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75

메소포타미아의 황소 내가 구독하는 고고학 관련 그룹이 소개한 유물 중 하나라 기원전 2450년 무렵에 만든 우르 Ur 의 황소 머리모양 Lyre [Bull Headed Lyre of Ur] 라는데 이라크 Dhi Qar州 Tell el-Muqayyar에 있는 우르 왕가 묘지 the Royal Cemetery at Ur 출토품으로 소재는 gold와 lapis 라 하며 현재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소재 Philadelphia Penn Museum 이 소장 중이라 한다. 2024. 3. 31.
[독설고고학] 셰익스피어와 영어, 고고학과 형식분류 셰익스피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영어 공부가 필수다. 중문학을 하고자 하면 당연히 한문을 베이스로 깔아야 한다. 영어공부, 한문공부 졸라 해야 하며, 졸라 한다. 당연히 영어가 필요하고 한문이 필요하다. 고고학에서 형식 분류 당연히 필요하다 졸라 해야 하고 졸라 훈련받고 지금도 졸라 해야는 것 맞고 죽을 때까지 해야 한다. 하지만 그 어떤 누구도 셰익스피어 연구라는데 영어 공부하는 방법을 이야기 하지 않는다. 그 어떤 누구도 이백 시를 이야기하면서 한문 공부하는 방법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왜? 그건 기본 베이스로 깔고 가야 하는 그 무엇이기 때문이다. 한데 어찌하여 이것이 고고학으로 넘어오면 한국이건 일본이건 죽어나사나 고고학은 이야기하지 않고 죽어나사나 형식타령이란 말인가? 형식분류 하지 말라는 .. 2024. 3. 31.
숨 막혀 제풀에 죽고만 개마무사, 그 환상특급을 깨뜨리며 1500여년 전 신라시대 철갑기병인 개마무사가 3천800장 소찰(미늘·비늘 모양의 작은 쇳조각)을 엮은 찰갑(갑옷)을 걸치고 머리부터 발목까지 갑옷으로 보호한 뒤, 쇠로 만든 투구를 쓰고 손에 무기를 들었으며 그가 탄 말도 740장 소찰로 몸통 전체를 덮은 말 갑옷(마갑)을 입히고 투구(마주)를 씌웠으니 개마무사가 입은 찰갑은 무게가 약 33㎏, 마갑은 약 36㎏. 그래서? 이런 놈들이 무슨 중무장한 군사 혹은 장군이며 이런 놈을 태운 말이 도대체 몇 보나 전진한단 말인가? 개마무사? 중무장? 야구방망이 한 방이면 꼬꾸라지는 시체에 지나지 않는다. 저 상태로 무슨 전쟁을 하며 저 상태로 무슨 벌판을 달린단 말인가? 시체라서 뒤집어 씌워 놓은 것을 진짜로 저리 무장하고 싸웠다고 보는가? 시체다. 지금도 시.. 2024. 3. 31.
소위 초두, 개돼지의 학문은 모양을 묻고 한의사는 기능을 묻는다 경주 성동동 149-1번지 유적 에서 출토한 이른바 청동 초두 라는 분이다. 계림문화재연구원이 발굴해 , 2017년 《경주 성동동 149-1번지 유적》이라는 데 수록했다. 이런 걸 보고선 고고학도들은 폼새만 열라 관찰하고 또 비슷한 유물이 어데어데서 나왔나 졸라 그림으로 그리고선 와! 자루가 다르네? 이형異形이네? 몇세기 몇사분기네 이러고선 지들 할 일 다했다고 만세 부르고선 뒤도 안 돌아본다. 이건 개돼지가 하는 일이다. 진짜 탐구는 언저리도 못 갔다. 가장 중요한 대목은 무엇인가? 기능이다. 도대체 저 기물은 뭐하던 것인가? 이걸 밝혀내야 담 이야기가 나오지 않겠나? 된장국 끓였니? 김치찌게 끓였니? 한약방에 갖다줘 봐라. 그 사람들 금새 안다. 약탕기라고. 저건 연단 도구다. 선약 만들어내던 그릇이.. 2024. 3. 31.
