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9522 유종원柳宗元이 증언하는 대묘大墓 《유종원집柳宗元集》에서 찾은 '大墓대묘'의 일례 - 무령왕릉武寧王陵 등관대묘登冠大墓와 관련하여 - 《柳宗元集》 卷10이 집적集積한 지誌 중 하나인 ‘여 시어 공 묘지 呂侍御恭墓誌’는 시어사侍御史를 역임한 여공呂恭이라는 사람의 묘지명墓誌銘이다. 유종원이 이 묘지명을 쓰게 된 것은 여공이 친구의 동생이기 때문이다. 즉, 여공의 형이 형주자사를 역임한 여온呂溫이었던 것이다. 이에서 유종원은 여씨呂氏 일족이 하동河東에서 세거世居하다가 어사대부御史大夫로서 절동도절도대사浙東道節度大使가 된 여연지呂延之에 이르러 비로소 커졌다고 하면서, 원화元和 8年(813) 6月 28日에 卒한 그의 손자 여공呂恭의 생전 행적을 기술하고는 다음과 같은 그의 유족 이야기를 전한다. 처妻 배씨裴氏는 호부상서戶部尙書 연령延齡의 딸이다. 장.. 2020. 6. 6. 무령왕릉 등관대묘登冠大墓 해독기 내가 무령왕릉에서 몇 가지 난제로 꼽은 것이 있다.첫째, 묘권墓券과 관련해 우선 그에 보이는 '등관대묘登冠大墓' 문제를 어케 보느냐였고, 다음으로 '입지여좌立志如左'의 '左좌'를 어케 보느냐가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묘권 4장의 연결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죽은 무령왕과 묘지墓地를 매매한 토백土伯 이하 무수한 지하 세계 신들을 어찌 봐야 하는지 문제가 있다. 나는 이 네 가지 중 처음 세 가지는 풀었다고 본다. 남들이 이를 인정하느냐 아니 하느냐 하는 문제는 남았거니와, 저들 문제 하나를 풀 때마다 나로서는 유레카를 외쳤다는 말은 확실히 해 둘 수 있다. 등관대묘 문제는 실은 내가 《유종원집柳宗元集》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했다. 오수형·이석형·홍승직 세 중문학도가 한국학술진흥재단(현 한.. 2020. 6. 6. 식용으로서의 황금 금을 서양에서도 복용하는지 알 순 없으니 동아시아에선 없어서 못 먹었다. 金은 장기간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수명을 늘인다는 선약仙藥 중에서도 약효가 가장 뛰어난 상약上藥 중에서도 언제나 선두주자였으니 그 합성물을 금단金丹이라 했으니 금단은 황금과 주사였다. 나 오늘 금가루 복용했다. 한데 과식해서 몸무게 2키로는 늘고 수명은 일주일이 단축되었다. 과식하지 말지어다. 2020. 6. 5. 폐가 비름빡을 뒤지자 200 year old navy documents found on the wall of an abandoned house 수군 군적부가 발견된 폐가 오래된 가옥 벽지에서 조선 후기 수군 명단 발견 | 연합뉴스 오래된 가옥 벽지에서 조선 후기 수군 명단 발견, 임동근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6-04 10:19) www.yna.co.kr 이런 일이 썩 드물지는 않다. 조선일보는 창간호를 망실했는데, 그 창간호가 기적으로 근자 발굴이 되었으니, 어느 집안 비름빡 벽지에서 드러난 것이다. 발견자가 이걸 조선일보에 팔려 했더니만, 너무 액수를 높이 불러 조선이 거절했다는 후문도 있더라만, 이후 행방이 어떤지는 모르겠다. 프랑스에서는 근자 시골집 할매가 돈벼락을 맞았으니, 부엌에 검댕이 쓴 채 걸린 그.. 2020. 6. 5. Drastic Transformation of Cheonggyecheon Stream Penetrating downtown Seoul in the east-west direction, the Cheonggyecheon Stream is one of the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with a total length of 5.84 km. Due to the frequent flooding, and water pollution etc, the stream began to be covered in the 20th century, and in the 1970s the entire area was completely covered. The covered stream was a symbol of Korean urban modernization. However, as soo.. 2020. 6. 5. 아침, 上께서 절을 찾으셨다 *** 이 문서 맨 마지막에 이번 조사성과 약보고서를 첨부한다. 