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40

사라지는 것들 뒤안의 새로운 탄생 태풍이 한번 한반도를 지날 적마다 문화재가 몇개씩은 사라진다. 우리는 이 사라짐을 애타하며, 그것을 종내 붙잡으려 두려 하나 문화재도 죽을 자유를 허해야 하거니와 그 반대편에서는 또 다른 문화재가 탄생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2020. 8. 27) *** 비단 문화재뿐이겠는가? 사람도 마찬가지 아니겠으며, 우주삼라만상 저러지 아니한 게 있겠는가? 파괴 없는 창조 있겠는가? 다만 그 파괴가 창조를 반드시 말미암지는 않는다. 전자가 의미를 지닐 때는 오직 후자랑 인과관계가 성립할 때뿐이다. 이 관계가 성립하지 아니할 때는 둘은 별개 사건이다. 2023. 8. 27.
[K헤러티지의 갈 길] 한국의 발굴시스템 자체가 상품이다 이건 내가 한국문화유산협회(한문협) 서영일 체제 출범 직후 서 회장한테 여러 번 요구한 사안이나, 그래 꼭 한문협일 필요도 없고, 그렇다 해서 국립문화재연구원이니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같은 국가기관이 할 수도 있겠고, 실제로 이들 기관을 중심으로 실로 막대한 홍보가 이뤄지기는 하지만, 난 후자가 나서는 일 달가워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첫째 저런 국가기관이 손 대면 같은 주제 소재라 해도 꼭 국정홍보물로 둔갑하며, 둘째 그것이 필연적으로 민간영역을 침범하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이 중에서 두 번째가 특히 중요하다고 나는 보는데, 요새 저짝에서 만드는 영상 품질 좋다는 거 내가 인정한다. 그만큼 인적 물적 투하를 하기 때문인데 문제는 그것이 민간 영역을 갉아먹는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왜 저런 영역까지 관이 .. 2023. 8. 26.
이 빌어먹을 축조기법 타령 토기 편년 타령 언제까지 하려는가? 할 게 이거밖에 없나? 지겹지도 않니? 토기편년해서 어따 써먹고 축조기법 해서 또 어따 써먹나? 이거밖에 모르니? 고고학이 할 줄 아는 게 이거밖에 없니? 2023. 8. 25.
[K-헤러티지산업] 발굴산업의 경우 얘기 나온 김에 문화재라면 우리가 무엇을 팔아먹어야 하는가? 예서 팔아먹는 시장은 내국이 아니라 세계다. 그래서 손쉽게 발굴을 예로 든다. 올해가 천마총 발굴 50주년이라 해서 대대적인 현장 사업을 벌였지만, 그 꼴을 보면 내국 산업이라, 회고담이라 해서 맨 똑같은 사람 불러다가 맨 똑같은 얘기 듣는가 하며, 맨 똑같은 유물 끄집어 내놓고 엎어치고 메치고 해서 특별전이라 해서 장난 친 거 말고 도대체 뭐가 있는가? 천마총 발굴, 그에 뒤이은 황남대총 안압지 황룡사지 발굴 그 어느 것도 세계적 상품 가능성 갖추지 아니한 발굴 없다. 그만큼 세계에서 관심도 높고, 또 그만한 역량 혹은 잠재성을 구비한 고고학 발굴산업 소재다. 읍소를 하건, 아니면 돈을 퍼주어 안기든 넷플릭스 부르고 내셔널지오그래픽 불러 왜 .. 2023. 8. 25.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 무슨 K-헤러티지 산업을 한단 말인가? 이 문제 심각성은 이미 앞서 한 번 논한 바 있으므로, 그 계속하는 이야기로 이 문제를 계속 짚으려 한다. 왜? 이 문제는 그만큼 심각하며, 나아가 이 문제는 문화재청 스스로 문화재보호법의 국가유산기본법 전환에 즈음해 그 핵심으로 문화재산업화를 부르짖지만, 그네들 스스로가 말하는 산업을 호도하고 오도하며, 이것이 내가 꼴을 지켜보니 전연 개선의 기미가 없는 절망인 까닭이다. 이 세계국가유산산업전이란 용어부터 벌써 문제인데 세계랑 국가가 조합이나 된단 말인가? 세계가 어떻게 국가랑 조합이 된단 말인가? 저딴 말도 안 되는 용어부터 집어쳐야 한다. 나아가 이 사업을 주관하는 데가 국립문화재연구원이라는 데라, 국립문화재연구소가 간판만 바꾼 데 지나지 않는 저런 구닥다리 가득한 연구소에서 무슨 산업을 논한단 말.. 2023. 8. 25.
사람한테 덴 상처는 치료가 불가하다 내 친구 얘기를 하려 한다. 이 친구가 A라는 친구를 무척이나 믿었다. 나는 믿지 마라 했다. 나도 잘 아는 그 친구는 믿을 만한 놈이 되지 못한다 생각한 까닭이다. 왜 그러냐 묻기에 지 손에 피 한 방울 묻히려 하지 않는 놈이며, 종국에는 헌신짝처럼 배신할 것이라 경고했다. 그래도 그는 계속 그를 믿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내 예언이 실행을 맛보기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아니했다. 헌신짝 팽개치듯 버렸다. 나는 그가 불면의 밤을 새운다는 사실을 안다. 자다가도 벌떡벌떡 일어나 분노가 치민다 했다. 그런 친구더러 그러니 그 놈 믿지 말라 하지 않았느냐 핀잔할 수는 없잖은가? 사람으로 인한 상처는 치유도 없고 연습도 없고, 그래서 굳은살이 생기지 않는 법이다. 그 상처는 언제나 새롭기만 하며, 관장하며.. 2023. 8.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