한양 사람들로 보는 한양(3): 준비하다가 엎어진 상설전 개편 그동안 ‘사람으로 바라보기’에 대해 이야기 했지만, 이것은 나만이 그랬던 것이 아니라 우리 박물관에서는 여러 번 시도되었던 것이다. 이를테면 ‘유만주의 한양’이라는 전시라든지, ‘명동 이야기’같은 전시가 그러했다. 뭐, 굳이 제목을 들지 않더라도 우리의 전시는 거의 그러했다. 여타의 박물관도 그렇겠지만, 늘 ‘다른 곳과 어떻게 차이를 줄까’라는 점이 고민이었고, 이것이 그 고민의 해결법 중 하나였던 것이다. 타 박물관과 어떤 차이점을 둘 것인가 내가 1년간 준비했다가 엎어진 상설전시 개편도 그러했다. ‘한양 사람들의 이야기로 한양의 공간을 보여주자’, 이것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조선실과의 차이점으로 만들자는 것이 개편 방향이었다. 물론 이것은 본래의 상설전시도 기본적으로 가진 고민이었을 것이다. 통사 성격인.. 2024. 3. 31.
장백산 vs 백두산 자연유산으로서의 백두산은 소속 국가 관념 기준으로는 이른바 초국경 유산 혹은 월경越境 유산 transboundary heritage 이라 백두산이라 하면 우리는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우리가 全有[전유] 혹은 專有[전유]해야 하는 데로 인식하나 그 내력을 살피면 사정이 복잡해서 아시아 동북아 대륙을 무대로 명명한 민족이나 국가 혹은 왕조들 사이에서는 모두가 성소聖所요 성산聖山이었으니 이것이 빗금에서 탈출한 라인으로서의 국경을 기반으로 국민국가가 출범하면서 사정이 묘해져 공유共有하는 유산에서 그 라인을 경계로 그 구역 안은 특정한 국가가 독점적 소유권을 행사하는 시스템으로 변모한다. 저 백두산은 공교롭게 한중 국경에 걸터 앉았으니 또 그 부르는 이름도 차이가 있어 한국에선 백두라 하고 저짝에서는 장백長白이라 .. 2024. 3. 31.
청도 소싸움은 무형유산의 위대한 성취요 새로운 시대 발현이다 발상을 바꾸어야 한다. 시각을 교정해야 한다. 왜? 내 생각 내 시선이 다를 수 있고 틀릴 수 있기 때문이다. 아니 한 발 물러나 보면 다르기는커녕, 틀리기는커녕 완전히 헛다리를 짚고 있더라. 무형유산은 일반 덜떨어진 고고미술사 건축학 중심 여타 문화유산이 실체도 없는 원형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것과는 달리 일찌감치 그 딴 게 어딨어 하고선 원형은 패대기치고 저 멀리 전형典形으로 달아나 그것을 성전으로 채택했다. 왜? 원형은 고정이요 박제라 그 어떤 시대변화도 수용하지 못하고 유산을 어느 한 순간 어느 한 시점 어느 한 모습으로 고정하는 까닭이다. 이 원형을 벗어버린 자리에 무형유산은 전형을 갖다놓고선 껍데기보다는 정신을 선택한 것이다. 이 전형을 선택함으로써 족보도 없이 탄생한 이애주 살풀이춤은 유산을 .. 2024. 3. 31.
육십 이후 계획의 함정 선배 교수의 부고를 받았다. 올해 벌써 두 번째 선배 교수의 부고인데 두 분 모두 정년 전에 삶을 마감하시게 되었다. 평균수명이 100세 시대가 열린다 어쩌고 하지만 이렇게 빨리 가시는 분들도 있고 보면 내 60 이후의 인생도 사실 알 수 없다. 60 이후의 삶을 준비한다고 부산하지만 어느날 갑자기 인생이 끝날 수도 있는 것이니까. 60이후의 인생계획은 그래서 노래가 끝나기 전에 누군가가 마이크 끄고 조명을 끄면 무대에서 갑자기 퇴장해야 하는 그런 계획인 셈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신 대로 君子坦荡荡한 맘으로 무대의 불이 꺼질 때까지 최선을 다할 수 밖에 없겠다. 두 분 교수의 명복을 빈다. #노후 #노후준비 2024. 3. 31.
