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9596 <융건릉 원찰 수원 화산 용주사> 특별전을 보고나서 얼마 전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정조대왕 서거 220주기와 용주사 창건 230주년을 맞이하여 특별전을 개최한다는 걸 듣고 일요일인 오늘, 모처럼 시간이 나서 잠시 다녀왔다. 이번 전시는 사진전으로 100년 전 유리건판 사진부터 최근까지의 사진을 총 망라해서 융건릉과 용주사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정조의 초장지(健陵 舊陵地)에서 출토된 부장품을 최초로 전시했다고 한다. 박물관에 사람이 없어서 천천히 두 바퀴나 돌면서 전시를 볼 수 있었다. 전시 내용과 별개로 이번 전시를 보면서 ‘콘텐츠’의 선점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생각하게 됐다. 수원 화성, 융건릉 그리고 용주사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문화유산이라는 것은 대부분 알 것이다. 그런데 현재 행정구역 상 화성은 ‘수원시’이고, 융건릉과 용주사는 ‘화성시.. 2020. 12. 20. 대마도불상, 우리 것이 아니다!!! 일본 사찰 "도난당한 고려불상 韓법원에 반환 요구할 방침" 김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0-12-20 15:38:42 2012년 한국인 도둑이 훔쳐 밀반입…간논지 "소유권 재판 참여" 서산 부석사가 소유권 소송 제기…"14세기 왜구가 약탈한 문화재" 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63217278144 일본 사찰 "도난당한 고려불상 韓법원에 반환 요구할 방침" 2012년 한국인 도둑이 훔쳐 밀반입…간논지 "소유권 재판 참여"서산 부석사가 소유권 소송 제기…"14세기 왜구가 약탈한 문화재"(도쿄=연합뉴스) 김호준 특파원 = 일본 나가사키(長崎)현 쓰 k-odyssey.com 말도 안 되는 어거지 끝내야 한다. 돌려보내야 한다. 14세기 왜구가 약탈해 갔다는 .. 2020. 12. 20. 1,100 year old Stone Pagoda in Gyeongju 경주 남산 비파골 삼층석탑 慶州南山琵琶谷第2寺址三層石塔 여길 오늘 포토바이 오가 올라 저걸 찍어 투척하고는 외마디 비명을 지르곤 홀연히 사라졌다. 춥다. Three Storied Stone Pagoda at the Second Temple Site of Bipagok in Namsan, Gyeongju 경주남산 비파곡 제2사지 삼층석탑 慶州南山琵琶谷第2寺址三層石塔 Constructed on the 0.87m-tall base stone, this stone pagoda is located at the second temple site of Bipagok, the northern peak between Yongjang-ri and Samneung at Mt. Namsan, Gyeongju. In 2000 and 2001, the Gyeongju National.. 2020. 12. 20. 계곡 장유도 추천한 우라까이 계곡만필谿谷漫筆 제2권 / [만필漫筆] 시가의 표절[詩家剽竊] 시가詩家에서는 표절剽竊하는 것을 가장 금기시禁忌視하는데, 옛사람들도 이를 많이 범하곤 하였다. 당唐 나라 이후로야 더 말할 것이 없지만, 가령 좌태충左太冲의 영사詠史라는 시에, 관인官印 맨 끄나풀도 끌고 다니려 않는 터에 / 臨組不肯緤 무거운 옥돌 나눠 받고 제후 되려 하겠는가 / 對珪寧肯分 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사령운謝靈運의 술조덕시述祖德詩를 보면, 그 말을 그대로 옮겨 써 놓고 있다. 