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616

대동보의 근대성 공통의 시조로부터 갈려 나온 모든 후손을 몽땅 다 적어 놓은것을 대동보라 하는데 사실 파의 시조로 부터 나온 모든 후손을 적는 파보도 마찬가지이다. 지금 집집마다 꽂힌 족보들은 그 안에 근대성을 담고 있다. 지금 족보들은 적사차별도 없다. 모든 후손을 골고루 다 적는다. 족보를 봐서는 자기 집 족보가 돈 주고 산 것이 아니라 해도 도대체 적자인지 서얼인지 알 수가 없다. 이것은 현대 족보의 근대성의 표현이다. 조선시대에는 호적만 봐도 적서의 구분이 어느 정도 가능했다. 물론 19세기 이전까지의 이야기다. 호적에는 군역상의 임무, 즉 직역을 적게 되어 있는데 적자와 서자로 직역이 달랐다. 예를 들어 유학은 서자는 18세기 초반까지도 쉽게 못 적었다. 족보에 업무, 업유 등으로 적어 놓은 경우 높은 확률로 .. 2025. 7. 20.
노비가 양반 되기 사실 반 상상 반으로 조선시대 노비가 양반되는 과정을 생각해 보면, 우선 노비가 외거하면 주인에게 예속되어 있더라도 자기 재산 축적이 가능하며심지어는 땅도 자기 땅을 사고 파는 것은 물론, 노비의 노비도 있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18-19세기가 되면서 양반층 중에 경제적으로 사실상 신분을 유지 하기 어려울 정도의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양반 중 장자 상속 등으로 여전히 많은 토지를 집적하고 있는 상위의 사람들을 제외하면양반층과 평민, 심지어는 노비들 중에도 경제적으로 이들을 앞서기 시작하는 이들이 나오기 시작했다고 본다. 따지고 보면 어차피 노비가 자기 성을 갖고 나중에 양반이 되더라도 모두 다 도망가서 딴 동네에서 성공했으리라 보면 착각이다. 대부분은 자기 조상 대대로 노비로 살던 동네에서 이들은 성공해서.. 2025. 7. 20.
한국과 일본은 왜 달라졌는가 이는 필자가 오랫동안 지닌 의문이다. 한국과 일본은 도대체 왜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되었는가.나라가 다르니 역사도 다르다라고 간단히 이야기하고 치워 버린다면이 세상에 고민할 것은 아무 것도 없을 것이다. 노벨상을 타는 네안데르탈인 유전형질을 백 번을 더 규명하면 뭐하겠는가원래 그렇게 되어 있다는데. 그런 생각이면 학문도 필요 없고 연구도 필요 없는 것이다. 생각해 보면 한국과 일본은 달라져야 당연한 나라가 아니다. 역사서는 이 두 나라가 오래전 매우 비슷한 시스템 위에 놓여 있었음을 웅변하고 있다. 삼국지 동이전에서 보이는 한전과 왜인전은 사실 거의 비슷한 사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한국의 정치 사회적 작동원리를 그대로 이식한 고분기, 아스카 시대, 나라시대까지 이어졌고, 중국식 왕조를.. 2025. 7. 20.
록하가장잡록, 봄날 화전놀이를 남녀가 치고받은 18세기 내방가사 『록하가장잡록』은 작자와 창작시기가 밝혀진 내방가사 , , 가 필사되어 있는 책이다. 이 세 편 내방가사는 봄날 화전놀이를 중심으로 작은 소동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다.남성이 여성들 화전놀이를 조롱하는 를 짓자, 여성이 그에 반박하는 를 지어 반격하는 내용이다. 세 작품은 하계 이씨 집안에서 가승되어 온 것으로 이본이 없는 유일본이다.여성이 한글을 익혀 문학작품을 창작하는 데까지 나아간 사례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한글문화사적 의의를 지닌 작품들이다. 『록하가장잡록』 (1746년), 국립한글박물관 소장The 『Rokhagajangjaprok』 is a manuscript that contains the naebang-gasa(Korean lyric verse created by women) , , and ,.. 2025. 7. 20.
