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0038 빌라 아드리아나 Villa Adriana, 토목황제의 별서別墅 다시 복습 티볼리 Tivoli 는 로마서 동쪽으로 대략 이십키로 떨어진 산간이다. 라틴평원에선 드물게 산이 있고 로마서 가차우니 이곳에다 토목황제 하드리안은 피서지 별장을 맹글었다. 이곳 빌라 데스테와 빌라 아드리아누스는 세계유산이다. 한국 중국인 없어 좋다. 이 두 민족이 없다는건 이 역사도시가 아직은 복닥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내가 이곳을 찾은 까닭은 조만간 대전 복귀가 유력한 문화재청 강모 원장의 강력한 추천이 있었기 때문이다. 로마서 이곳으로 오는 과정이 좀 험난했으니 이곳을 찾은 한국인이 거의 없고 구글 맵 지침대로 했다가는 좆되기 때문이다. 로마 지하철 B선에 폰테 맘몰로 Ponte Mammolo 라는 역이 있으니 이곳에서 티볼리행 버스 코트랄 cotral 을 타면 대략 30분만에 도달한다. .. 2020. 8. 9. 돈 받고 그린 시스티나 성당 벽화 "와..이걸 우째 그렸지?" 내가 모르는 젊은 한국친구가 찬탄하기에 오지랍주의가 발동해 내가 말했다. "돈 받고 그린 거임..주문 생산" 일본 친구들은 "기레 기레" 찬탄을 거듭하기에 내가 유창한 일본어로 거들었다. "아시바!" 우째 찍었는진 묻지마라. (2017. 8. 9) 바티칸 시스티나성당 미켈란젤로 그림이다. 숯검댕이였다가 홀라당 벗겨냈다. 저것이 미켈란젤로 당시 색감인가를 나는 언제나 의심하거니와 그가 살아 와서 다시 본다면 내 그림 어디갔어? 하고 놀랄 것으로 나는 본다. 대작? 돈 받고 그렸다. 그땐 공개입찰도 없어 수의계약이었다. 공짜 없다. 어케 그렸냐고? 아시바 놓고 그렸다. 뭐 대롱대롱 줄타고 그렸을 거 같아? 시다들이 있었을 것이다. 대작 시비는 없나 몰라. 2020. 8. 9. 금동신발 보고 아이들이 묻는다, 너희가 고고학도니? 아래 백제금동신발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다가 실물을 참관한 어린이들이 묻고 있다. 아래 신발이다. 무령왕릉 출토 금동신발이다. 왕과 왕비가 신은 금동신발이다. 스파이크 신발이다. 어제 국립공주박물관을 다녀온 여송은 선생 사진들이다. 내가 그토록 강조한 말이 있다. 고고학과 박물관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그 답은 어린아이들한테 있다고 입이 아프로독 말했다. 동탁은잔? 그 문양이 어떻고 저떻고?그거 하나도 안 중요하다. 그걸 전시하는 박물관에서 한 시간, 아니 30분만 지켜봐도 고고학 미술사학 박물관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그걸 보고 와! 문양 이뿌다. 백제 사람들 정말 미적 감각 있네? 이 따위 말할 거 같은가? 100명이면 100명 다 이렇게 묻는다. "이거 어디가 쓴 물건임?" 다시 본.. 2020. 8. 9. 박쥐난, 박쥐 같은 인생 껌딱지 같은 인생을 꿈꾸노라... 2013.3.2 인도네샤 족자 크라톤 왕궁에서 *** 이게 박쥐난이라 일컫는 식물이라고 한단다. 플라티케리움이라고도 하는 박쥐난은 박쥐처럼 매달려 있기도 하고 잎모양이 박쥐 날개 같아서 그렇게 명명했단다. 허브아일랜드 식물원에서 1년간 학예사로 있었다는 안일국 선생 전언이다. 2020. 8. 9. 환자 만들어 기어이 뜯어제낀 충주 중앙탑, 아시바 천국의 포문 2011년 9월3일 충주 중앙탑이다. 문화재청이 올해 안으로 때려 부순다고 한 국보 제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이다. "부재의 탈락, 박리 및 균열 부위의 충진 접착부가 분리되는 현상이 확인되며, ‘13년 3D 스캔 결과 기울임이 관찰되고 있어 해체 보수 등 적절한 보존대책 마련 필요"해서 "2014년 석탑 해체보수 추진"을 한다고 한다. 그래? 2년 새에 탑이 기울어졌어? 해체 보수를 해야 할 정도로 기울어졌다고? 그래? 내가 사진 잘못 찍었나? 이렇다 할 만한 기울기는 안 보이는데? 박락? 