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0971 《내가 보는 위만조선과 낙랑》(1) 남월국은 위만조선의 투사물이다 지금 그 정확한 영역, 혹은 중심지가 논란인 위만조선이 존재하던 무렵, 중국 남방 지금의 광동성 광주 일대에는 남월南越이라는 왕조가 존재했다. 이 남월은 여러모로 위만조선과 일란성 쌍둥이를 방불하는 판박이다. 첫째, 위만조선이 중국계 연燕나라 망명객인 위만이라는 자가 수립한 왕조이듯이, 남월 역시 지금의 산동성 출신인 조타라는 자가 현지 관리로 파견되어 일하다가 그 자리에서 자립해 이룩한 왕조 국가다. 둘째, 그런 까닭에 위만조선이나 남월은 모두 현지인과 중국계 이민자들의 혼합 정권이라는 성격을 갖는다. 하이브리드 왕조인 셈이다. 셋째, 그 성립 시기 역시 거의 같다. 두 왕조 모두 시황제에 의한 진秦 제국의 강력한 중앙집권적 권력이 붕괴하면서 우후죽순으로 그 영역 혹은 주변부에서 생겨난 독립정권들 중 .. 2023. 6. 14. “천안 천흥사는 다원식多院式 거찰” 고려 태조 왕건과 인연이 밀접한 ‘천안 천흥사天興寺’는 고려 초 창건해 사역을 점차 확장한 다원식多院式 거찰巨刹로 드러났다고 천안시와 조사단이 14일 밝혔다. 천안시 의뢰로 지난해 11월 8일 이래 오는 10월말까지 성거읍 천흥리 ‘천안 천흥사지’에 대한 제3차 발굴조사를 벌이는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은 이번 조사 결과 현재의 오층석탑 뒤에 가구식 기단으로 구성된 건물 3개 동이 나란히 선 이른바 1탑 3금당 형식임을 추정할 만한 흔적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가구식 기단이란 지대석과 탱주석, 우주석, 면석, 갑석으로 구성된 불탑 기단을 말한다. 이 중 금당으로 추정하는 터(9호 건물지)는 돌을 정교하게 다듬어 장식 효과를 극대화했으며, 북쪽으로 별도 사역 공간(10~12호 건물.. 2023. 6. 14. 가 본 적도 없는 땅에 무슨 진 시황제·한 무제 행궁이란 말인가? 뭐 이게 왕궁 아니면 무슨 개뼉다귀이겠는가?그러니 중국 친구들이 이걸 끼워맞춘다 해서 진시황 행궁이었다고 주장한다.내 기억에 소병기蘇秉琦 (1909~1997)가 이런 주장을 처음 내놓은 이래 의문도 없이 이리 간주한다. 진시황은 간 적도 없는 땅에 무슨 그의 행궁이란 말인가? 안 되니깐 한 무제 행궁이라고도 주장한다. 유철劉徹이도 저기는 가 본 적이 없다.가 본 적도 없는 땅에 무슨 행궁이란 말인가? (2016. 6. 14) 2011年 文物出版社 出版 图书 《姜女石:秦行宫遗址发掘报告》 2011年 1月 文物出版社 出版 图书,作者 화옥빙华玉冰·양영창杨荣昌。 数 678 页定 价 680 元开 本16 开装 帧平装 ISBN9787501030477 이 발굴보고서인데 제목이 벌써 《강녀석姜女石:진행궁유지.. 2023. 6. 14. 진한秦漢의 유적 vs. 진한시대의 유적, 남월국의 경우 진한秦漢의 유적과 진한시대의 유적은 반딧불과 번갯불의 차이다. 전자는 진秦나라 혹은 한漢나라 사람들이 주체가 되어 만들고 운영한 유적이란 뜻이요 후자는 진나라 혹은 한나라가 존속한 시기에 만들고 운영한 유적이란 뜻이다. 우리가 아는 중화주의는 일부러 이 둘을 같은 것으로 혼용한다.지금의 중국 경내에서 일어난 모든 고고학적 증거를 이 틀에다가 끼워넣어 버린다.이를 보여주는 대표적 보기가 남월국南越國 유적이다. 광동성 광주에 가 보면 모든 남월국 유적지 간판을 서한남월국西漢南越國 이라 표기했다. 한데 이 둘을 곧잘 한국고고학도들도 구분하지 못해 왕왕 중화주의 논리에 함몰한 모습을 보이니, 산해관 동쪽 진황도秦皇島와 수중현綏中縣 일대에 출현한 소위 진시황 한무제 행궁行宮 유적을 의심하는 사람을 거의 만나보지를.. 2023. 6. 14. 정사 [삼국지]의 특징 by 김영문 * 정사 [삼국지]는 기전체 역사서이면서도 독특한 면모를 보인다. 기전체란 중국의 [사기]와 [한서], 우리나라의 [삼국사기]와 [고려사]처럼 인물 중심의 본기와 열전을 중심에 놓고 역사를 기록하는 방법이다. 