폴란드 남부서 2,000년 전 매장지서 희귀 로마 유물 작년 9월에 공개된 소식이라 이르기를 폴란드 남부 카지미에르자 비엘카Kazimierza Wielka에서 진행된 발굴 작업에서 희귀하고 중요한 2천년 전 로마시대 유물을 발견했다 한다.크라쿠프Kraków 야기에우워스키 대학교Jagiellonian University와 고고학 전문 회사 프린시파트Pryncypat 연구진이 이끄는 조사팀이 신석기 시대부터 초기 청동기 시대까지 160점 유물을 회수했다.가장 주목할 만한 발견 중 하나는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후 2세기 사이, 로마 시대 이전 후기late pre-Romanperiod에서 초기 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묘지였다. 이 묘지에는 시신을 매장하는 방식과 화장하는 방식이 혼재되어 있어 당시 다양한 매장 관습을 반영한다.연구진은 매장 무덤 23기와 .. 2025. 7. 20.
국역 일기에서 홀대 받는 노비들 재미있는 점은조선시대 일기의 국역본에는 등장인물들을 알기 쉽게 요약하여 정리한 경우를 보거나관련 논문들들 보면일기의 저자와 관련있는 식자층, 즉 그 일기에 나오는 당시의 양반들에 대해서는 경력과 출생 사망 연도, 자와 호에 이르기까지 자세하게 적어두는데 일기에 자주 등장하는 집안의 노비들에 대해서는 등장인물 요약에서 항상 빠진다는 점이다. 사실 조선왕조 일기에서 정말 중요한 부분은필자가 보기엔 이들이 무엇을 먹었는가, 그리고 노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하는 것이양반들끼리 누가 누가 만나 밥을 먹었네, 술을 마셨네 하는 잡문들 보다 훨씬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노비들의 경우 그 혈연 관계에 대해서도 제대로 정리된 논문이나 책의 요약 한번 제대로 본 기억이 없다. 사실 양반들끼리 만나 술마시고 밥먹고 시를 읊고.. 2025. 7. 19.
기후변화 시대, 근간을 뜯어고쳐야 하는 문화재 정책들 이 이야기 주구장창했다. 하지만 국가유산청은 들어쳐먹을 생각도 없으니 들어쳐먹을 때까지 계속 하련다. 산성 발굴 문제의 심각성이다. 내가 어린 시절 칡캐서 팔기 바람이 불었다. 나 역시 그 몇 푼 안 되는 돈 번다고 온 산을 뒤지며 칡을 캐다 팔았다. 그 이듬해 홍수가 났다. 온 동네가 아작이 났다. 박정희 시대 사방공사 산림녹화가 이제는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시절이었는데, 그 산 곳곳에 사태가 났다. 그 사태가 난 곳, 진원지를 내가 조사해 보니 거의 다 칡을 캔 자리였다. 그 칡을 캔 자리에 물이 스며들어 산사태가 난 것이다. 산은 벗기는 순간 저런 홍수에는 쥐약이라 그 생채기로 물이 스며들면 사태가 날 수밖에 없다. 그 산 곳곳을 고고학이 생채기를 내고 있다. 발굴이라는 이름으로 산성을 파제끼고, .. 2025. 7. 19.
알렉스 헤일리의 뿌리 ROOTS 지금 세대는 잘 모르시겠지만 필자의 세대가 익숙한 미드 중에 뿌리라는 작품이 있다. 서아프리카에서 잡혀와 노예가 되고 그 후손의 후손이 이어져 현대 미국의 작가가 된 집안의 이야기인데알렉스 헤일리라는 작가가 자신의 경험담을 적은 실화 반 픽션 반의 소설이라 하겠다. 이 소설은 티비 드라마로도 만들어져 공전의 히트를 쳤었는데 한국에는 소설의 단계가 아니라 미드의 단계에서 수입되어 우리나라에도 적잖은 여파를 미쳤다.이 드라마는 사실 미국 60년대 흑인민권운동의 연장선상에 있다 할 만한데 60년대의 민권운동으로 각성한 흑인들이 망각 속에 묻혀있던 자신의 뿌리를 찾아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이 소설의 작가는 그 뿌리를 1767년, 아프리카에서 사로 잡혀 노예가 된 쿤타킨테라는 사람에게 까지 거슬러 올라가 찾게 .. 2025. 7. 19.