성림문화재연구원이 연차 발굴조사 중인 경주 낭산 일원 내 추정 고분지 정비 유적 4차 조사 출토 신라시대 목간과 그 판독안이다. 이른바 傳 황복사지皇福寺址 일대를 말한다. 현재는 황복사지 삼층석탑이라 해서 신라시대 석탑이 우람하거니와, 보문들 한쪽 귀퉁이에서 그 건너편으로 진평왕릉과 보문리절터가 자리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신라목간 1점을 출토했거니와, 그 판독과 해독에 적지 않은 소란과 이해충돌이 있었던 모양이라, 그 발굴조사단장이 분통하는 사발통문을 돌리기도 한 모양인듯, 암튼 이 조사단에서 외부에서 판독을 의뢰한 모양인 듯한데, 이런저런 경로를 통해 수집한 판독시안을 조사단은 저리 제시했다. 그렇다면 문제의 저 신라 목간은 어케 판독 가.. 2020. 6. 5. 이뻐서 못 먹겠다는 멍게알비빔밥 자리 옮기고서 점심 약속 없는 날이 없고 그 약속 상대는 절반이 사내 인사들이요 나머지가 외부라 신설 부서이며 기획조정이라 무엇보다 사내 다른 부서와 협조가 긴밀해야 하는 까닭이다. 오늘도 한류와 밀접한 어느 사내 팀장님을 모시고는 잘 도와달라 설레발을 쳤다. 가격보단 외양에 치중키로 하고는 이쁜 음식을 장만하는 음식점을 골랐다. 이 멍게알비빔밥을 마주한 사람이 탄성을 질렀다. "이 이쁜 걸 어케 먹어요?" 말은 그리 했으나 마파람 게눈 감추듯 뱃속으로 무수한 멍게님이 열반하시었다. 작전 성공 2020. 6. 5. 위수 지역 이탈, 변사체로 발견된 점박이물범 통영서 천연기념물 점박이물범 사체…"타살 흔적 없어" | 연합뉴스통영서 천연기념물 점박이물범 사체…"타살 흔적 없어", 한지은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6-04 16:26)www.yna.co.kr 이 친구 보러 조속히 대전행을 감행해야겠다. 혹 이 친구 코로나19 확진판정받고는 제대로 치료 못받아 사망한 건 아닌가? 문화재 일종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받는 점박이물범을 문화재청은 이리 소개한다. 물범은 물범과에 속하며 그 중에서 가장 작은 동물로, 북태평양에서는 캘리포니아 알류산 해역과 캄차카 반도, 지시마, 북해도 및 혼슈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백령도 근해에서 300여 마리까지 발견되고 있다. 몸길이 1.4m, 몸무게 90㎏까지 성장하며, 앞머리 부위가 둥글면서 높다. 귓바.. 2020. 6. 4. [줄줄이 유물 이야기] 디딜방아를 찌어라! 전시실을 한 바퀴 돌다가... 오잉? 디딜방에에 저렇게 묵서墨書가 되어 있었나? 뭐라고 써있는 거야? 庚申年庚申月庚申日庚申時姜太公下馬處 경신년경신월경신일경신시강태공하마처 帝王大 제왕대 四五乙卯陰三月卄六日(?) 사십오을묘음삼월이십육일(?) 1945년(을묘년) 음력 3월 26일 (?) 경신년 경신월 경신일 경신시, 라는 사주도 있는 건가? 뒤에 강태공 하마처라고 한걸 보면 강태공의 사주인가? 만능맨 고문님께 여쭤봐야겠다. 전화거는 중... 고문님! 우리 2전시실에 있는 디딜방아에 묵서 있잖아요, 경신년 경신월 경신일 경신시 라고 막 써있는데, 도대체 무슨 뜻이에요? 주문같기도 하고요. 허허허. 그건 일종의 부적과 같은 의미로 보면 된단다. ‘庚申’에는 여러가지 뜻이 담겨있는데, ‘강태공의 도술과 후천개벽문의.. 2020. 6. 4. Excavation of Daeseongdong Tumuli, Gimhae 김해 대성동 고분군 발굴 金海大成洞古墳群發掘 A tomb of the ruling class, made in the Geumgwan Gaya Kingdom era 1,600 years ago, has been excavated in Gimhae, Gyeongsangnam-do Province, where the capital of this kingdom was located. The city-run Daeseong-dong Tombs Museum has been excavating 3,700 square meters of Daeseong-dong Tumulus Park in the center of the Gimhae city, the cemetery of the ruling class in the Ge.. 2020. 6. 4. 한 눈 팔았다가 다시 오니 수국水菊이 피기 시작했다. 수송동 공장 앞 다방 우드앤브릭은 내 단골이라 출건길 아침마다 에소프레소 한 모타리 집어심키는 곳이라 어찌하여 요즘엔 인근 다른 다방 쩜장이 하도 이뻐 그 짝에 출몰하다 옛정 잊지못해 행차했더니 작년에 피고진 수국이 다시 저 모양이더라. 