이에 비하여 연도 중심으로 역사를 기록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를 편년체라고 부른다. 중국의 [춘추]와 [자치통감], 우리나라의 [조선왕조실록]과 [일성록] 이 이에 해당한다. * 기전체는 인물을 중심에 두고 역사를 서술하기 때문에 제도사나 문화사, 또는 지리 변화 등에 소홀하기 마련이다. 이에 기전체에서는 다양한 [지(志)]를 두어 이를 적극적으로 보완한다. 우리는 [사기]와 [한서]의 각종 지리지, 예악지, 예문지, 직관지 등을 통해 당시의 제도, 지리,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여기에다 기전체에는.. 2023. 6. 14. 동아시아 해상 교류의 중간기지 흑산도가 선물하는 무심사無心寺의 흔적들 오늘 흑산도 얘기를 할 것이므로, 지리상에서 이곳이 어드메쯤인지 확인하는 일이 우선이 되겠다. 언제적인지 흑산도를 가 본 적은 있는 듯한데 하도 까마득한 옛날이라 기억도 나지 않는다. 뭐 딱 봐도 서남해를 오가는 항로에서는 격절이요, 장기 항해를 하는 사람들한테는 딱 봐도 쉬어 가요 오빠 아니겠는가? 실제 흔적에 남은 흑산도를 봐도 그러한 역사는 유구해서 원인, 일명 엔닌圓仁 이라는 일본 승려가 지금의 후쿠오카를 떠나 당말 중국에 들어가 유학을 필두로 하는 그 지난한 생활을 일기로 정리한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도 등장하며, 송나라 사신 서긍이라는 사람이 영파를 떠나 고려로 오는 과정, 그리고 개경을 둘러보고 다시 회귀한 과정을 적은 선화봉송고려도경, 약칭 고려도경高麗圖經에도 흑산도가 남았으니, .. 2023. 6. 14. 너무 잘난 형을 둔 흠순欽純 (1) 형을 찾아가 조언을 구한 동생 형이 아니었더래면, 형만 없었더래면, 내가 주인공이 될 수 있었을 텐데. 그 자신은 이런 식으로 통탄했을지 모르나, 그 잘난 형을 빌어 출세가도를 달리기도 했다는 사실을 망각한 푸념 아니겠는가? 그래도 그 잘난 형이 아니었더래면, 삼국사기 열전 첫머리는 내가 장식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하에서 통곡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열권에 지나지 않는 그 전체 열전 중 첫 세 권을 몽땅 형이 가져갔으니, 아무리 김부식이라도 그렇지 이런 파격은 너무하지 않겠는가? 그 잘난 형 때문에 어쩌면 가장 심하게 저평가되었을지도 모르는 김흠순金欽純. 삼국사기 권 제42 열전 제3 김유신(下)에는 고구려 정벌군을 일으킨 문무왕이 그 진용을 짜면서 총사령관에 김유신을 앉히고, 그를 보좌하는 부사령관 양날개로는 김흠순과 김인문을 .. 2023. 6. 14. 사이비고 유사고 나발이고, 나는 용서가 안 되는 신라왕 일곱 사이비역사학, 유사역사학이라는 말이 다시금 남발한다. 그런 말을 쓰는 자들은 그들이 구축한 역사야말로 진짜 역사학이라는 신념 혹은 전제를 한다. 이런 말이 주로 나오는 데가 고대사, 특히 한국고대사이므로, 몇 줄 되지도 않는 같은 텍스트 두고 이리보고 저리볼 뿐이다. 그걸 이리 보아야 한다는 법칙은 있을 수 없다.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물론 그 다양성이 멋대로일 수는 없다. 시각의 다양성일지니, 다양성이 존중받아야 한다손친들 불역열호不亦說乎를 어찌 열받지 아니하리오라 읽을 수는 없다. 저네는 사이비고 유사역사학이라 공격하는 바로 그 친구들이라고 해서 그네들은 사이비가 아니고 유사가 아니라 할 수 있는가? 그네가 구축하는 역사학은 사이비가 아니라고 장담하는가?난 지금도 용서가 안 된다. 신라 지증왕 .. 2023. 6. 13. 전라도천년사 사태는 무지몽매에서 비롯하는가? 그렇다고 한다. 무식한 소수에 휘둘린 친일파 놀음이라 한다. 그리 말하는 사람 그 누구도 이 천년사를 제대로 읽지 않고 저리 비난한다 맹폭한다. 누가? 저짝에서 한 다리 걸쳐 필진으로 참여했다는 사람들과 그에 발을 걸치지는 아니해도 심증으로 같은 족속으로 분류되는 사람들과 그리고 그런 그들과 음으로 양으로 얼키설키한 이른바 관련 학술단체까지 떼로 나서 그리 성토한다. 