잃어버린 중세 이야기 '웨이드의 노래'가 마침내 해독되다 한 세기 넘게 학자들을 혼란에 빠뜨린문학적 수수께끼가 마침내 풀렸을지도 모른다.케임브리지 대학교 연구원들이 '웨이드의 노래The Song of Wade'로 알려진 잃어버린 중세 시 일부를 재해석하여 그 의미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었고, 제프리 초서Geoffrey Chaucer가 자기 저서에서 이 이야기를 어떻게 암시했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재정립했다. 1896년, 유령 이야기로 유명한 케임브리지 학자 M. R. 제임스James가 처음 발견한 웨이드의 노래The Song of Wade 유일한 발췌문은 12세기 라틴어 설교에서 발견되었으며, 여러 줄 영어 구절이 포함되어 있었다.제임스와 그의 동료 이스라엘 골란츠Gollancz는 이 구절들이 사라진 낭만적인 시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확인했다.그러나 이후 .. 2025. 7. 19.
바나나 값이 올라 제사 지내기 힘들어지다 흔히 차례나 제사를 지내야 할 철이 되면 사과나 배값이 항상 화제가 된다. 사과 값이 너무 비싸서 차례 지내기 부담스러워졌다던가. 그런데 사과는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사람들이 먹기 시작한 것이 100년 조금 넘었을 뿐이다. 과거에 대구능금, 대구사과가 유명했다는데 능금이건 사과이건 간에 우리나라는 19세기 말 이전에는 사과는 사람들이 즐겨 먹는 과일이 아니었다. 이 때문에 허생이 독점하여 떼돈을 벌었다는 제수 음식에도 대추ㆍ밤ㆍ감ㆍ배ㆍ감자ㆍ석류ㆍ귤ㆍ유자 등이 나오지사과는 없다. 사과는 20세기 초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도입되어 처음 재배가 시작되었다고 하니사실 바나나나 사과나 그게 그거인 셈이다. 차례 음식으로 왜 사과값만 따지나? 바나나값도 앞으로는 같이 따질 일이다. 이런 사과를 놓고 홍동백서니 하면서.. 2025. 7. 19.
에트루리아 미도굴 바위 무덤 발굴 베일러 대학교Baylor University가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산 줄리아노 고고학 연구 프로젝트San Giuliano Archaeological Research Project 고고학도이 희귀한 온전한 에트루리아 무덤 하나를 발굴했다.이 발견은 최근 몇 년 동안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로 평가된다. 이 팀은 2016년부터 로마에서 북서쪽으로 40마일 떨어진 산 줄리아노San Giuliano 유적에서 작업했다.그동안 그들은 고대 에트루리아 마을 주변에 있는 600기가 넘는 무덤을 기록했지만, 봉인되어 이전에 훼손되거나 약탈되지 않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기원전 400년 무렵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 매장실은 작은 집 모양으로 바위를 파고 만들었다. 고고학자들은 안에서 조각된 돌 침대에 누워 있는 네.. 2025. 7. 19.
역사서술을 바꿨을지도 모르는 호적 요즘 종종 나오는 이야기 중에 16-17세기에 우리나라는노비가 너무 너무 많았던 나라로 양반집 농사는 수백 명에 달하는 노비 사역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종종 온라인에 보이며 이와 관련하여 방송도 탔던 것이 바로 "추노"로 아는데, 사실 우리나라 16-17세기 상황이 분재기나 일기 등 전적이 소개 되면서 보다 잘 알려진 덕분도 있지만 이 시대를 우리가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잘못된 생각을 하게 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왕조실록 등에는 이런 이야기 충분히 적혀있지도 않고 무엇보다 집집마다 전하는 족보에는 집집마다 양반들 후손이었던 고로 16-17세기에 이렇게 노비가 많았던 것은 의외의 사실로 받아들여진 측면도 있다고 본다. 그런데-. 기록으로서 족보는 별로 믿을 만하지 않다는 이야기도 했거니와 지금 집집마다.. 2025. 7. 19.
