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44

차기가 무섭게 가족 마일리지 잠식하시는 이 땅의 따님들 난 딸 없이 아들놈 달랑 하나라 딸이 있음야 늦둥이 아니라면 대체로 사회생활 초년생이거나 대학생 아니겠는가?아들놈 조카놈 행태는 충분히 분개했으니 이 따님들 행태로 내가 간접경험하는 공통분모가 있는데이 녀석들은 하나같이 가족 마일리지를 갉아먹는 잠충이라는 사실이 그것이다.친구들 혹은 주변 지인들더러 이젠 우리 나이엔 비즈니스 탈 때라 마일리지 써서 외국여행 다녀오자 하면따님 있는 집에선 거의 똑같은 반응이 나오는데 따님이 차기가 무섭게 가족 마일리지 다 써버려서 없다 한다.이 따님들은 무섭다.아버지 엄마 마일리지는 물론이고 할머니 할아버지 마일리지까지 박박 긁어가서 비즈니스 타고 다니시는 모양이라그게 아니라 해도 이코노미건 나발이건 다 긁어가는 모양이라정작 애미 애비가 쓸 마일리지가 없게 되는 모양이더라.. 2025. 1. 16.
지원은 쥐꼬리만큼, 간섭은 무한대인 공립박물관 내가 기억하는 역대 어느 정부건 문화정책 근간은 같아서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딱 이거다. 이걸 표방하지 않은 역대 권력은 없다. 하지만 진짜로 그럴까? 블랙리스트 사건이고 나발이 다 집어치고 공립박물관 문제만 보자. 이 공립박물관은 국가가 설립 운영 주체인 국립박물관에 견주어 지방정부가 그것을 하는 박물관 양태를 말한다. 다만, 지방재정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중앙정부 지원없이는 고사하는 일이 대부분이라, 특히 그 설립과정에서는 거의 절대적인 중앙정부 지원에 기댄다.나아가 운영에서도 이런저런 지원을 받아야 한다. 문제는 저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철칙이 공립박물관에 대해서는 유통하지 아니하는 헛구호라는 데 심각성이 있다. 공립박물관 운영과 관련해 중앙정부의 시종하는 흐름은 딱 .. 2025. 1. 16.
공립박물관, 언제까지 개인기 의존해 연명할 것인가?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를 호령한 알렉 퍼거슨이 맨체스터유나이티드를 이끌던 시절에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를 두고 한 말이던가?팀보다 위대한 선수 없다. 딱 이 상황에 해당하는 우리네 문화재 현장이 공립박물관이다. 이 공립박물관이 처한 여러 녹록치 아니한 사정은 내가 입이 닳도록 이야기했거니와, 그 무엇보다 나는 그것을 받침하는 법과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관련 학계를 향해서는 어줍잖은 정치경제계 흉내낸답시며 조찬세미나니 하는 짓거리할 때가 아니라 공립박물관 근간을 흔드는 불합리한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말을 주구장창했다. 어찌 이 문제가 한두 사람 개인기로 해결될 문제란 말이던가?하지만 그런 움직임을 박차고 일떠서 나서야 하는 사람들이 모조리 출신 성분을 보면 국립이라는 단물이라는 단물을.. 2025. 1. 16.
폼페이선 우거지상이 마라도나 앞에서는 주님 영접하듯 친구들이랑 이야기해 봐도 결론은 같다. 자식들이랑 여행은 생각보다 더 힘들다. 왜? 기호가 안 맞기 때문이다. 부모가 지향하는 지점, 그리고 애들한테 보여줬으면 하고, 나아가 공유했으면 하는 데랑 애들이 선호하는 지점은 분명히 다르다. 그럼에도 상호 교차하는 지점이 있어 그 지점을 찾아가야 하는 것은 맞지만 말처럼 쉽지 않다. 심지어 내 친구 아들놈은 아버지랑 유럽 여행 다녀오고서는 다시는 아빠랑은 여행 같이 안 간다 선언했단다. 내 짧은 경험으로 애들이 환장하는 데는 딱 두 가지라 쇼핑과 먹거리다. 이건 거의 동물적인 감각, 아니 동물적 감각을 뛰어넘어 먹거리는 어디서 찾았는지, 이 땅을 한 번 밟아보지 않은 놈들이 어찌 그리 맛집과 유명한 음식은 어찌도 그리 잘 찾아내는지 그 동물적 감각은 어디에서 .. 2025. 1. 16.