그리하여 다시 해묵은 유사역사학이란 요물을 끄집어 내서는 저들은 유사역사학이며 사이비라 매리성토한다. 그들은 무식하기에 훈육받아야 하며 계몽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여차하면 다시금 이병도로 돌아가 관뚜껑 닫힌 그를 도로 불러낼 태세다. 1차 사이비 유사역사학 논쟁이 그들을 성토한 이른바 정통 강단역사학에는 무얼 남겼는가? 그네들이 그렇게 해.. 2023. 6. 13. 건축가 김수근, 한국전쟁 중 징집회피 위해 일본 밀항 건축가 김수근 약력이다. 1931년 함경북도 청진 출생 죽 훑어가다 한 곳이 눈에 띤다. 1951년 일본 밀항! 이후 일본서 죽죽 생활한다. 만 20살 때, 한국전쟁 한창 중에 일본으로 토꼈다. 왜? 같은 1931년생 이맹희.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 장남. 회고록 《묻어둔 이야기》에서 왜 밀항했는지 썼다. 군대 가기 싫어서였다고. 1936년생 화가 이우환. 만 20세 1956년 서울대 미대 입학 3개월 뒤 역시 일본으로 토꼈다. 1930년생 건축학도 김정기 1950년 만스무살 고교졸업과 동시에 일본으로 토꼈다. 왜 왜 왜? 다 군대 가기 싫어 일본으로 토낀 것이다. 1950년대는 밀항의 시대였고 징집 회피의 줄행랑이 난무하던 시대였다. 밀항할 여력도 안 되는 사람들은 군대 징집되어 전장에서 총안받이가 되었다. 2023. 6. 13. "일본 조선 어느 쪽이 좋은가?" 윤치호의 물음은 여전히 유효하다 1919.4.27(일) 오후 늦게 개모리와키 개성경찰서장을 방문했다…철도공원 벚꽃이 만개해 절정에 달했다. 불과 7, 8년 전 만 해도 이곳은 나무도 없고 보기고 흉한, 삭막한 곳이었다. 그런데 일본인들이 이곳을 대단히 매혹적인 공원으로 탈바꿈시켜 놓았다. 만약 이 동산에 신령이 있다면, 어디 한 번 좀 물어보자. 일본 정권과 조선 정권 중에서 어느 쪽이 좋으냐고. 김상태 편역, 《윤치호 일기 1916~1943) 한 지식인의 내면세계를 통해 본 식민지시기》, 역사비평사, 2001.2, 107쪽. 이 물음이 왜 여전히 유효한가? 망국론에 대한 성찰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아주 많은 이가 윤치호 일기를 오독한다. 제대로 읽어야 한다. 저 물음 말할 것도 없이 조선왕조 혹은 대한제국은 망할 만하니 망했다는 넉.. 2023. 6. 13. 소꿉친구가 내 영웅일 수는 없다 친구가 영웅 되는 법은 없다. 설혹 내가 모르는 거지가 내 보스가 될지언정 (2014. 6. 13) *** 예수도 제 고향에선 개차반 취급받은 이유다. 왜? 내가 너를 다 아는데 너가 영웅? 성자? 이는 단순한 시기를 넘어서는 그 무엇이다. 너무 속속들이 아는 까닭에 그는 결코 나의 영웅이 될 수 없는 법이다. 내 영웅 혹은 내 추앙은 미지未知와 신비에서 배태한다. 그래서 차라리 나는 이름 모를 거지에서 내 영웅을 찾는다. 권위 디그너티는 저에서 비롯한다. 2023. 6. 13. 원시 후진 미개를 쓸어버리자, 조선 민족 갱생更生의 도道를 향한 몸부림 19세기말 20세기초. 동아시아는 때려부수기에 여념이 없었다. 서구의 압도적 힘에 놀란 이들은 그 원인을 찾아헤맸고 그 와중에 과학과 기술을 서광처럼 보았다. 그리하여 그들 내부를 향해 보니 그곳엔 각종 미신과 후진과 미개가 넘쳐났다. 구데기가 들끓는 내부는 청소가 필요했다. 그리하여 유신이라는 깃발 아래 미개 후진으로 지목된 잔재들이 휩쓸려 짓밟혔다. 메이지정부가 단행한 폐불훼석은 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건이다. 한데 동아시아 중에서도 유독 이 틈바구니를 개독신이 짓밟은 데가 한반도였다. 동시대 중국에선 양계초가 미신 추방을 부르짓고 그 자리에 상무정신을 갖다놓더니 이후 의대 자퇴생인 노신이란 자가 나타나 중국을 서케가 들끓는 오지로 만들기 시작했으니 그의 붓끝에서 여지없이 전통 중국은 아큐요 광인 .. 2023. 6. 13. 갈수록 좋은 식물 광물 순전히 취미 수준이나 요새 갈수록 흥미를 돋구는 데가 식물과 광물이다. 