기 한국문화의 영향력에 대한 평가만 낮아지게 하는 부분이 있다. 필자가 보는 한 일본이 견당사를 보낸 시기를 기점으로 한국문화의 일본에 대한 직접 영향력은 이전과 많이 달라진다. 중국 문명도 한국과 일본이 비슷한 시기에 받아들이기도 하고, 이전 처럼 대륙문화를 탐욕스럽게 받아들이는 일변도.. 2023. 6. 22.
미륵사 뒷산 미륵산성 평탄대지에서 출현한 연못(자문위 자료 첨부) 문화재청 백제왕도핵심유적보존관리사업추진단이 익산시와 함께 전북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산124-1번지 일대에 소재하는 삼국시대 초축 산성인 미륵산성이라는 데를 판 모양이라, 그 성과 중 일부가 공개되었다. 조사 목적으로 “이번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유적의 진정성 있는 정비와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미륵산성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을 표방한다. 이번 조사를 (재)전북문화재연구원(이사장 최완규)이 맡긴 모양이라, 저 주소 일대 1천803㎡를 지난 3월 7일 이래 오는 8월 1일까지를 기한으로 팠더니만, 토루土壘와 수 차례 고쳐 만든 석축 물 저장 시설을 확인했다고 한다. 토루? 별거 없다. 흙으로 쌓은 둔덕이다. 성벽 같은 것을 말한다. 흙담장이다. 이번 조사 이름이 ‘익산 미륵산성(.. 2023. 6. 22.
알알한 쪽동백 지금은 쪽동백이 고염 같이 탱글탱글해 지는 시기 알알이 팅팅불어 터지기 직전 뽀두락지 같이 변신한다. 2023. 6. 22.
울산 하삼정 고분군, 놓친 수중박물관의 기억 울산 하삼정 고분군 고분 분포 모형이다. 울산 대곡댐 건설과정에서 기적으로 발견됐다. 이 무덤은 동네 아래 깔려 있었다. 무슨 말인가? 동네가 무덤을 짓누르고 조성돼 있었다는 뜻이다. 이것이 지표조사 과정에서 발견되는 과정도 웃긴데...마을 정지나무인가? 그 밑둥치에 깔린 돌무지가 이상해서 보니 무덤이었다. 조사 결과 이곳에서는 3-7세기 무렵 무덤 1천100기가 다닥다닥, 무인도에 표착한 여자 1명에게 달라붙는 남자 100명과도 같은 모양새로 발견됐다. 일전에 말했듯이 나는 이 유적을 현장보존치 못한 일이 늘 맘에 걸린다. 어떤 방식으로 해야 했는가? 수중박물관 맹글었어야 한다고 본다. 지금 저들 무덤은 조사를 끝내고 대부분 수장된 상태이며, 일부는 대곡댐 건설과정에서 저 보존문제에 봉착한 한국수자원 .. 2023. 6. 22.
고고학의 역설, 황룡사는 고려 고종이 세웠다 첫째 해석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진짜로 진흥왕 시대는 흔적이 없을 수도 있다. 어디 이야기인가? 경주 황룡사 이야기다. 우야둥둥 이 황룡사가 몽골 침략 때 전소되어 버리고 그 터만 앙상히 남았다가 물경 800년이 흘러 박정희시대 말기가 되어 발굴조사를 통해 그 절터가 어느 정도 모습을 드러내기에 이르렀으니, 그 황룡사가 실제로 사찰로 기능하던 시절을 황룡사라 한다면, 그것이 전소되어 현재에 이르는 시대는 황룡사지黃龍寺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황룡사지는 70년대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 일환에 따라 발굴조사가 착수된 이래 오늘 현재에 이르기까지 무수한 발굴조사가 있었으니, 그리하여 목탑이 있던 자리와 금당이 있던 자리, 그리고 강당이 있던 자리 등등이 대강은 면모를 드러냈다. 이 황룡사는 애초 진.. 2023. 6. 22.
아이러니 혹은 촌극 공부 안하고 논문 안쓰는 사람일수록, 돈이 많을수록, 남들 앞에 안 나설수록, 암짝에도 암짝 일도 하지 않을수록 깨끗한 사람이 되는 촌극이 빚어진다. 실제로 이른바 구미선진국이 이미 이 짝이 났다. 한 자리하는 놈은 전부 부자고 전부 기여입학한 놈이다. (2014. 6. 20) *** 복지부동할수록 평가점수는 높을수밖에 없다. 열심히 하는 사람일수록 사고를 많이 치는 법이다. 가진 것 없는 사람일수록 악착같을 수밖에 없으니 어디에 이르는 과정에 오직 무리가 많겠는가? 2023. 6. 21.