사라진 트라키아 트리발리 왕 궁전 불가리아서 발굴 브라차 도심서 출현, 현지? 이전? 보존방식 현안 대두 불가리아 고고학자들이 최근 이 나라 고고학 역사상 가장 놀라운 발견 중 하나로 손꼽히는 유적을 발견했다.바로 오랫동안 찾아 헤매던 강력한 트라키아 왕, 강력한 트리발리 부족Triballi tribe 왕의 궁전과 무덤이다.이 놀라운 발견은 불가리아 북서부 브라차Vratsa 중심부에 신축 아파트를 짓는 공사 중에 발견되었으며, 이 전설적인 왕궁을 찾기 위한 50년간 노력에 마침표를 찍었다. 이번 발견은 개발업자들이 발굴 작업을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처음에는 12~14세기 중세 묘지로 추정되는 곳을 발견했다.그러나 이 고고학적 층 아래에서 연구팀은 전혀 예상치 못한 것을 발견했다. 바로 크레피스crepis라고 알려진 거대한 석조 단상이었고, 그 아래.. 2025. 7. 19.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 지구력 운동에는 불리 에너지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네안데르탈인 변이Neanderthal variant가 엘리트 운동선수 달성 확률을 50%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관련 연구성과를 인용한 라이브 사이언스가 19일(한국시간) 보도했다. 과학자들이 네안데르탈인에게서 유전된 유전자 변이가 운동 능력을 제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변이는 현대 유럽인 약 8%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골격근 에너지 생성에 중요한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 7월 10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된 한 연구에서 연구진은 2,700명 이상을 분석한 결과,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변이Neanderthal gene variant를 보유한 사람들이 변이가 없는 사람들보다 세계 최고 선수가 될 확.. 2025. 7. 19.
고려에 대해 순절한 씨족은 얼마나 있었을까 각 집안 족보들 보면 여말선초에 무너져 가는 고려왕조를 위해 충성을 안 바쳤다는 씨족이 드물다. 예를 들어 영조 때 딱 두 사람 이름만 전해졌다는 두문동 같은 경우 그 이후 확대생산되어 공문 72 제자처럼두문동 72명 이름이 다 만들어진 것도 모자라 72명 안에는 안들어 갔지만 우리 조상도 두문동에 있었다는 믿거나 말거나 이야기까지 겹쳐 두문동 이야기는 조선후기 책으로도 여럿 나올 지경이 되었다. 고려말에 멸족한 씨족이라는 것이 물론 있을 수도 있겠는데, 그 숫자는 생각보다 많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이 필자 짐작이다. 필자 집안 족보도 상고하면 고려시대 내내 단계로 내려오다가 (이것도 할 말이 많은 부분인데 단계로만 내려올 리 있겠는가? 다 망실되고 딱 한 집안만 살아남았다고 본다)몽골간섭기 시대에 소위 .. 2025. 7. 19.
책에 묻혀 지낸 나날들, 그것이 키운 건 오만방자였다 현역 기자 시절 한 단면이라 상기해 둔다. 탑재 시점을 보니 11년 전 오늘 2014년 7월 19일이라, 종로 수송동 연합뉴스 편집국 문화부 내 자리다. 이미 현역 기자로는 고참급에 속해 당시 차장이었던 나는 문화부에서 크게 두 가지 분야를 전담했으니 문화재와 학술이 그것이다. 저 중에 문제는 학술. 이게 참말로 골이 아파서, 그것이 커버하는 범위가 실은 아주 묘해서 안 걸리는 데가 없다. 저 학술을 담당하면 출판 또한 겸하게 되는데, 이른바 학술서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은 덮어놓고 학술 담당이라출판사에서 소개해 달라는 책이 쏟아져 들어온다. 하지만 문화재를 하면서, 기타 학술 관련 움직임도 커버하면서 학술 출판까지 한 사람이 한다? 솔까 불가능하다.그 많은 책을 어찌 소화한단 말인가? 결국 선별을 할.. 2025. 7. 19.