항상 긴장케 하는 당시唐詩 전철을 타고 오갈 때 벗 삼을 만한 것으로 당시 만한 것이 없다. 당시를 읽을 때는 항상 긴장한다. 다음 구절에서 무슨 말이 나올지를 모르기 때문이다. 같은 구나 같은 련 안에서도 놀라게 하는 표현들이 훅 들어온다. 그러면서도 배배 꼬아놨다는 생각이 안든다. 정신적으로 항상 긴장하게 만들면서도 몇 분 안에 단막극처럼 막을 내리는 당시야말로 전철 독서에 특화한 작품들이다. 당시는 동아시아의 보물이다. 그 어떤 문학작품도 당시를 따라 갈 수는 없다. 동아시아 낭만주의의 아버지이자모든 이 지역 문학작품의 어머니다. 2025. 1. 16.
혼자 일하는 자가 (늘그막에) 강하다 인간은 누구가 갈 때 되면 혼자서 가게 된다. 그리고 그렇게 가기 전에 이미 점점 혼자에 가까운 삶으로 걸어간다. 나이 60 이후의 인생은 조감하건데, 집을 지탱하는 기둥이 하나씩 부러지는 것과 같다. 무너지는 기둥이 집 구조를 지탱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빠지게 되면 일찍 문을 닫게 될 것이고 아슬아슬하면서도 오래 버티게 된다면 정신적 생산활동이 오래오래 전개될 것이다. 나이 60이 넘어가면 따라서 혼자 일하는 데 무조건 익숙해져야 한다. 주변을 보면 퇴직 이전까지 열심히 일하던 연구자가 그 후 그냥 뒷방 늙은이로 늙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혼자 일하는데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 무조건 혼자 일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요즘은 이렇게 일할 때 좋은 작업 파트너가 있다. AI라고.. AI와의 협업.. 2025. 1. 16.
깨알 같은 김별아 미실 작가노트 근자 강원문화재단 이사장 자리를 연임하게 된 소설가 김별아 선생이 나랑은 실은 그의 작품으로 말하면 미실로 인연이 이어졌다. 가깝게는 같은 연세대 문과대 출신이요,(그는 국문과 나는 영문과다) 학번은 내가 두 해 빠르나 실상 같은 시대 같은 신촌 공기를 호흡했으니 그때 인연이 있지 않을까 하겠고, 실제 그 좁은 문과대 건물을 오가며 마주친 날은 많았겠지만, 그 시절에는 그가 나를 몰랐듯이 그 또한 나를 알 턱이 없었다. 작가로서만이 아니라, 개인 김별아라는 이름을 내가 각인하게 된 때는 그가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으로 미실이 당선되었을 때였다. 세계일보가 제정한 이 초대 문학상은 당시로서는 상금이 1억원이라 해서 화제가 되었거니와, 그에서 미실이라는 소설로 그가 당선자로 선정되었다 해서 내가.. 2025. 1. 16.
고려 태조 왕건의 태실 고려 태조 왕건 태실이 어디 있는지는 고려사랑 고려사절요에는 탈락했다. 왜 없는가? 있었는데 기록이 누락됐다고 나는 본다. 거란 침략에 목종 이전 7대 실록이 모조리 불타서 실제 고려사랑 그 절요 목종 이전 기록은 보면 다 쥐어뜯긴 헤밍웨이 다랑어 같아서 빈약함을 면치 못하거니와, 그런 과정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대신 조선시대 문헌에 더러 그의 태실과 관련한 증언이 남았으니 아래 소개하는 송도지松都誌가 개중 하나라, 이 송도지를 소개하기를 고려高麗의 서울이던 개성開城의 사적史跡(史蹟)을 적은 지지地誌. 조선시대 16대 인조 때 김육金堉·조신준曺臣俊이 지은송도잡기松都雜記를 뒤에 증보增補 개정改定하여 송도지松都誌라 했음. 계속 증수增修되다가 21대 영조 때 오수채吳遂采가 속지續誌 1권을 증보增補, 22대 정.. 2025. 1. 16.
고려시대 땅보기 전문 학예직 선발 시험은? 고려시대에 땅을 점지하고 하는 관련 업무를 종사하는 전문 기관과 전문학예직이 따로 있었으니, 그런 일 전반을 지리업地理業이라 했다. 이들이 주로 하는 일은 왕을 비롯한 왕실 사람이 죽었을 때 그 땅을 점지하거나, 태를 어디다 묻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 또 신도시 건설 후보지를 정하는 일 따위로 실은 업무가 막중했다. 요새 점치는 일을 우습게 보는 경향이 다대하나, 웃기는 얘기. 지가 닥치면 다 지관에 기대게 되어 있다. 어찌 저와 같은 땅을 점지하는 일을 함부로 할 수 있겠는가? 그런 일을 관장하는 학예직 선발 방식은 고려사 권73 지志 권 제27 선거選擧1에 정리되어 있으니 관련 항목 기술은 아래와 같다. 凡地理業式, 貼經二日內, 初日, 貼新集地理經十條, 翌日, 劉氏書十條, 兩日, 並通六條以上. 讀地.. 2025. 1. 16.