설령 후대 사람들이 차용한다 하더라도 모름지기 글자를 좀 바꿔서 써먹어야 하는데, 그만 이런 식으로 표절을 하다니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 한국고전번역원 | 이상현 (역) | 1997 [詩家剽竊] 詩家最忌剽竊。而古人亦多犯之。自唐以下不足a092_60.. 2020. 12. 20. 막다른 골목에 몰린 유승준의 항변 유승준, '유승준 방지법'에 "내가 공공의 적이냐" 격앙 김효정 / 기사승인 : 2020-12-20 11:56:43 유튜브로 40분간 거친 비난…"청년들 추미애·조국 사태보며 더 허탈" 주장 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065583921628150 유승준, ′유승준 방지법′에 "내가 공공의 적이냐" 격앙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가수 유승준(미국명 스티브 승준 유)이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의원이 발의한 이른바 ′유승준 방지법′에 대해 "제가 공공의 적이냐"며 반발했다.유승준은 지난 k-odyssey.com 유승준, 스티브유로서야 막다른 골목 몰렸다고 해서 이제 분풀이로 나선 모양이라, 그가 지은 대역죄는 국민정서법 위반이겠거니와, 그는 엄염히 미국시민권자인.. 2020. 12. 20. 사랑하라, 한 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2020년을 마지막으로 온양민속박물관을 떠납니다. 2018년 6월 1일자로 입사했으니, 약 2년 6개월 동안 박물관과 함께했네요. 박물관을 떠나면서 제 마음이 어떤지 계속 생각해 봤습니다. 박물관을 떠나서 홀가분한 건지, 기쁜 건지, 시원한 건지, 아쉬운 건지, 억울한 건지, 두려운 건지 등등. 사실 위에 적은 마음들이 뒤섞여 있어 뭐라 딱....! 이거다 라고 표현할 방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몇 번을 썼다 지웠다를 반복했습니다. ㅎㅎ 아! 왜 그만두냐고 궁금하실텐데요, 박물관 사정이 좋지 못해 그만 두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마음이 복잡했나 봅니다. 하지만 늘 그랬듯,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기에 “설렌다.” 라고 결론지었습니다. 저의 설렘이란 감정에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거꾸로 이것 저것 가져다 붙.. 2020. 12. 20. 계곡谿谷 장유張維(1588∼1638)가 증언하는 담배의 정착과 유행 아래 《계곡만필谿谷漫筆》이 정리한 담배에 대한 일련의 논급은 그 저자 계곡谿谷 장유張維(1588∼1638) 생전에 담배가 비로소 한반도에 들어와 재배되기 시작했고, 그것이 아래 글에서 보듯이 불과 20년 만에 전국에 걸쳐 퍼진 상황을 생생히 증언한다는 점에서 고래로 담배 역사를 논할 때는 항용 그 제1 증언으로 간주되었으니, 비단 담배 역사만이 아니라, 새로운 산물이 어떻게 그 땅에 정착해 대세를 형성하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현재보다 훨씬 통신사정이 좋지 않은 조선시대라 해서 그 유행이 더뎠을 것이라 생각하면 오산이다. 유행은 순식간에 번지기 마련이다. 일단 좋다는 소문이 나면, 무엇보다 그것이 기호품으로 채택되기만 하면, 그것이 돈벌이가 되기만 하면 누가 하지 말라 해도 다 .. 2020. 12. 20. 파주 보광사에서(2016) 파주 보광사 대웅전이 조만간 해체 보수에 들어간다. 이 위대한 목조건축물이 여직 보물로 지정되지 않은 것도 수수께끼다. 