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596

여전히 암흑인 중세中世 1920년대에 나온 이 책은 르네상스가 12세기에 태동했음을 주장하면서 중세를 암흑으로 규정하는데 격렬히 반항한다. 이 논점은 이미 정설의 지위를 차지했다. 한데 말이다. 이에서 다루는 작가나 정치인 신학자 종교 정치 체계 중 그 어느것도 나한테 익숙한 것이 없다. 그런 점에선 중세가 여전히 나에겐 암흑이다. 단테도 페트라르카도 복카치오도 초서도 등장하기 전이거니와 저 시대 영문학 역시 나에겐 기억에 남은 응어리가 없다. (2017. 12. 23) *** 이 책 서지사항은 다음과 같다. 《12세기 르네상스》 C. H. 해스킨스 저 / 이희만 역 | 혜안 | 2017년 12월 06일 2020. 12. 23.
꼬딱지만한 도버항이 일깨운 해상교역의 실체 변종코로나바이러스가 영국땅에서 활개하자 유럽 각국이 영국에 대한 실상 봉쇄령을 내렸으니 이는 아마도 나폴레옹 이래 이백년만에 처음 있는 일 아닌가 한다. 난리도 이런 난리가 없다. 도버항 풍광이 이렇단다. France set to reveal plans for reopening UK border Emergency talks are ongoing this morning in a bid to end the cross Channel blockage. Emmanuel Macron is expected to announce his plan to end the travel ban later. www.dailymail.co.uk 도버는 영국이 대륙과 소통하는 관문이다. 도버라 해서 거창하게 생각하겠지만 실상 우리네 .. 2020. 12. 22.
명저는 누구나 알아보는 법 시키지 않았다. 어머 이거 단장님 책이에요? 언제 쓰신 거에요? 20년 전이요? 어머 표지가 지금 봐도 산뜻해요 호호호호 인턴 계약이 종료해서 복학하는 친구 밥 사주고 들른 북카페서 저 위대한 책을 발견했다. 초상권은 대강 보호했다. 2020. 12. 22.
연어 잡아먹고 탱자탱자하다 압사한 5만년전 늑대새끼 생후 7주만에 죽은 5만년전 새끼 늑대 미라로 세상과 다시 만나 송고시간2020-12-22 11:22 엄남석 기자 영구동토층서 "눈만 빼곤 100% 온전하게 발굴"…털 한올까지 생생 www.yna.co.kr/view/AKR20201222074900009?section=international/all 생후 7주만에 죽은 5만년전 새끼 늑대 미라로 세상과 다시 만나 | 연합뉴스생후 7주만에 죽은 5만년전 새끼 늑대 미라로 세상과 다시 만나, 엄남석기자, 사회뉴스 (송고시간 2020-12-22 11:22)www.yna.co.kr 이 늑대새끼가 발견된 경위라든가 그 의미는 앞대가리 첨부한 우리 공장 관련 기사를 참조하기로 하고, 저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못한 대목들을 집중 보강하기로 하거니와, 우선 가장 궁금한.. 2020. 12. 22.
오윤겸 무덤에 신도비가 없는 이유 조선중기 문단을 주름잡은 계곡溪谷 장유張維(1587~1638)가 붓 가는 대로 써서 모은 글 《계곡만필谿谷漫筆》을 읽다가 그 제2권에서 다음 일화를 마주했으니 [이원익이 살아 있을 때 묘비를 미리 지어 놓았고, 오윤겸은 임종 때에 비를 세우지 말라고 유언하였다[李元翼在世時預撰墓碑吳允謙臨終遺命勿立碑]] 이상李相 원익元翼과 오상吳相) 윤겸允謙은 모두 학덕이 높은 원로대신이었는데, 이상의 명성이 더욱 중하였다. 한데 이상이 생존시에 이준李埈) 숙평叔平한테 자신의 묘비墓碑를 미리 지어 놓도록 부탁하니, 그 뜻은 대체로 자신을 너무 미화美化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었으나 숙평이 지은 글을 보면 칭찬하는 말이 굉장했다. 반면에 오상은 임종臨終에 즈음해 비碑를 세우지도 말고 시호謚號도 청하지 말라고 유언했다. 그러고 보.. 2020. 12. 22.