전 세계 미라와 그 사회사에 대한 대중서를 씁니다 어차피 쓰기로 한 것-. 감출 것 없이 그냥 블로그에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어쨌건 미라 연구를 한다고 했던 사람이고, 김단장께서는 이 연구를 옆에서 계속 지켜본 바, 전 세계 미라와 그 사회사에 대한 대중서를 쓰기로 했습니다. 분량은 얼마나 될지 모르겠습니다. 전문서나 전공서적이 아닙니다. 철저한 대중서입니다. 재미있게 읽히도록 쓸 것입니다. 읽고나면 그 사회와 사람들, 인생과 역경에 대해 한번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쓸까 합니다. 다 쓰고 나면 몇 권이나 될지 모르겠는데아무튼 씁니다.진행 상황은 김단장께서는 침묵하실 것 같아제가 틈틈이 알려드리겠습니다.  P.S.) 이렇게 여기 공개하는 이유는 파부침주, 불퇴전의 결의를 다지기 위해서 입니다. 2025. 1. 16.
제러드 다이아몬드 글에 대한 평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최근 제래드 다이아몬드 책들을 통독하고 있는데 이전에 단편적으로 이해하던 것보다 훨씬 잘 쓴 책이라는 것을 통감하고 있다. 이 양반 책은 그냥 여기저기서 줏어 듣고 떠드는 이야기가 아니라 자신의 오랫동안 필드웍에서 얻은 경험을 확지충지하면서 나온 책이라 최근 다이아몬드 흉내를 내서 책을 좀 팔아 먹었던 "유발 어쩌고"하는 친구의 책과는 차원이 다른 책이다. 여러 권의 책을 내는데 전체 주제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도 매우 탄탄하고 글을 보면 하루이틀 준비해서 쓴 글이 아니며, 지식 이전에 오랫동안 사색의 결과라 여느 범부들이 평가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는 생각이다. 대략 그가 지금까지 쓴 책들을 보면 자신이 젊은 시절 축적했던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다 했다는 생각이다. 인생에 있어.. 2025. 1. 15.
학회지 장사, 등재지 영업으로 빌딩을 매입한 어느 분 이야기 학술잡지들을 국가 권력이 개입해 그 등급을 나누어 어떤 건 등재지라는 딱지를 주고, 또 어떤 것은 등재후보지라 매기는 제도가 천부당만부당함은 내가 하도 여러 번 지적해서 이젠 목이 아프지만 누누이 다시 이야기하지만 이 제도를 도입한다 했을 적에 국가가 왜 학문에 개입하느냐 길길이 반대하던 사람들이 한시제도인 이걸 없앤다고하자 이번엔 왜 없애냐고 해서 제도를 존속시킨 것이 바로 같은 사람이다. 각설하고, 도입 취지 자체야 그럴 만한 곡절이 있었고, 그래서 도입된 것이기는 하지만 언제나 이를 이용 악용하는 놈들이 독버섯처럼 자라기 마련이라대학을 필두로 등재지 혹은 등재후보지 이상 논문투고자라는 제한을 임용에 두게 되면서, 모든 학회는 어케든 등재지가 되기 위한 부림을 쳤으니, 그래야 존속이 어느 정도 가능한.. 2025. 1. 15.
어느 황당한 논문심사평 바로 앞 신동훈 교수 글논문심사: 지켜야 할 금도와 연동해서 내가 당한 황당한 사건 하나를 상기해 본다. 지금은 내가 논문을 쓰는 일이 거의 없으나 한때는 많이 썼다.그런 까닭에 게재 심사라는 것을 받기도 했으니물론 그 반대로 더러 지금까지도 심사자로 다른 사람 논문을 심사하기도 한다. 심사를 돌릴 때는 필자가 누구인지를 알 수 없게 한다.하지만 이 빤한 무대에서 참고문헌보고 각주 보면, 그리고 내용까지 훑으면 10개 중 9개는 필자가 누구인지 안다. 그럼에도 심사자는 객관화한 위치에서 논평을 해야 한다. 언제인가 내 논문을 심사한 자의 심사평가서가 날아들었는데, 이 심사자가 필자를 김태식으로 단정하는 심사평가를 했다. 평소 필자가 주장하는 대로...운운하는 말을 적시했는데 이런 놈은 심사자 자격이 없다.. 2025. 1. 15.