이 보광사는 나에겐 언제나 남양주 수종사와 더불어 근심을 풀어주는 해우소解憂所다. 하도 자랑을 해대는 바람에 나도 보광사 보고싶단 사람들과 짬을 내어 다녀왔다. 마침 해체수리 직전이라 비계로 둘러치면 제대로 볼 수 없을 테니 겸사겸사했다. 나오는 길에 의정부 부대찌게를 점령했다. 보광사 대웅전은 전면과 측면이 각각 기둥 4개인 3칸짜리다. 이런 구조로만 보면 정방형이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는 장방형에 가깝다. 이는 전면 3칸은 주간柱間이 등 간격이지만 측면은 그 중앙 칸이 양쪽 칸에 견주어 더 넓기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참말로 이상한 점은 공포를 칸마다 4개씩 설치했다는 점이다. 전면은.. 2020. 12. 20. 느닷없이 달려간 쌍계사 겨울이 마지막 발악을 하던 작년 2월 어느날, 나는 훌쩍 하동으로 떠났다. 쌍계사가 보고 싶어서였다. 누군가 그랬다. 좀 있다 오지 그랬냐고벚꽃이 만발하는 한달쯤 뒤 좀 있다 오지 그랬나고 내가 말했다. 좀 있다 좀 있다 하다 땅을 비비고 가슴을 치며 후회한 일이 많아 좀 있다 좀 있다 하다 보내 버린 사랑이 많아 미리 왔노라고 내가 성급했나요?(2016. 12. 18) 2020. 12. 20. 용수龍壽-용춘龍春이 다른 사람인 빼도박도 못할 근거 삼국사기 신라본기 태종무열왕 즉위년 조에 김춘추 계보를 기술하면서 그의 아버지를 일러 "진지왕의 아들인 이찬伊飡 용춘龍春[혹은 용수龍樹라고도 한다.]"이라 했다. 용수는 누구이며 용춘은 또 누구인가? 도대체 무슨 사연이 있기에 삼국사기는 김춘추의 아버지를 “용춘[혹은 용수라고도 한다.](龍春[一云龍樹])”이라 했을까? 용수와 용춘은 같은 인물일까? 아니면 다른 인물일까? 같은 인물이라면 표기법 차이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만약 다른 사람이라면 이 구절은 뜻이 완전히 달라진다. 그것을 판별할 결정적인 증거가 있는가? 있다. 화랑세기인가? 아니다. 위 태종무열왕본기에 앞선 같은 신라본기에 용수와 용춘이 각기 다른 데서 각기 다른 이름으로 출현하기 때문이다. 먼저 진평왕본기 44년(622)조를 보면 이해 2.. 2020. 12. 19. 백신전쟁, 입도선매에서 탈락한 대한민국 백신곳간 빈익빈부익부…캐나다·미·영 인구보다 많이 싹쓸이 송고시간2020-12-16 10:57 송수경 기자 인구대비 캐나다 6배-미·영 4배-EU 2배 물량 '입도선매' 빈국 인구대비 20% 미만…한국·스위스 등 고소득국도 인구 하회 부국들에 '곳간 열라' 압박 가중…바이든의 미국 달라질까 주목 www.yna.co.kr/view/AKR20201216066700009?section=search백신곳간 빈익빈부익부…캐나다·미·영 인구보다 많이 싹쓸이 | 연합뉴스백신곳간 빈익빈부익부…캐나다·미·영 인구보다 많이 싹쓸이, 송수경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12-16 10:57)www.yna.co.kr 코로나펜데믹에 대처하는 진짜 역량은 이제부터다. 단순무식하게 찍어눌러, 혹은 마스크 강제로 뒤집어 씌우는.. 2020. 12. 19. 문화재판에서 다시 보고 싶지 않은 기사 이것도 틈만 나면 얘기했다. 하지만 틈만 나면 써제낀다. 1. 목조문화재 보험 미가입...해서 뭐할낀데? 복제품 만들게? 2. 국산 안료, 국산 목재 안썼다...국산 써서 뭐할낀데? 왜 이런 현상이 비일하고 비재하는가? 기자가 무식하기 때문이다.(2013. 12. 17) **** related article *** 소나무에는 국경도, 국적도 없다소나무에는 국경도, 국적도 없다 소나무에는 국경도, 국적도 없다 2014/01/03 18:05 송고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문화재 보수 현장을 소재로 하는 사건마다 거의 늘 빠지지 않는 논리가 국historylibrary.net 2020. 