천년 넘은 석탑이 저 정도 박락 보이는 거 정상 아닌가? 2년새에 누가 하이타이로 문질렀나? 그제 문화재청 문화재 종합특별점검 결과 국보 제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 부재의 탈락, .. 2020. 8. 9. 딴청 시치미라고도 한다. 먼산 쳐다 본다지만 로마엔 쳐다볼 먼산이 없다. 근육맨이나 거시기가 작아 쪽팔려서라는 후문도 있다. 2020. 8. 9. 비가 오면 도시는 비린내가 나고 아스팔트는 감자 썩는 냄새가 난다. 나는 그 길을 걷는다. 2020. 8. 9. Early Baekje era kiln sites for Cooking Pottery kiln sites from the early Baekje period(the 3rd or 4th century A. D.) for cooking potterywares, excavated at a housing development compound, Paju, Gyeonggido Province Aug. 8th, 2016 파주 운정3지구 백제가마터 발굴 2020. 8. 9. 을축년에서 경자년으로, 95년만의 대홍수 간지干支로는 을축乙丑이던 1925년 한반도는 홍수로 쑥대밭이었다. 이해 여름 한강 하류 일대 중부지방에는 두 차례 홍수가 있었으니, 1차는 7월 9~12일이었으며, 2차는 이 물이 채 빠지기도 전인 같은 달 15~19일에 일어났다. 이해 7월 7일 필리핀 부근 해상에서 발생한 태풍이 북상을 시작해 나흘만인 11일에는 서해안까지 진출했으니, 전진이 더딘 점이 피해를 키웠다. 태풍이 발생하기 전 6일부터는 꽤 많은 비를 쏟아부었으니, 장마전선에다가 태풍이 합세한 9~11일은 그야말로 메가톤급 위력을 발휘했다. 10일 하루만 해도 강수량 기준 서울 196.6미리, 의정부 193.7미리를 필두로 남한강 유역보다는 북한강 유역 피해가 극심해 가평 170.0, 춘천 146.3, 홍천 144.6미리를 기록했다. 이런.. 2020. 8. 9. 나주 복암리고분을 수몰한 경자년 대홍수 눈을 의심한다. 나주 복암리고분군이다. 그 전시관장 이정호 선생이 그의 페북 계정에 올린 사진이다. 다른 그의 사진들을 보니 이렇다. 두 시간 전 그가 전한 소식을 전재한다. 나주 복암리고분군 자락까지 침수되었네요. 이런 일은 처음입니다. 복암리전시관은 무사합니다만, 오늘 밤은 저도 비상대기입니다. 주변 마을이 수해를 입어 많이 안타깝습니다. 시장님을 비롯해 시 직원들이 종일 바쁘게 움직이고 있어, 조속히 복구되리라 믿어집니다. 2020. 8. 8. 잡풀더미로 변한 춘천 중도 보존조치유적 시굴조사 결과 유구가 다닥다닥 걸려 임시 땜빵으로 보존조치한 춘천 중도 지구 한 쪽 귀퉁이다. 잡풀더미다. 이딴 식으로 문화재위원회와 문화재청이 무조건 보호란 이름으로 일단 질러놓고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채 암것도 못하게끔 족쇄를 채우고는 패대기친 곳이 전국 532곳에 이른다. 허울은 좋다. 후세를 위해 남겨둔단다. 활용없는 문화재 앞으론 살길이 없다. 난 이곳에 중도박물관 세울란다. 어느 문화재위원이 보존지구에 왜 박물관이건 전시관이건 세우려 하냐고 반대한다고 들었다. 헛소리 마라. 발상을 근간에서 바까야 한다. 문화재 지역 안엔 그 무엇도 설치해서는 안된다는 발상, 버려야 한다. 박물관은 유적 유물이 있는 그 자리에 있어야 한다. 그 자리 발굴하고 그에서 나온 유구 그대로 통째로 전시해야 한다... 2020. 8. 8. 술을 얼마나 자셨기에 경기도박물관이 소장한 조선 중기 때 무인 이중로李重老(1577~1624)라는 분 초상이다. 돌아가신 이듬해 1625년 제작했다. 청해이씨 세마공파에서 박물관에 기증했다. 보물 제1174-2호. 이 분은 무과에 급제하여 출사했다가 1623년 인조반정에 참가하여 정사공신 2등에 녹훈되고, 청흥군에 봉해졌다. 훈련도정 · 포도대장 · 강화부사 등을 지냈으며, 1624년 이괄의 난을 진압하다가 예성강 상류인 마탄에서 전사했다. 