한국에서 학회 학회지가 난립하는 이유의 추정 우리나라 학계는 비슷한 학회와 학회지가 유난히 많다. 비슷한 이름의 학회, 학회지가 난립한다는 말이다.필자도 전공은 다르지만 가끔은 이런 분야 학회지도 투고하기 위해 물색해보면다른 분야에 비해 비슷한 학회가 너무 많고유사한 학회지도 너무 많다. 물론 다른 분야도 유사한 현상은 있겠지만 이 정도로 심하지는 않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고, 또 필자가 문외한의 입장에서 뭐라 이야기하기도 그렇지만.그 이유를 한 번은 생각해 볼 필요 있지 않을까. 필자 보기에 학회지 투고 후 심사평을 무례한 방식으로 받으면그렇잖아도 몇 명 안되고 김단장께서 이야기하듯이좁은 동네에 어떤 경위의 심사서인지 뻔히 짐작이 갈텐데 (한국학계는 기본적으로 국내에서 학회 해 봐야 같은 전공이 몇 없어 아무리 이름을 가려도 익명성 보.. 2025. 1. 15.
Carpe diem, 씩 쪼개는 해골이 주는 슬로건 웃고 있는 해골이다.로마 모자이크 디테일이라 출토지는 폼페이.서기 1세기 무렵 흔적으로 본다.폼페이가 베수비오 화산재에 묻힌 때가 서기 79년이니 그 전이다.저 해골을 grinning 이라 묘사하는데 씩 쪼개는?뭐 이 정도 어감이 아닐까 하지만 진짜로 그런 표정인지는 잘 모르겠다.저 시대 로마엔 저런 해골 바가지가 부쩍 많이 등장한다.의미는?카르페 디엠 carpe diem이다.기왕 죽어 저리될 거니 살아 생전에 마음껏 즐기라 설파한다.그래 기왕 한 줌 흙으로 돌아갈 거 까잇거 뭐 있겠는가?Seize the day! 2025. 1. 15.
헤롱헤롱한 나날들 내가 10대, 20대도 아닐진대 석달이 어찌 사흘로 치유가 되겠는가?귀국 사흘을 지나고 나흘째가 접어드는데도 갈피 잡지 못하고 계속 헤롱헤롱이라잠은 대중이 없어 밤이건 낮이건 쏟아져서 아무 때나 졸려서 자고 피곤해서 자니 잠이 잠을 부른다. 그에 견주어 이제 스물네살 꽉 채운 아들놈은 스케이터 타러 맨날맨날 나가고 고등학생인 조카놈은 귀국하는 그날 바로 농구대회 있다며 출전하러 코트로 갔다. 이거 보면 노세노세 젊어서 노세가 틀린 말 하나도 없고 그래서 로마인들이 그리 카르페 디엠 carpe diem을 부르짖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이거야 늙어봐서야 비로소 절감하는 일이고, 늙음을 한탄해본들 무엇에 쓰겠는가?꼭 밀린 일들은 아니지만, 그래도 만나야 할 사람들은 오후가 되어 부시시 일어나 가까운 데를 중심.. 2025. 1. 15.
괜히 있어 보이는 하버드라는 간판, 그 중국사 시리즈의 경우 본래 저 하버드 중국사 시리즈가 유명하기는 하다. 다 살핀 것은 아니나 몇 종 통독하니, 하나하나 주옥을 방불하는 명작이더라. 무엇보다 저 시리즈는 아주 전문적인 학술서임에도 그렇기에 읽기 어렵다거나 부담을 주는 그런 책이 아니다.읽어내려갈수록 빨려들어가는 그런 느낌이 있다.나는 매양 가장 학술적인 글이 가장 대중적이라는 말을 쓰는데, 그에 딱 맞는 시리즈가 바로 저 하버드 중국사 시리즈다. 그렇다면 하버드이기에 저런 책이 가능했을까?나는 아니라고 본다. 우연히 그런 책이 하버드중국사 시리즈로 나왔을 뿐이다.그건 저 시리즈를 기획한 출판사와 그 편집책임자 힘이라고 본다.그런 의지 노력만 있다면, 하버드대학보다 훨씬 수준 떨어지는 대학, 혹은 그런 출판사에서도 가능하다. 나 역시 저런 출판기획이라는 것을 .. 2025. 1. 14.