12. 19. 한 사람과 세번 결혼하고 세번 이혼한 응삼이 '전원일기' 응삼이 배우 박윤배 별세…향년 73세(종합) 송고시간2020-12-19 11:15 김정진 기자 특징 없던 캐릭터 살린 천생 배우...'원조 미남' 별칭도 ′전원일기′ 응삼이 배우 박윤배 별세…향년 73세(종합)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김정진 기자 = MBC TV ′전원일기′ 속 응삼이로 유명한 배우 박윤배가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다. 향년 73세. 19일 방송연기자노동조합에 따르면 박윤배는 폐섬유증을 앓다 k-odyssey.com 첨부한 우리 공장 저 기사에서 눈길이 가는 대목이 한 사람과 세 번의 결혼과 이혼을 했다는 대목이다. 요새 뭐 나 이혼했어요 하는 예능프로가 있더라만, 어찌하여 저런 삶을 살았는지 모르지만, 참말로 모진 인연이었나 보다. 한번 갈라진 그릇 보니 계속 그 도로 붙인.. 2020. 12. 19. 모더나 백신까지 승인 났다는데...언제 한반도에 상륙하는겨? 미, 모더나백신 세계 첫 승인…화이자 이어 두번째 백신 확보(종합) 2020-12-19 10:18 강훈상 기자 주말새 590만회 접종분 선적 가능…연말까지 4천만회 접종분 배포 목표 파우치 "내주초 팔에 접종하는 모습 볼 것"…국립보건원장 "과학이 놀라운 일 해내" www.yna.co.kr/view/AKR20201219024551009?section=safe/news&site=major_news01 미, 모더나백신 세계 첫 승인…화이자 이어 두번째 백신 확보(종합) | 연합뉴스 미, 모더나백신 세계 첫 승인…화이자 이어 두번째 백신 확보(종합), 강훈상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12-19 10:18) www.yna.co.kr 모더나 또한 코로나백신 개발 직전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기는 한두날 전이 .. 2020. 12. 19.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품 특별전 출품작(병풍편) 2020. 12. 19. 하늘은 잊지 않는다 “밝은 하늘이 회복되지 않으니 근심 한이 없구나. 먼 훗날 반드시 돌아오니 천도의 법칙이로다. 제자들이여 힘써 공부하라, 하늘이 잊지 않으리.〔皓天不復 憂無疆也 千秋必反 道之常也 弟子勉學 天不忘也〕”《순자(荀子)》 〈부(賦)〉 2020. 12. 19. 白也詩無敵 白也詩無敵 백야시무적 이라...백 형, 시는 당신을 따를 자가 없소 두보杜甫는 이백李白을 추억하며 이리 읊었다. (문제의 구절은 春日憶李白 첫 대목이다.) 이상한 점은 두보가 이백을 지목하며 쓴 시로 몇 편이 전하고, 더구나 그 하나하나가 다 명편이라 소문이 자자한데, 까꾸로 이백이 두보를 염두에 두고 쓴 시는 없다. 있다고 주장하는 작품이 있기는 하나 영 비실비실해 그의 작품이 아닌 듯하다. 같은 급이 아니라 생각했을까? 뭔가 있긴 했을 터인데, 백형 주특기는 뱉어버리고 쳐다도 안 보고 던져버린 까닭에 무수한 작품이 산일散逸한 까닭이리라. 하긴 뭐 돌이켜 보면, 두씨가 애틋한데 백은 그러지는 못해서 성격 차이에서 말미암을 수도 있다. 두보가 한 잔 빨다가 독작을 했는지, 술 친구가 없어 열라 적적해 저.. 2020. 12. 19. 영어발달사, The making of English by Henry Bradley 내가 다닌 Y대 영어영문학과에서 전공 필수인 영어발달사는 조철현 선생이 강의하셨고, 그 교재가 The making of English, Henry Bradley (1845-1923)였다. 