소학, 가장 많이 읽었으나 가장 고리타분한 책 "아마도 조선에서 가장 많이 읽힌 책을 꼽으라면 소학小學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이름의 소학서가 활자와 목판으로 간행되고, 또 많은 사람들이 이를 필사하여 읽었다" 근자에 '조선의 소학-주석과 번역'(소명출판)이라는 노작을 낸 정호운이 서문에서 한 말이다. 하지만 이 말 조심해야 한다. 판본이 많고, 주석이 많고, 필사가 많다 해서 그 책이 정말로 많이 읽혔거나 '인기'가 있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인기와 판본은 별개다. 내 아무리 봐도 정호운은 인기와 판본을 혼동한 듯하다. 이는 조선시대 사상사를 전공하는 사람들한테 나타나는 현상의 전형이다. 소학 따위가 재미없기는 그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인기 있는 책은 따로 있었다. 판본도 없고, 필사도 없고, 한글번역본도 없는 것이 그런 경우도 있었.. 2025. 7. 19.
"지속 박멸해야" 미국 농업도 멧돼지로 골머리 미국 조지아 농업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요인은 날씨, 질병, 해충뿐만이 아니다. 조지아 대학교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야생 멧돼지wild pigs는 농장과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원인으로 밝혀졌다. 워넬 임업 및 천연자원대학Warnell School of Forestry and Natural Resources 연구진은 야생 멧돼지가 재정적, 환경적 손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지만, 농부들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말한다. "안타깝게도 야생 멧돼지와 그 영향은 생각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이 연구 주저자이자 조지아 대학교 박사과정생인 저스틴 스미스Justine Smith는 말했다."이들은 우리의 토종 야생 동물과 식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엄청난 파괴력을 지녔으며, 막대한 피.. 2025. 7. 18.
금속탐지가들이 찾아낸 보물들 2024년 7월, 영국 워링턴 검시관 법원Warrington Coroner’s Court에서 공개된 유물들이라, 체셔Cheshire 전역에서 수습된 것들이다. 1996년 제정된 보물법Treasure Act 1996에 따라, 보물로 여겨지는 물건을 발견한 사람은 검시관coroner에게 보고하여 검시를 통해 그 가치를 확인해야 한다. coroner란 시신을 염두에 둔 말이지만 이 경우는 검시관보다는 유물 평가인 정도로 이해하면 좋지 않을 성 싶다. 아무튼 저 보물들은 그때 평가를 받기 위해 법원에서 공개한 것들이다. 따라서 저런 유물들은 거개 금속탐지가들이 발굴한 것들이다. 흥미로운 발견물 중에는 샌드바흐Sandbach 인근 아클리드Arclid 에서 발굴된 기원전 300년에서 기원전 200년 사이 철기 시대.. 2025. 7. 18.
다이어 울프보다 모아 새 복원이 어려운 이유 https://youtu.be/cg5skhUStRI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Colossal Biosciences)는 날지 못하는 거대 새인 모아moa를 부활시키기 위한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회사의 최근 다이어울프 프로젝트dire wolf project는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모아는 멸종 복원de-extinction을 위한 더욱 야심 찬 목표가 되었다.멸종된 다이어울프dire wolf를 되살렸다고 주장하는 생명공학 회사가 모아Moa라는 거대 멸종 조류를 부활시킬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다이어울프가 실제로 부활한 적이 없으며, 모아를 복원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려울 것이라고 말한다. 이 문제를 라이브 사이언스가 최근 특집으로 다뤘다. 이달 초, 텍사스에 본사를 둔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 2025. 7. 18.
고양이는 왜 콘크리트판을 좋아할까? 고양이 주인들은 고양이 친구들이 조금은 괴짜일 수 있음을 안다. 비닐봉지를 핥는 것도 그렇고 집고양이들은 확실히 이상한 버릇이 있다.최근 일부 고양이 애호가들은 이 반려동물의 또 다른 이상한 집착, 바로 콘크리트에 대한 집착에 주목한다.실제로 어떤 고양이 주인들은 철물점에서 직사각형 콘크리트 포장재를 사서 집에 가져가 고양이에게 주기도 한다. 그렇다면 고양이는 왜 콘크리트를 그렇게 좋아할까? 라이브 사이언스가 최근 이 문제를 다뤘다. 고양이와 콘크리트에 대한 직접적인 과학적 연구는 없다. 하지만 한 전문가는 일부 고양이가 콘크리트 블록 위에서 뒹굴고, 긁고, 구르는 것을 좋아하는 이유에 대한 몇 가지 가설을 제시했다.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생물학 교수이자 "고양이의 야옹: 사바나에서 소파로 진화한 .. 2025. 7.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