번역의 고통, 음악 용어의 경우 번역을 할 때 누구나 소심해지는 부분이 있는데, 나는 음악에 관한 부분이 나오면 어디부터 손을 대야 할지 몰라 쩔쩔맨다. 금성옥진(金聲玉振)이라는 상투적인 말도 '쇠북'이라는 게 뭔지 막막하다. 번역을 할 때 내가 이해하지 못하면 독자에게 바른 의미를 전달할 수 없다. 그나마 금성옥진에 대한 설명으로는 비교적 많이 이해한 부분이다. 《주자어류》 권58 〈맹자 8〉에 선생이 우연히 율려에 대해 언급하였다. 주희: 관(管)에는 길고 짧음이 있다면 소리에는 맑고 탁함이 있다. 황종은 가장 길어서 소리가 가장 탁하고, 응종은 가장 짧으니 소리가 가장 맑다. 시거: 황종은 본래 궁음이지만 《주례》에서 천신(天神) 인귀(人鬼) 지시(地示)에게 제사지낼 때는 그 음악을 혹은 황종으로 궁을 삼거나 혹 임종으로 궁을 삼.. 2020. 12. 22.
생평 다산과 함께한 죽부 이지형 다산학 연구에 평생 바친 이지형 성균관대 명예교수 별세 송고시간 2020-12-22 09:20 임동근 기자 www.yna.co.kr/view/AKR20201222040100005?section=search 다산학 연구에 평생 바친 이지형 성균관대 명예교수 별세 | 연합뉴스 다산학 연구에 평생 바친 이지형 성균관대 명예교수 별세, 임동근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12-22 09:20) www.yna.co.kr 요샌 나 또한 재택을 원칙을 하면서 오후에 출근하는 패턴을 삼곤 하거니와, 근자 한류전문 홈페이지 K-odyssey를 개장하면서는 그 운영에 온통 신경통이 가는 바람에 밤늦게까지 이거 관리하느라 녹초가 되거니와, 그런 까닭에 대개 아침은 늦잠을 잘 수밖에 없다. 어젯밤 늦게, 휴대폰으로 이메.. 2020. 12. 22.
영국발 뉴코로나 쓰나미 Britain's Covid outbreak continues to worsen with another 33,364 cases as officials record 215 more deaths Data shows daily infections have risen 64.7% in a week, with today's figure up from the 20,263 last Monday Deaths are still stable, however, with today's fatality count being 7.3 per cent down on last week's 232 It comes amid fears swathes of Sussex and Hampshire could be next to be hit wit.. 2020. 12. 22.
주희가 말하는 독서법 “책을 읽을 때는 먼저 일정한 진도를 세우지 않으면 안 된다. 딱 농사일과 같으니, 농토에 논두렁을 두는 것처럼 한다. 학문을 하는 것도 역시 그러하다. 오늘날 처음 배우는 사람들은 이 이치를 알지 못하니, 처음에는 매우 민첩하다가 점점 게을러져, 결국에는 전혀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단지 처음에 일정한 진도를 세우지 않았기 때문이다.[讀書不可不先立程限. 政如農功, 如農之有畔. 爲學亦然. 今之始學者不知此理, 初時甚銳, 漸漸懶去, 終至都不理會了. 此只是當初不立程限之故.]" 《주자어류》 권10 〈學4 독서법 상〉 2020. 12. 22.
쪽쪽 빠는 커플에 격발해 읊은 시 서울역 앞 횡단보도 저짝 젊은 커플 주디를 쪽쪽 빤다. 격발하여 한 수 읊는다. 普普靑春 男女相悅 念我之獨 誰其與行 쪽쪽 빠는 저쪽 커플 암수 서로 즐거분데 외로와라 이 내 몸은 뉘와 함께 답사갈꼬 (2018. 12. 22) 2020. 12. 22.
두 전질 《정조지》와《리비우스 로마사》 가운데 찡군 《고산유고》는 이미 연전에 통독은 했다가 혹 빼먹을 건 없나 해서 다시 끄집어 냈고 그 아래위를 공구고 짓누르는 두 전질 《정조지鼎俎志》와 《리비우스 로마사》는 건딜까 말까 고민하다가 맘대로 펼쳐본다. 《정조지》야 서유구 백과전서 《임원경제지》를 구성하는 편篇 중 하나거니와 저 《임원경제지》는 과대포장 신화화한 느낌이 있으니 저건 동아시아 전통 서적 분류체계로 보면 류서類書라 해서 주제별 분류백과사전이다. 류서란 창작보단 우라까이다. 이것저것 막 베껴 주제별로 분류한 것인데 인용서목 보면 거창하나 그 내실 따져보면 실은 암것도 아니라 빈껍데기인 경우가 많다. 저 역시 그 혐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덧붙여 같은 맥락에서 잔뜩 이 책 저 책 인용이라 했지만 그 상당수는 지가 직접 본 것도 아니요.. 2020. 12. 21.