초상에 표현된 해치 흉배와 관대를 통해 정사공신 책봉 이후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비교적 높이가 낮은 사모와 의자 옆으로 뻗친 무, 넓게 표현된 채전 등에서 17세기 공신초상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임진왜란 때에는 공신 책록 당시에 공신이 사망한 경우 초상을 그리는 것이 흠이 된.. 2020. 8. 8. 도강언都江堰의 문화재 안내판 문통이 역정내는 바람에 부쩍부쩍 논의가 분분한 문화재 안내판. 그 대안이라 해서 시도하는 현장 몇 곳을 보고 관련 업체가 손댄 것도 봤는데 영 맘에 들지 않는다. 사천성 도강언都江堰이라는 데서 이런 안내판(방향지시판이라 해얄까?)을 시도하는데 봐둘 만 해서 소개한다. 2020. 8. 8. 보湺, 수원水源 확보를 위한 인간의 쟁투 작년인가 김천엘 갔더니 온동네를 파헤쳐 놔서 듣자니 수도를 건설한댄다. 아마 인근 부함댐이나 어디에서 끌어오는 모양인가 싶었지만 더는 알아보지 않았다. 암튼 우리 동네도 단군조선 이래 첨으로 상수도가 2019년에 들어선 것이다. 그렇다면 종래엔 우리 동네는 물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을까? 나도 하도 고향 떠난지 오래되어 놔서 기억이 가물가물하거니와 두 가지 시스템이 있었으니 먹을물과 빨랫물 공급 시스템이 그것이라 이 두 가지는 수원水源이 달랐다.(농수 공급은 또 다르다.) 당연히 전자는 요새 수질 개념으로는 1급수여야 했으니 깊은 계곡에서 끌어온 반면, 동네 어귀를 타고 흐르는 빨랫물은 동네 앞을 흐르는 강에서 끌어왔다. 저 두 시스템에서 관건은 낙차였으니 고도가 문제였다. 자연상태에서 물은 높은데서 낮은.. 2020. 8. 8. 山上 도시를 건설하자!!! 사계절 뚜렷한 이 저주받은 한반도 땅에서, 특히나 무더운 여름을 일부 돈 있는 자만이 시원한 곳을 찾아 외국으로 떠날 것이 아니라 국민 기회 균등 차원에서 해발 천미터가 넘는 산은 모조리 대가가리 부근에다가 여름 휴양촌을 맹글어야 한다. 한여름에도 군불 때는 삶을 우리도 이젠 함 살아보자. 해발 천미터가 넘는 산은 법령을 정비하여 모조리 케이블카를 설치하자. 그리하여 산상에서 여름을 보내자. 그 산 기슭에서 배얌 잡아 먹고, 머루 다래 따 묵고 도라지 캐고 토께이 잡아서 자급자족하자. 하도 더우니 별 지랄맞으나, 너무도 혁신적인 여름나기 발상이 떠오르는구나. (2015. 8. 7) *** 그제 전북 장수 강연에서도 나는 이 이야기를 했다. 장수가 이렇다 할 내세울 마스코트 혹은 이른바 킬러콘텐츠가 없어 .. 2020. 8. 8. 이화여대박물관의 상차림 《19세기 조선의 풍경》 다짜고짜 따졌다. "누님 요새 홀로서기 하나봐? 턱별전한다매 연락도 미리 안하고 그냥 페북에 질러버리네?" 아이란다. 딱 자바띤다. "12일 개막이야 왜 이래? 아직 많이 남았어!" "오잉? 그래? 오늘 보로 갈라 캤디마이 안 대겠꾸마" "와. 난 지금 밖인데 얘기해 놓을 테니" 난 이 대학 박물관 홍보대사. 장남원 관장은 외부 행사 중인지 택시 타고 냅다 달려갔더니 김주연 선생이 반가이 맞아준다. 신세 지는 일 미안해 조용히 둘러보겠다 하고는 혼자서 진짜로 고즈넉이 감상하는데 순간 용심이 발동한다. 근자 이태리서 셀카 쵤영하다가 유메이나한 석고상 발꼬락을 오스트리아 관광객이 뽀샀다는데 나도 하나 뽀사 보까 했지만 이내 맘 가다듬는다. 그래도 가오가 있지. 19세기 조선의 풍경을 표방한 이화여대박물관 재.. 2020. 8. 7. 비 오는 입추 오라버니 입추인데, 비가 많이 내려요. 올 여름은 그렇게 더운 것도 모르고 지나갔어요. 사실 어떻게 지나갔는지도 모르겠어요. 온 세상이 역병으로 난리여, 숨죽이며, 와중 나름 바쁘게 지낸 것 같은데 뒤돌아 보니 이룬 것도 없는 것 같고... 그렇게 보냈네요. 오라버니는 잘 지내셨나요? 입추 지나면 곧 *처서오겠지요. 저는 모기에 잘 물려 늘 종아리고, 팔뚝이고 울긋울긋한데... 얼른 처서가 왔으면 좋겠어요. 그럼 모기들도 입이 삐뚤어져 더 이상 못 물겠죠?ㅎㅎ 야트막한 들에 풀과 뒤섞이어 조용히 피어있는 이 꽃을 보면 제가 생각난다던 오라버니. 사실 저는 이 꽃을 좋아하지 않았어요. 조용하고, 수수하고, 향도 없고... ‘왜 하필 이 꽃이야.’ 생각했었는데, 이제 보니 이 아이도 나름 예쁘네요. 