논문심사: 지켜야 할 금도 필자는 평생 논문을 쓰며 살아온 사람이라 지금까지 쓴 논문이 30년간 300편이 조금 넘으니 심사평도 최소한 300 번은 넘게 받아봤겠다. 물론 한 번에 채택되는 경우는 없으니 재심사평까지 치면 대략 500번 이상의 심사평을 받아보지 않았을까 싶다. 논문심사를 받아 보다 보면 정말 심사자들도 이 세상에는 별의별 사람이 다 있다는 생각을 하는데, 가장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스타일의 심사평은읽다 보면 심사자의 오만방자한 평이 눈쌀이 찌푸려 지는 경우가 가끔 있다. 이 문제는 최근 해외에서도 연구윤리 문제로 다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심사자들이 투고된 논문을 심사하면서 지나치게 무례한 경우가 있어, 이를 경고하는 이야기도 제법 있다. 논문 심사는 투고자보다 상위에 있는 사람이 하는 것도 아니고, 심사를 받는.. 2025. 1. 14.
곤히 잠든 아이들, 그리고 내가 해야 할 일 조금 전까지만 해도 출출하다며 고기 궈 달라 해서 양고기 연어 배터지게 먹던 아이들이다.금방 다시 골아떨어져 저리 잔다.저러곤 다시 일어나 배고프다 눈치 줄 아이들이다.흔히 저 나이를 쇳덩이도 소화한다지만 이 나이가 되고 보니 자면서도 저 고깃덩어리까지 금새 소화하는 저들이다.나도 저런 때가 있었으리라. 기억에서 아스라히 사라져 그렇지 왜 없었겠는가?저놈들 꿈이 무엇인지 모르고 또 훗날 어떤 일을 하게 될지 모르나 내가 해야 하는 일이란 결국 잘 먹이고 잘 재우는 일 아니겠는가?곤히 잠든 아이들 보며 별의별 짧은 생각들이 물오른 작두타기 무당마냥 솟음한다. (2024. 12. 22) 2025. 1. 14.
탁발탁발한 탁발씨, 모용모용한 모용씨 북방 유목 민족은 애초에 성씨가 없었던 듯하다. 중국과 접촉하면서 성씨를 자꾸 물으니 그렇게 해서 생겨났다.우리는 성씨가 필요하다 간주하나, 없는 사회에서는 그 필요성을 전연 느끼지 못한다. 하긴 일본 천황가 성씨 아는 사람 있음 나와 보라 그래?결국 성씨를 사용하는 외부가 이런저런 이유로 물으니, 그네가 사용하는 성씨 사용 내력과 그 패턴을 익힌 다음 스스로 규정한 것이 성씨라현재 추적 가능한 흔적으로 가장 뚜렷하게는 지금의 내몽골 북쪽 혹은 흑룡강 쪽에서 흥기한 유목민 선비鮮卑 또한 그러해서 훗날 이들이 추워서 그랬는지 아니면 다른 이유도 있었을 텐데 야금야금 남쪽으로 치고 내려오다 급기야 중원 대륙 북쪽을 완전히 먹어버리는 지경에 이르는데 그렇다고 이런 권력이 오래가겠는가?저네가 건국한 북위北魏는 .. 2025. 1. 14.
[고총고분, 그 환상의 타파를 위하여] (3) 일본열도에서 퇴출되는 거대 무덤 나는 무덤 양식 변화가 단순히 유행 때문이 아니라, 또 무덤이 보수적인 것과는 눈꼽만큼도 관계없이, 그 시대 상황, 특히 국가 의지에 따라 변화했음을 계속 지적했거니와, 그 똑같은 양태가 실은 바다 건너 일본열도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한국고고학에서도 주로 신라시대 적석목곽묘를 지칭할 때 쓰는 고총고분高塚古墳이라는 말은 말할 것도 없이 일본의 고분시대古墳時代에서 빌려온 싸구려 외국산 개념이지만 그런 대로 한국고고학 시대 구분을 논할 때 용이한 점은 없지는 않으니 문제는 그 통합적인 이해다. 예서 통합적인 이해란 논란이 없지는 않겠지만 동아시아를 하나로 바라보는 관점을 말한다. 지금의 국경이라는 개념을 없애고 같은 눈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말한다. 이를 바라볼 때 이상하지 않은가?그 명칭이 무엇이건 왜 일본.. 2025.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