내가 살핀대서 내가 피란대서 내가 지란대서 피어야할 수국이 안 피는 것도 아니요 져야할 수국이 도로 피는 것도 아니더라. 2020. 6. 4. 어찌하다 보니 나는 숙명론 운명론은 믿지 않는다. 굳이 따진다면 불교가 말하는 인연이란 말은 생각을 좀 한다. 인연이라는 말....나는 이를 "어찌하다 보니"라는 말로 치환하곤 한다. 내가 자란 환경을 보면 내가 대학물 먹었다는 일 자체가 기적이다. 한데 내 대학물도 어찌 하다 보니 그리됐다. 기자도 어찌 하다 보니 그리됐다. 어찌 하다 보니 이것이 천직이라고 믿는 시기도 있었다. 내가 가고자 하는 길이 있었을까? 모르겠다. 끝을 모르면서, 그것이 어떻게 될지 모르는 일말의 불안감을 안고서도 빤히 보이는 길을 걸어야 하는 때도 있다. 이것이 숙명인지 운명인지는 모르겠다. 다만 그걸 피하고 싶지는 않다. (June 4, 2014) 오돌개 모노가타리《自述》 13 오돌개 모노가타리 2013.06.10 12:09:51 상전벽.. 2020. 6. 4. 주꾸미, 낙지, 해녀가 찾아낸 침몰선박 대부도 고려선박 발견 발굴 소식에 붙은 댓글 1. 해양고고학 발견은 쭈꾸미 아니면 낙지가 전문가네. 2. 저게 고려선박인지는 최수종씨에게 물어보자 (June 4, 2015) *** 안산 대부도 인근 갯벌에서는 현재까지 고선박 2척이 발굴됐다. 두 척 모두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조사 인양했으며, 또 두 척 모두 고려시대 선박으로 확인됐다. 1호선은 2006년 발견됐다. 이후 이곳에서는 2호 선박이 출현했으니 대부도 2호선으로 명명한 이 고선박은 잔존 길이 9.2m, 최대 폭이 2.9m가량으로 기존에 알려진 고려 선박에 비해 크기가 작고 형태가 날렵한 편이다. 2호선은 2015년에 조사되고 인양됐으니, 이는 2014년 지난해 11월, 주변에서도 낙지잡이하던 어민이 발견해 신고함으로써 존재가 알려졌다. 낙지가.. 2020. 6. 4. 시멘트 틈바구니에 안착한 오동 오동은 습성이 특이해서 꼭 시멘트 틈바구니에다 뿌릴 내린다. 이 놈들 습성이 그런가 보다 한다. 그 틈바구니는 어찌 그리 잘 찾는지 모르겠다. 이 이파리 조만간이면 가을소리 내리라. 그때 나는 소년이로 학난성을 부를 것이다. 2020. 6. 3. 제주 해녀가 찾은 해저유적 수중조사와 개수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수중조사와 개수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제주 해녀가 발견한 신창리 수중유적 두 번째 발굴조사 시작 | 연합뉴스 제주 해녀가 발견한 신창리 수중유적 두 번째 발굴조사 시작, 임동근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6-02 09:40) www.yna.co.kr 제주 신창리 수중유적은 1983년 3월, 이 지역 해녀가 조업에 금제장신구를 발견하고 그런 사실을 신고하면서 처음 그 존재가 알려졌다. (아래 첨부사진은 모두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이어 그해 4월, 당시 문화재관리국(문화재청 전신)에서 수중조사를 진행한 결과 금제장신구 2점을 추가로 발견한데 이어 1997년에는 제주대학교박물관이 이 해역을 추가 조사해 중국 남송 시대 도자기(청자)를 확인했다... 2020. 6. 3. 도로 찾은 경주 남산 약수곡 부처님 머리 "청와대 녹지원 석불과 쌍둥이?" 경주 남산서 불상 머리 발견 | 연합뉴스 "청와대 녹지원 석불과 쌍둥이?" 경주 남산서 불상 머리 발견, 임동근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6-03 10:39) www.yna.co.kr 경주 남산 약수곡에서 통일신라시대 불두(佛頭) 발견 - 일제강점기 때 확인한 석조여래좌상의 머리로 추정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경주시(시장 주낙영)가 추진하고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원장 박방용)이 조사 중인 경주 남산 약수곡(석조여래좌상절터) 제4사지에서 통일신라 시대 석불좌상에서 분리된 것으로 보이는 불상의 머리(이하 ‘불두佛頭’)가 발견되었다. * 발굴현장: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산1-1번지 일원 이번 발굴조사는 경주 남산 약수곡(석조여래좌상절터).. 2020. 6. 3. 