난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그 답을 찾아서 (2) 안동권씨 시조 권행과 그 후손 1. 세가와 지리지를 우선 살펴보자. 여기서 930년(고려 태조 13), 왕건과 견훤이 자웅을 겨뤘던 고창古昌 전투의 바로 다음 대목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경인 고창군古昌郡 성주城主 김선평金宣平을 대광大匡으로 삼고, 권행權行과 장길張吉을 대상大相으로 삼았다. - 권1, 세가 1, 태조 13년 1월 태조 13년(930)에 후백제왕後百濟王 견훤甄萱과 이 고을에서 전투를 벌여 패배시켰다. 고을 사람 김선평·권행權幸·장길이 태조를 도와 전공을 세웠으므로, 김선평을 대광으로, 권행과 장길을 각기 대상으로 임명하였으며, 군郡을 안동부安東府로 승격시켰다. - 권57, 지리지 2, 경상도 안동부 연혁 여기에 김선평, 권행, 장길이란 세 사람이 나온다. 이들은 고창, 곧 지금의 안동 지역에 살던 유력 인사였음에 분명.. 2023. 6. 21.
미국은 왜 독립 했는가 Asserts as a matter of Natural Law the ability of a people to assume political independence; acknowledges that the grounds for such independence must be reasonable, and therefore explicable, and ought to be explained. Preamble Outlines a general philosophy of government that justifies revolution when government harms natural rights. A bill of grievances documenting the king's "repeated injuries .. 2023. 6. 21.
백제가 섬진강 교통로에 남긴 순천 죽내리고분 by 이정호 섬진강 옛길을 따라 분포하는 백제 유적 중 한 곳이다. 더 이른 시기 가야계 고분도 함께한다. 뒷산에 방어시설인 백제 산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백제가 섬진강 교통로 때문에 겪은 스트레스를 짐작케 한다. *** Editor's Note *** 내가 이름 바깠다. 백제stress塚 이라고 2023. 6. 21.
수탈? 제국주의 일본과 지금의 대한민국 어느 쪽이 더 수탈적인가? 유사 이래 수탈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인력동원 둘째 세금 식민지시대 일본에 의한 조선 수탈이라 할 때 역시 이 두 가지 관점이 작동한다. 그러면서 이르기를 일제가 조선을, 조선인을 수탈했다 한다. 무자비한 수탈이라는 수식어가 빠지지 않는다. 맞는 말인가? 첫째 인력동원 군대가 대표적이다. 지금 대한민국은 징병제다. 건국 이래 죽 그랬다. 이전엔 있는 놈들 다 빠져나가다 지금은 거의 불가능하다. 일제가 인력동원을 강제하기는 식민지 말기 태평양전쟁 암운이 짙어지면서다. 그 전엔 조선인은 군대 가고 싶어도 갈 수도 없는 구조였다. 어느 쪽이 더 수탈적인가? 다음 세금 봉급명세서 봐라. 이건 뭐 사람 죽이자는 심산이다. 온갖 삥이라는 삥은 다 뜯는 게 작금의 대한민국이다. 요즘 한창 문제가 되는 상속세. 이.. 2023. 6. 21.
신라의 황금 유물들은 어디에서 왔을까?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70953 [단독] 신라 공주의 ‘금동 신발’도 찾았다 경주 쪽샘 44호분서 3년 전 출토된 5세기 후반 10대 소녀의 금 유물들… 당시에 못찾은 신발 조각 찾아내 내달 4일 유물 일체 현장서 공개 1500년 전 열 살 남짓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난 신라 공주 n.news.naver.com 유물에 대해서는 강평할 수준이 되지 못하므로 언급하지 못하지만, 저 금딱지 유물을 볼 때마다 드는 생각은, 저 금을 저 시대에 제련해서 제작했을 것 같지 않다. 신라에 들어온 것은 금동장식을 제작할 수 있는 공인과 황금덩어리 아니었을까. 그 황금덩어리를 쓰고 쓰고 또 쓰다가 바닥을 드러낼 때쯤 되어 황금유물들도 사라진 것이 아닐지? 청동기와 황.. 2023. 6. 21.