이 둘을 견주자면 후자가 공부 환경이 녹록지 아니해서 광물을 제대로 배울 만한 데가 주변에 없다는 점이 안타까울 뿐이다. 대전에 가 있는 지질자원연구원이나 국립중앙과학관처럼 수시로 들러 체계로 살필 광물 자료실이 있어야지만 유감스럽게도 서울에는 내가 만족할 만한 데가 없다. 저 광물은 내가 일찍이 관심을 기울여 나름대로는 파고 든다 했지만, 대체로 약물로 한정했으니 이건 도교 약물학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한다. 그런 경험이 썩 무용하지는 아니해서 예컨대 왜 신라사 화랑을 따르는 무리가 명산대천을 찾아다니고, 특히 동굴을 선호하는지 그 의문 일단을 풀 수도 있었으니 종유석이 약물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떠올리면 된다. 반면 식물 쪽은 광물보.. 2023. 6. 13. AC 밀란 구단주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선입견인지는 모르겠지만, 특히 이탈리아 정치인은 모조리 부패를 달고 산다는 믿음이 강한데, 이를 대표하는 인물이 오늘 향년 86세로 화려찬란하고 시끌벅적한 생애를 끝내고는 저 세상으로 갔다는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Silvio Berlusconi 같은 이 또 있을까 싶다. 1936년 9월 29일에 태어났으니, 파시즘이 한창 흥성하던 그 무렵에 출생 배경으로 삼는다. 그를 수식하는 말이 어디 한둘이랴? 거대 사업가 자본가로 미디어 타이쿤tycoon이면서 한 시대 이탈리아 정치를 주무른 정치 거물이고, 또 무엇보다 각종 부패 스캔들 단골 주인공이면서, 그 부패에는 모름지기 매춘부도 빠지지 않고 등장한 기억도 생생하다. 이태리 총리만 해도 1994~1995년, 2001~2006년, 그리고 2008~2011년까지 .. 2023. 6. 13. 조선인 지원병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조선인 지원병은 학병과 다르다. 학병은 전문학교 재학 이상의 사람들로 배울 만큼 배운, 조선땅에서는 당시 요즘으로 치면 흔하디 흔한 박사학위 소지자 보다 더 희귀한 사람들이었다. 당시 조선땅에 전문학교 이상 고학력자는 6000-7000명 정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람들이 바로 학병 대상자들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고학력 인텔리들이었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장교 재원으로 끌고간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 양반들 중 지원자가 있다 하여 친일 논쟁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내 생각에는 이 사람들은 장교 임관시켜 준다고 그 기회 잡겠다고 군대를 지원해 들어갈 그런 위치가 아니었다. 당시 전문학교 이상이란 정말 희귀하고 사회생활을 해도 소위 상당의 직급은 받아 생활 가능한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학병은 거의 전.. 2023. 6. 12. 일본 육군 대본영의 1945년도 군령 일본육군 대본영이 1945년 2월 6일에 육군 전군에 발송한 통첩에 흥미로운 부분이 있어 아래 소개한다. 내용 중 읽어 볼 만한 부분에는 영어 번역을 따로 붙였다. 내선일체가 어쩌고, 조선인의 수준이 저열하고 어쩌고 하는 이야기가 있지만 다 생략하고 내용만 간단히 요약하면: 1. 조선인 지원병들이 자주 도망간다. 특히 학군으로 뽑은 조선인들이 불온하다. 자꾸 주변을 선동한다. 2. 조선인과 일본인 병사들 사이에 융화가 잘 안 된다. 3. 조선인 병사가 융화가 잘 안 되는 이유는 국어 (일본말) 이해하는 사람이 30프로가 안 된다. 지금 어쩔 수가 없으니 일단 국어를 가르쳐라. 여기서 알수 있는 건 당시 지원병과 학병에서 도망자가 많았다는 점. 