생몰연대를 보면 시대에 쳐진 교재였음에도 영어발달사를 간략히 정리했다 해서 이 책을 교재로 썼던 듯하다. 물론 그 시대 교재는 모조리 불법복제판이었다. 각중에 이 책이 생각나 찾아보니 저작권 만료되었다고 원문 제공을 하네? https://archive.org/details/makingofenglish00bradiala The making of English : Bradley, Henry, 1845-1923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archi.. 2020. 12. 19. 궁금한 건 못참아, Aksum Kingdom 얼마 전 방한한 인도 고고학도 만지리 Manjil라는 친구를 만났다 했거니와, 그러면서 그의 전공 중 하나가 지금의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지방에 흥성한 악숨 왕조(Aksum or Axum Kingdom) 고고학이라 했으니, 그의 이런 설명을 들으면서 내가 각중에 에티오피아를 가고 싶단 생각이 들었단 말을 한 적이 있음을 당신들은 기억하리라. 그때는 무심해 넘겼으니, 도대체 왜 인도 친구가 악숨 고고학일까 의아해 했거니와, 이 지도를 보니 로마와 인도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지점 홍해 연안에 위치한 곳이 바로 악슘 왕조임이 여실함을 안다. 그랬다. 바로 이 교통로 격절지점을 인도 친구가 전공으로 택한 까닭이 바로 이것이었다. 로마와 인도간 접촉을 논할 때, 나는 막연히 이란 고원을 관통하는 북로만 생각했더니, .. 2020. 12. 19. 사형수들 처단하는 방법 17명 살해 이탈리아 희대의 연쇄살인마 코로나19로 옥중 사망 2020-12-18 19:15 공유 댓글 글자크기조정 인쇄 전성훈 기자 www.yna.co.kr/view/AKR20201218158800109?section=safe/news&site=hot_news 17명 살해 이탈리아 희대의 연쇄살인마 코로나19로 옥중 사망 | 연합뉴스 17명 살해 이탈리아 희대의 연쇄살인마 코로나19로 옥중 사망, 전성훈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12-18 19:15) www.yna.co.kr 기록을 보면 한국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실제로 사형이 집행되기는 1997년 12월 30일이 마지막이었단다. 김영삼 정부 시절인 이때 사형를 언도받고도 국록을 축내던 23놈이 일괄로 사형이 집행되었다고 하니, 이후엔 주로 종.. 2020. 12. 18. 물에 들면 자취없고 땅에선 무더기 되는데 처마 앞 날아가다 바람 만나 돌아오네 [이규보] 동국이상국전집 제13권 / 고율시(古律詩) 눈을 읊다[詠雪] 3수 하늘에 휘날리고 땅을 뒤덮어 끝이 없고 높은 산에 쌓이고 구덩이 메워 아득하네 소매에 나부끼다 머뭇머뭇 사라지니 여섯 모를 이룬 그 이치 알 길 없구나 물에 들면 자취없고 땅에선 무더기 되는데 처마 앞 날아가다 바람 만나 돌아오네 너울너울 춤추면 나비인가 의심하고 이름한다면 매화와 분간할 수 없네 은 봉우리 이루어 창문 앞에 나열하고 구슬 바퀴 만들어 길가에 버려두네 이것이 백염과 밀가루라면 자기집 뜰에 쌓인 것도 혼자 쓰기 어려우리 ⓒ 한국고전번역원 | 정지상 이장우 (공역) | 1980 匝地渾天同浩浩。埤高塡塹混茫茫。飄颻點袂逡巡滅。六出功夫未細詳。 入水無蹤着地堆。過簷飛去遇風迴。却因喜舞全欺蝶。若更儲名莫辨梅。 簇成銀嶺擁窓前。推作瓊輪委路邊。若是.. 2020. 12. 18. 이전 1 ··· 591 592 593 594 595 596 597 ··· 9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