의성 작약밭에서 찾아낸 천오백년전 신라시대 무덤 1,500 year old tomb in Uiseong, Gyeongsangbukdo Province 경북 의성 대리리에서 삼국시대 의성지역 고유 무덤양식 고분 발견 -‘의성 금성면 고분군’(사적)과 유사한‘돌무지덧널무덤’형태 / 현장 공개 6.4. - 慶北義城大里里44號墳發掘 - 義城樣式類似積石木槨墳, 主副槨構造 *** 첨부 사진은 발굴조사단 제공임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재)성림문화재연구원(원장 박광열)이 지난 달부터 조사하고 있는 의성 대리리 44호분에서 삼국 시대 의성지역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무덤 형식인 ‘유사 돌무지덧널무덤’ 양식으로 추정되는 고분을 확인하였다. * 유사 돌무지덧널무덤: 나무곽 주변을 강자갈이 아닌 깬돌(할석)으로 채우는 의성지역의 독특한 무덤 형식 * 발굴현.. 2020. 6. 3. 김해 대성동고분군 제10차 발굴 화보 김해 대성동고분군서 도굴·훼손 흔적 없는 귀족 무덤 발굴 | 연합뉴스 김해 대성동고분군서 도굴·훼손 흔적 없는 귀족 무덤 발굴, 김동민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6-03 09:00) www.yna.co.kr 발굴성과 개요는 앞 기사를 참조토록 하고, 나아가 상세한 소식은 추후 기회를 별도로 마련키로 하거니와 우선은 화보를 통한 발굴 면모들을 본다. 관련 사진은 모조로 김해시 제공임을 밝힌다. 덧붙여 이번 제10차 발굴성과를 정리한 자문위 자료도 첨부한다. 10차 발굴성과 자문위 자료(대성동박물관) Deaseong-dong Tumuli, Gimhae 사적 제341호 김해 대성동 고분군 金海大成洞古墳群 It is located on a hilly area extending from east to .. 2020. 6. 3. Phallic Symbols in Korea 성기숭배 性器崇拜 성기 신앙물 性器信仰物 연대 미상 年代未詳 국립민속박물관 國立民俗博物館 복제 複製 Phallic-shaped Objects of Worship Undated National Folk Museum, Seoul Replica 성기性器 숭배는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종교적 주술 행위로, 남녀의 생식기를 생명의 근원으로 여겨, 그 형태나 모형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다. 현재 전승되는 성기性器 관련 신앙은 사람의 성기처럼 생긴 돌이나 지형地形을 기자祈子(자식을 기원함) · 마을수호 · 풍요 기원의 대상으로 숭배하거나, 남녀 성기의 모형을 나무 · 돌 · 토기 등으로 만들어 마을의 수호신으로 받들어 모신다. Phallicism is a type of religious sorcery that can be.. 2020. 6. 3. 야릇한 산딸기 산딸기가 남자들에게 야릇함을 자극하는 이유는 이를 제목에 내세운 70년대 동시상영 영화의 잔영이라 해도 좋다. 이런 류의 영화에 자주 주연한 여배우가 내 기억에 정윤희 이미경이 있었고 좀 시간이 흘러 언뜻 이름이 떠오르지 않는 쩍벌녀가 있다. 보이는대로 닥치는대로 따먹어 보니 그런대로 단맛이 난다.(2017. 5. 25) **** 누군가는 선우일란 마흥식까지 논급하더라...음큼한 사람들 2020. 6. 3. 논 가운데 선 산청 삼장사지 삼층석탑 Three-storied stone pagoda at Samjangsa Temple site, Sancheong, Gyeongsangnamdo Province, Korea. 28th May, 2012 경남 산청군 삼장사지 삼층석탑...논길을 걸어가야 한다. 현지 문화재 안내판은 아래와 같다. 국문 영문 모두 손대지 않는다. 삼장사지 삼층석탑 山淸三壯寺址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e of Samangsa Temple Site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Gyeongsangnam-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31 이 탑은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던 부재部材들을 모아 1989년에 복원한 것이다. 또절터에는 탑과 더불어 철조여래좌상鐵造如來坐像과 석등石燈도 있었다.. 2020. 6. 3. 이전 1 ··· 666 667 668 669 670 671 672 ··· 9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