일본인과 조선인 병사 사이에 융화가 잘 안되었다는 점. 그리고.. 2023. 6. 12. 학병 소위 임관은 합법적이었을까? 학병으로 끌려간 양반들이 예비사관으로 있다가 1945년 8월 경에 원래 정식 소위 임관하기로 되어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런데 이 시기 공통적 증언의 하나가, 1945년 8월 15일에 일본이 항복했다는 이야기가 나왔고, 9월 경에 일본군이 해산 하면서 소위 계급장을 주고 해산시켰다는 것인데-. 재미있는 것은 9月2日:日本政府が戦艦ミズーリで降伏文書調印。GHQ指令第一号(陸海軍解体、軍需生産の全面停止等)が出る。 라 해서 1945년 9월 2일 일본 정부가 미주리함에서 항복문서에 조인과 동시에 연합군최고사령부 (GHQ) 명령 제1호로 일본군 육해군 해체 명령이 하달되었다는 말이다. 그렇게 보면 중국 방면 등지에서 일본군 해산과 함께 학병들에게 달아주었다는 소위 계급장이 합법적인 소위는 맞나 의심이 들 수밖에 없.. 2023. 6. 12. [전시가 만든 인연] (2) 옷소매 붉은 끝동 덕임과의 만남 교수님께 드린 말씀은 이것이었다. “교수님. 저희가 그 책을 주제로 작은 전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소장하신 3~10권은 저희가 소장하고 있거든요. 가지고 계신 1~2권을 대여해주시면, 10권이 처음으로 한 데 모이는 것이 되어서 꼭 대여를 하고 싶습니다. 가능할까요? 그리고 그 책이 한글로 쓰인 소설 중, 필사자 이름이 정확한 최초의 소설이라고 하더라구요. 그 증거가 1권에 붙어 있어서, 1권은 꼭 전시에서 선보이고 싶습니다.” 그렇다. 이 책 가치는 소설 내용에만 있지 않았다. 곽씨와 장씨 가문 이야기라는 뜻인 ‘곽장양문록’은 3세대에 걸친 가문 이야기여서 그런지, 길기도 길다. 그래서인지 이 책은 한 명이 필사하지 않고, 총 6명이 나누어 필사를 했다. 그것은 감사하게도, 1권 표지 안쪽에 .. 2023. 6. 12. [전시가 만든 인연] (1) "그렇게 중요해요? 그럼 기증하께요" 우연히 인연이 생기는 때가 있다. 그리고 사람과의 인연도 있지만, 유물에도 인연이 있다. 그때도 그런 때였다. 회의를 다녀온 과장님이 갑자기 나를 호출했다. “○○ 선생. 잠시 이야기 좀 하지.” “저요?” 나를 부를 만한 이유가 없는데, 나를 부르시니 눈이 동그래졌다. “○○ 선생이 지난 번에 갖고 왔던 그 책 있잖아. 관장님이 그걸 소개하는 전시를 했으면 좋겠다고 하시네.” 이런 것이 바로 내 발등에 도끼를 찍는다는 것이었다. 맞다. 그 책은 내가 스스로(!) 우리 전시관에 전시해 놓은 책이었다. 이전부터 그 책의 존재를 알고 있었고, 그 책으로 전시를 하고 싶다고 생각은 했었다. 어느 유명 소설의 모티브가 된 그 책은, 직접 보고 싶어 하는 사람이 많았다. 트위터에 우리 박물관으로 검색하면 그 책이.. 2023. 6. 12. 일제시대의 지식인: [30] 현승종 현승종 선생은 학병 출신으로 해방 당시 일본군 소위 신분이었다. 귀국하여 고려대 교수, 성균관대 총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노태우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개천공립보통학교 (6년) -- 평양고보, 평양제이중 (1933-1938) -- 경성제대 예과 (문과을류) (1938-1941)-- 경성제대 본과 (1941년 3월-1943년 9월) 선생의 경력에서 경성제대 예과까지는 빈 해 없이 전개되다가 경성제대 본과 졸업을 6개월 당겨 1943. 9월에 하게 된다. 전쟁 말기에 대학과 전문학교 졸업이 6개월씩 당겨진 것은 이미 말한 바 있다. 위 기록에서 평양고보는 평양제이중과 같은 것이다. 3차 조선교육령이 발효되어 평양고보가 중학으로 바뀌면서 기존의 평양중을 피해 평양제2중이 되었다. 선생의 기록에서 흥미로운.. 2023. 6. 12. 이전 1 ··· 454 455 456 457 458 459 460 ··· 99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