각주脚注, 표절의 다른 이름 난 내 논문에서 각주 되도록 안 단다. 각주는 원전, 보고서류와 같은 이른바 프라이메리 자료에 되도록 국한한다. 그래서 내 글이 훌륭하다는 말 하지 않겠다. 하지만 우리 학술논문엔 각주가 너무 많다. 덕지덕지 썩은 갑판 밑에 달라붙은 조개껍데기만 같다. 내 보기엔 그 각주 중에 5분의4는 필요없다. 각주가 적을수록, 아니 없을수록 그 글은 훌륭하다는 내 신념에는 변함이 없다. 음...결국 내 글이 훌륭하다는 뜻이네? (2014. 6. 20) *** 각주는 결국 신세짐에 대한 고백이요 그 고백은 표절 혐의로부터의 안전장치다. 하지만 글을 망치는 주범이 각주라, 미주라, 협주라, 후주라 이 덕지덕지한 각주가 리딩을 자주 방해하며 그 각주란 것도 살피면 도대체 이런 대목에 왜 그런 각주가 있어야 하는지 의뭉함.. 2023. 6. 21.
삼척동자도 아는 말을 이 분야 전문가만 모르더라 선도산仙桃山이란 지명을 보고도 서악西岳 혹은 서형산西兄山이란 이칭을 보고도 성모聖母를 보고도 곤륜산과 서왕모西王母를 연상하지 않는 이 학계가 나는 진절머리가 났다. 삼척동자도 알 만한 내용을 정작 이쪽 분야 전업적 학문종사자들만 모른다는 사실이 신통방통했다.  신라김씨 시조가 성한星漢이라 했음에도 이 성한星漢이 김알지인 줄도 삼척동자도 알 만한 말을 정작 이 분야 전업적 학문종자들만이 모른다는 사실에 경악했다. 대체 왜 이러는가? (2019. 6. 20)  ****선도산仙桃山이란 서쪽에 있는 선산仙山이란 뜻이며, 선도산성모仙桃山聖母란 그쪽 세계를 지배하는 성스런 어머니라는 뜻이라, 이는 말할 것도 없이 신라 선도산을 곤륜산에 비긴 것이며, 나아가 그 곤륜산 최고신 서왕모西王母를 말함이다.그 곤륜산에는 둘.. 2023. 6. 20.
일제시대의 키워드는 "수탈"이 아닌 "차별"이다 일제시대의 키워드는 "차별"이다. 해방이후 한국 독립의 당위성은 "차별"에서 찾아야 옳다. 일제하 교육제도의 문제점이 해방 후 폭발적으로 시정되었다면, 바로 그 부분이 독립해야 할 당위가 되는 것이다. 일제시대의 연구가 "수탈의 증명"에 촛점이 맞춰져 있다면 이것은 실패할 가능성이 많다. 제국주의국가가 식민지를 유지하는 이유는 "수탈"만 있는 것이 아니다. 필자의 판단으로는 일제시대는 모종의 이유로 전 기간 동안 조선인에 대한 "차별"이 계속 유지되었는데, 이 차별은 해방 국면까지도 시정되지 않았으며 어떤 의미에서는 민족 감정상의 문제가 아니라 제도적으로 재생산되었다. 식민지 연구를 "수탈의 증명"으로 할 것인가 :"차별"로 할 것인가는 상당히 델리키트한 측면이 있는데, "차별"로 키워드를 잡아간다면 이.. 2023. 6. 20.
상업성이 없는 책을 내주어? 그런 책은 내지 마라 책을 줏어들고 서문을 읽다 보면 유독 저런 말투 혹은 저 엇비슷한 문구가 많이 발견되는데, 저런 말은 내 기억에 유독 한국과 일본에 많다. 그러면서 이르기를 이렇게 상업성이 없는 책을 내주어 이 책을 내주는 출판사 혹은 그 대표한테 고맙다 블라블라하기 마련이라, 내가 볼 때 심각한 대목은 그 다음이다. 그렇다면 왜 상업성이 없는가? 이건 내가 하는 말이 아니라 그네들이 내세우는 논리라, 한결같이 하는 말이 이 책은 학술적이어서... 도대체 이 말은 무슨 개떡 같은 소린가? 학술적이라 상업성 혹은 가독성이 없다니? 무슨 이런 개떡 같은 소리가 있단 말인가? 말한다. 학술적이라 상업성이 없는 것이 아니라 학술적이지 아니해서 상업성이 없는 것이고, 그래서 팔리지 않을 뿐이다. 가독성 없는 책, 독자가 없는 글.. 2023. 6. 20.