여기 온.. 2020. 8. 7. "대학 발굴은 방학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대학 강단에서 고고학을 가르치는 사람들은 교육을 내세우며, 현장과 유리한 고고학 교육은 공허하다면서 교육목적 발굴교육을 하게 해달라고 아우성이다. 나는 다시 말하지만 이 목소리 자체를 결코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그것을 어떻게 운용하느냐는 다른 문제다. 학기 중 발굴? 이렇게 되면 가장 큰 문제가 다른 수업과의 관계다. 고고학 전공 학생이라 해서 고고학 수업만 하는 게 아니다. 더구나 그 수업도 교수가 다르다. 다른 수업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학기 중 학생들이 실습을 한다면서 발굴현장에 나가 장기간 상주할 수는 결코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학기 중 발굴? 웃기는 소리다. 아래 인터뷰에서 한창균 교수도 이 점을 명확히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이 말이 맞다. 다시금 강조하지만, 이 문제를 선결하지.. 2020. 8. 7. 교육을 위한 대학 발굴? 《대학의 발굴 》 이거 나도 이곳저곳에서 여러 번 얘기했지만, 김○○ 선생이 이 문제를 오늘 다시 거론했으므로, 새삼 재방송에 가까운 이야기를 또 해 볼까 한다. 비단 김 교수만이 아니라 현직 대학 고고학 전공 교수 사이에서 팽배한 불만 중 하나가 왜 명색이 고고학과 혹은 관련 전공과인데도 대학에서 발굴을 못하게 하느냐라 할 수 있다. 이들이 대학 발굴을 하게 해달라고 하는 이유는 교육적 목적에 따른 것이다. 명색이 고고학 혹은 관련 전공이라 하는데 막상 이들이 발굴을 가르칠 현장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작금 대학 고고학 실습은 문화재 발굴전문 조사기관들에 의지해야 하지만, 이들이 교육을 제대로 시킬 리는 없다는 것이다. 이들의 볼멘소리, 나는 그것을 부당하다고 얘기하고픈 마음은 추호도 없음을 우선 .. 2020. 8. 7. Back to 2007 완주 갈동유적 Galdong Historic Site in Wangjum Jeollabuk-do Province 완주 갈동유적 完州葛洞遺蹟 전주 혁신도시 발굴현장으로 2010년 풍광이다. 이젠 이런 사진 역시 문제다. 이걸 어찌할 것인가? 이러다 외장하드 나가면 영원한 망실이다. 폼 잡아달라는 부탁에 엉거주춤을 취한 이영문 선생 이미 이 당시에도 원로가 되어 버린 최병현 선생 등등이 보인다. (2016. 8. 7) 호남문화재연구원 발굴현장이다. 행정구역으로는 완주가 아닌지 모르겠다. 이른바 초기철시대 토광묘가 나오고 다뉴세문경이 출토했다 해서 당시 인구에 회자했다. 선후 관계가 어찌 되는지 지금 기억에 확실치 않으나 이 문제로 도로 계획이 변경되는 혼란이 있었다. 이거 나오는 바람에? 혹은 유적 보호를 위해 옮긴 도로.. 2020. 8. 7. 가마와 님비NIMBY 신드롬 가마는 물 불 바람 흙이 생명이다. 등요登窯라 해서 오름식 가마가 많은 까닭은 바람 때문이다. 아래서 능선 위로 불어제끼는 바람을 이용해 각종 기물을 굽는다. 불을 얻기 위해선 주변에 울창한 숲이 있어야 한다. 그것도 참나무 숲으로.. 가마는 그래서 생명이 몇년을 넘지 않는다. 주변 산림을 작살 내기 때문이다. 그래서 숲을 찾아 옮겨다닌다. 더욱 중요한 고려 사안이 있는데 소위 님비NIMBY 신드롬이다. NOT IN MY BACKYARD 가마는 소음 공장이요 먼지의 발생 진원지여 더구나 숯검댕이의 산처産處다. 우리 기록엔 잘 보이지 않으나 중국 기록을 보면 이 환경오염 문제가 일찍이 심각했음을 본다. 들고 일어나서 공장을 옮기라 난리를 친다. 고운 비단옷 새로 장만해 산뽀 나섰는데 숯검댕이 날아 사뿐히 .. 2020. 8. 7. 이전 1 ··· 671 672 673 674 675 676 677 ··· 9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