箕一度四十四分, 유감없는 기벽奇癖의 소유자 황윤석黃胤錫 어제다. 언제나 그렇듯이 심심풀이 땅콩으로 한국고전번역원 들어가서 이런저런 문집 뒤져가며 읽는데 어쩌다가 《불우헌집不憂軒集》이 걸려들어 그래 불우헌이라면 정읍 땅 정극인丁克仁(1401~1481)이요, 정극인이라면 상춘곡嘗春曲인지 뭔지 하는 가사가 유명하다 해서 고교시절 열라 외운 기억이 나거니와 덧붙여 이 정극인과 관련하는 문화유산으로 정읍땅 무성서원이라는 데가 있어 연전에 이곳을 돌 적에 그 주변에 그의 묘소가 있어 들린 적 있거니와, 이 문집은 이전에 이미 훑은 적이 있지만, 새삼스럽게 이거나 한번 보자 해서 독파를 시작했는데, 당장 그 첫머리에 그 불우헌집 첫번째 서문 작성자로 황윤석黃胤錫(1729~1791)이 등장하는지라 어랏? 이재頤齋가 불우헌집 서문을 썼는가? 기억이 도통 나지 아니하고 아리까.. 2020. 12. 21.
“쇠돌 엄마 기슈?” “쇠돌 엄마 기슈?” “쇠돌 엄마 말인가? 왜 지금 막 나갔지. 곧 온댔으니 안방에 좀 들어가 기다렸으면...” “이 비에 어딜 갔에유?” “지금 요 밖에 좀 나갔지. 그러나 곧 올 걸....” “있는 줄 알고 왔는디?” “그럼 요 담에 오겠어유, 안녕히 계시유.” “아닐쎄, 좀 기다리게, 여보게, 여보게 이봐” “왜 이러서유, 이거 노세유” “아니 잠깐만” ...... “너 열 아홉이지?” “니에” “그래, 요새도 서방에게 주리경을 치느냐?” 이런 집요한 수작을 거쳐 오늘 몸을 주고 돈을 꾸어 오리라 작심한 춘호 처는 마침내 쇠돌엄마 안방에 들어 앉아 大事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때 벗겨 놓은 춘호 처를 내려 보며 쉰살 이 주사가 하는 말은 분위기 깬다. “얘, 이 살의 때꼽 좀 봐라. 그래 물이 흔한데.. 2020. 12. 21.
섹스는 계급장 떼고!!! 옥스퍼드대, 교수-학생간 '부적절 관계' 금지 명문화 송고시간 2020-12-21 12:46 이영섭 기자 학내 사제간 성관계 묵인 속 '성폭력 사각지대' 우려 최대 해임 등 징계 방안 추진 www.yna.co.kr/view/AKR20201221079400009?section=international/all 옥스퍼드대, 교수-학생간 '부적절 관계' 금지 명문화 | 연합뉴스 옥스퍼드대, 교수-학생간 '부적절 관계' 금지 명문화, 이영섭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12-21 12:46) www.yna.co.kr 아무리 선생 학생 관계라도 그렇지, 대체로 학생은 자기 판단에 따라 그에 따른 행동 책임을 지는 성년일 터인데 그 섹스 상대자가 선생이건 뭐건 무에 그것을 당국이 간여할 문제이겠는가? 그건 전적.. 2020. 12. 21.
정우성이 헤롱헤롱 대타 나선다는 소식에... 이런 진풍경이…정우성, '날아라 개천용' 배성우 대타(종합) 이정현 기자 / 기사승인 : 2020-12-21 09:34:34 이정재는 타 드라마 일정상 포기…다음 달 방송 재개 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1604917310 이런 진풍경이…정우성, ′날아라 개천용′ 배성우 대타(종합)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SBS TV 금토드라마 ′날아라 개천용′ 측은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하차한 배성우 자리에 정우성이 투입된다고 21일 밝혔다.드라마 측은 이날 입장을 내고 k-odyssey.com 헤롱헤롱 운전으로 막판 낙마한 배성우 자리에 정우성이 특공대로 투입된다는 소식에 대체로 여성팬층은 와!!! 하면서 반색 일색이거니와, 그래 내가 봐도 저 친구.. 2020. 12. 21.
공영公營의 역설(2016) 내가 이 문제는 여러번 지적했다. kbs는 국영에 가까운 공영이라지만 청와대가 주인 노릇하며, mbc는 공영방송을 표방하지만, 언제나 낙하산이 떨어지고, 연합뉴스는 국가기간통신사를 표방하지만 실은 청와대가 경영진을 낙점한다. 우리는 매양 공영이 바람직하다고 부르짖는다. 그 모델은 언제나 bbc 혹은 nhk였다. 그러면서 언제나 공영의 미련을 버리지 못한다. 그것이 그럴 듯하기 때문이다. 공영이란 공공이 운영 주체라는 뜻이다. 거기에는 국가 혹은 권력이라는 말이 어디에도 없다. 이것이 이상이다. 하지만 그것이 대한민국에 낙하할 적에는 언제난 公은 국가 혹은 권력과 등치한다. 이는 정권이 보수에서 진보로, 진보에서 보수로 되었다 해서 결코 변함이 없었으니, 설혹 진보의 시대에도 끊임없이 낙하산은 떨어졌다. .. 2020. 12. 21.