“다시 태어난다면 나는 또 이 길을 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by 이희승 외곬생애 내 나이 이미 여든이 훨씬 넘어 아흔을 바라본다. 단순히 시간의 뜻으로 보면 80여년이라는 세월은 그리 오랜 것도 아니다. 그러나 구한국시대에 태어나 온갖 역사의 비바람 속을 헤쳐 오늘에 이른 우리 또래의 사람들에게는 지나간 80여 년이 자못 힘겹고 오랜 세월이었다고 할 수 있다. 외람된 얘기 같지만 대한제국, 일제 35년, 미군정, 자유당 정권, 민주당 정권, 5․16혁명과 공화당 정권을 차례로 겪어야만 했던 세월이다. 또 역사상 미증유(未曾有)의 양차 세계대전을 직접 간접으로 받는 세상에서 살아왔다. 그뿐 아니라 6․25사변 같은 참혹한 집안 싸움도 견디어내야 했다. 이렇게 끊임없이 어지러운 사회 속에서 살면서 겪어야 했던 갖가지 경험이야말로 평화 시절 수백년간의 경험과 맞먹을 만하지 않겠는.. 2023. 6. 20.
둘째언니 드라마 "추노"를 통해서 최근엔 좀 알려진 사실인데, 원래 '언니'란 단어는 누이동생이 여자 형(?)을 부르던 호칭일 뿐만 아니라 남자 아우가 형을 부르는 호칭이기도 했다. 그 실제 용례를 여초 김응현(1927-2007)과 일중 김충현(1921-2006)에게서 본다. '선경'은 여초 선생의 자다. 2023. 6. 20.
해발 800미터 장수 대적골 제철유적 전북 장수군 일원에서는 근자 지표조사를 통해 70여 개소에 이르는 제철유적이 확인됐으니, 장계면 명덕리 일대 이른바 대적골 제철유적 또한 개중 한 곳이라, 이 일대에는 이미 군산대학교박물관이 2016~17년 시·발굴 조사를 실시해 철 생산과 관련된 흔적을 확인했으니, 그 성과는 《장수 대적골·신전리 제철유적》이라는 이름으로 2019년 장수군과 함께 공간되었다. 기존 발굴성과는 아래에서 자세히 보도록 하고, 위선은 올해 발굴조사 개요를 소개한다. 이번 장수 대적골 제철유적[3차] 조사는 2020년 발굴 결과 건물터가 드러난 ‘라’ 구역 주변에 대한 시굴조사와 제련로를 비롯한 철 생산시설이 확인된 ‘다’ 구역 주변에 대한 학술조사다. 장수군 의뢰로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이 낙찰받아 2022년 10월 27일 .. 2023. 6. 20.
학문과 정치, 그 기묘한 결합 구미권이라 해서 이른바 직업적 학문종사자가 정치로 뛰어들지 않는 것은 아니어서 더러 그런 사람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우리에 견주면 아주 드물고 또 실상 그런 간헐한 경우라 해서 들여다 보면 이 사람은 애초 직업적 학문종사자라기보다는 교수니 연구원이니 하는 타이틀은 권력으로 가기 위한 중간 기착에 지나지 아니해서 학자로서의 업적은 실은 볼 만한 구석이라곤 눈꼽만큼도 없으니 이런 자들의 정치투신은 학자로의 본령에서의 탈피가 아니라 실상 복귀에 지나지 않는다. 같은 동아시아권인데 중국 일본과 비교해도 한국은 아주 특이해서 직업적 학문종사자로 분류할 만한 사람들로서 사회참여라는 이름으로, 또 그것이 연구자의 본령 중 하나라는 믿음으로 틈만 나면 정치권을 기웃거리는 이가 천지사방에 늘렸으니 이는 중국에서도, 일본에.. 2023. 6. 20.
전문성이 부족한 조선의 "학자" 조선의 학자, 특히 조선후기의 "학자"는 우리가 아는 학자가 아니다. 근대의 학자가 갖춘 전문성, 직업으로서의 학자로서의 자각이 없었으며 이 때문에 "연구"라는 개념이 없었다고 해도 좋다. 조선후기 과거를 보면 그 많은 선비가 몰려 북새통을 이룰 정도로 글 하는 사람은 많았다고 해도 읽을 만한 글 별로 없이 문인끼리 뻔한 소리 복붙이 반복된 가장 큰 이유는 학자들이 전문성을 자각하고 이걸로 밥먹고 살겠다는 근대적 성격이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니 치열할 리가 없고, 대충 자신의 치장에 족한 수준이다 싶으면 관두고 정치판을 누볐다. 조선후기의 소위 학자라는 사람은 대부분 이런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조선후기 선비들의 독서목록을 보면 편협한 독서편력이 눈에 띄는데, 학자가 아니었으므로 폭넓게 읽을.. 2023.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