"안 잊으면 아니 될까요?" "언니, 웬일인지 나는 가슴이 몹시 설렙니다." "왜, 이형식 씨란 말을 듣고?" "응, 여태껏 잊고 있는 줄 알았더니 역시 잊은 것은 아니야요. 가슴속에 깊이깊이 숨어 있던 모양이에요. 그러다가 이형식 군 만세라는 소리에 갑자기 터져 나온 것 같습니다. 아이구, 마음이 진정치 아니해서 못견디겠소." "아니 그렇겠니. 어쨌든 칠팔 년 동안이나 밤낮 생각하던 사람을 그렇게 어떻게 쉽게 잊겠니? 이제 얼마 지나면 잊을 테지마는...." "잊어야 할까요?" "그럼 어찌하고?" "안 잊으면 아니 될까요?" 이광수 《무정》 2020. 12. 21.
장독대의 본향, 명재明齋 윤증尹拯 고택 (2014. 12. 21) *** 스승 우암 송시열과 한판 뜨고서는 원수 되어 영원히 갈라선 명재(1629~1714) 고택으로 충남 논산시 노성면 노성산성길 50에 소재하는데 장독대 구경하려거든 모름지기 이 명재고택을 가야한다. 2020. 12. 21.
5년 단위로 전환했어야 하는 길 지나고 보니, 말짱 다 끝나고 보니 그렇더라. 대략 저 단위로 방향을 바꾸었어야 했다. 같은 문화재 분야라 해도 그 안에서 방향을 틀었어야 했다. 예컨대 무형 유형을 나눈다면 5년은 유형에 투자하고, 이후 5년은 무형에 전력투구해야 했다. 이것저것 허겁지겁 먹다보니 예까지 왔으되, 돌아보니 어느 하나 제대로 이룩한 것 없고 잡탕 섞어찌개를 끓인 꼴이라, 그것이 맛이 있다면야 그런대로 소임을 했다 하겠지만, 개중 어떤 것도 제대로 된 것이 없다. 그렇다고 진득이 하나를 제대로 판 것도 아니요, 양계초가 그리 고백했듯이 나 역시 금방 신물이 나서 다른 데로 옮겨가곤 하는 삶을 살았으니, 죽도밥도 아닌 꼴이 되고 말았다. 정년까지 대략 6년이 남았으니, 요새 와서 부쩍부쩍 그 남은 6년을 무엇을 하며 보낼까를.. 2020. 12. 20.
용수龍壽-용춘龍春이 다른 사람인 빼박 근거(영상) 태종무열왕 김춘추 아버지로 등장하는 용수龍壽 혹은 용춘龍春. 둘은 한 사람에 대한 다른 표기인가? 아니면 다른 인물인가? 한 사람으로 보았지만 놀랍게도 두 사람으로 드러난다. youtu.be/uYPq7Vv7StY *** related article *** 용수龍壽-용춘龍春이 다른 사람인 빼도박도 못할 근거 용수龍壽-용춘龍春이 다른 사람인 빼도박도 못할 근거 삼국사기 신라본기 태종무열왕 즉위년 조에 김춘추 계보를 기술하면서 그의 아버지를 일러 "진지왕의 아들인 이찬伊飡 용춘龍春[혹은 용수龍樹라고도 한다.]"이라 했다. 용수는 누구이며 용춘 historylibrary.net 2020. 12. 20.
은행나무를 심을 필요가 없던 김천 섬계서원 조선조 서원 건축이 일대 붐을 이루면서 그 입지를 선택할 적에 키가 된 요소 중 하나로 나는 은행나무를 꼽는다. 성균관이건 서원이건 향교건 그 설립자 겸 재단 이사장은 불변인데 공자가 그 주인공이다. 《장자》에 보면 공자가 가르친 학교 혹은 학단을 행단杏壇이라 표현했다. 이 행杏은 새김이 살구와 은행 두 가진데 조선에서는 은행으로 통일한 느낌을 준다. 그래서 공자의 가르침을 실천함을 표방하는 모든 시설은 은행나무를 심어 표식을 삼았다. 그렇다면 은행나무가 없으면 어찌 할 것인가? 은행나무 근처에 학교를 세우면 된다. 경북 김천의 섬계서원이 바로 이런 곳이다. 저 은행나무는 수령 오백년을 상회하는 노거수다. 섬계서원은 그 역사가 고작 이백년이다. 답은 나왔다. 은행은 유교 건축에서 이리도 중요한데 아무도 .. 2020. 1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