학술: 눈부신 중국의 성장, 전통의 강국 일본 최근 학술분야만 놓고 본다면 중국의 성장이 눈부시다. 필자는 가끔 내 전공분야의 중국 쪽 학술지를 뒤져보는데 정말 1년이 다르다. 고고학도 비슷할 것이라 본다. 일본은 부자 망해도 몇 년은 간다고, 에도시대와 20세기에 축적된 학술역량은 아직 무시 못할 정도이다. 다만 중국과 일본의 학술 수준은 다가오는 1세대 안에 역전될 것이라 본다. 한국의 경우 그 사이에서 지지부진하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여기서는 말을 아끼겠다. 어차피 주변국가가 보여주는 학술수준만큼의 제고는 지금 기성세대의 역량으로는 어려울 것이라 보고, 20-30대 젊은 친구들의 분발을 기대한다. 한 가지 조언하자면, 기성세대는 학술적으로 그대들에게 조언 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 보다 넓은 세상에 착목하여 용약 전진하기 바란다. .. 2024. 3. 31.
민족주의를 방패로 쓰지 마라 우리사회에서 민족주의란 이미 약점을 감추는 방패로 쓰게 된 지 오래다. 특히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고는 민족을 방패로 삼아 걸어놓고 책임을 회피하는 경우도 많이 본다. 민족을 이야기 하건 애국을 이야기하건 간에 허접한건 허접한 것이다. 말도 안 되는 건 말도 안 되는 것이다. 논문에 학문에 자꾸 민족을 끌어들이지 말기 바란다. 이건 인문학 전반에 해당되는 이야기이기도 한데 약점이 노출되면 민족주의라는 절대 지상의 소도로 도망치는 경우를 본다. 한국민족이라는 게 그렇게 무소불위의 자랑도 아닐뿐 아니라 그렇게 걸어놓은 민족주의 방패 때문에 지금도 한반도 밖으로 한 발자국도 한국의 이론을 들고 나가지를 못하는 것 아니겠나. 민족을 버려야 한국민족이 산다. *** Editor's Note *** 이 민족주의 .. 2024. 3. 31.
[그리스] 섬 안의 섬, 보이지만 닿을 수 없던 스피나롱가 Spinalonga 한센병 환자에 대한 비극적 격리는 지구 반대편이라고 해서 예외가 아니었고 지워야만 한 기억의 흔적이 이제는 크레타에서 가장 인기있는 관광지 중 하나가 되었다. 중세에는 오스만 제국의 진격에 대항한 베네치아 최후의 요새였으며 근세에는 유럽의 한센병 환자 수용소 중 마지막까지 기능한 스피나롱가Spinalonga 를 찾아 떠난 여행. https://maps.app.goo.gl/GBmHdxLSqfmvYNdi9 Nisida Spinalonga · 그리스 아요스니콜라오스★★★★★ · 섬www.google.com 미노스 문명 Minoan Civilization 중심지이자, 올리브로 잘 알려진 그리스 크레타Crete섬. 크레타 출신 지인에게 그곳에 가겠다고 했더니 크레타에서 가장 관광객이 많이 가는 곳은 '미궁'으로 .. 2024. 3. 31.
한가롭게 낙랑 놀음할 때인가, 만리장성을 말하라 난 아무리 봐도 낙랑군을 둘러싼 논란 핵심은 낙랑 위치가 아니라 만리장성 같다. 진한시대 만리장성, 어디서 끝난 거야? 그 끝난 지점이 수성遂城이자너? 수성...뜻 글자 아녀? 만리장성이 끝나는 지점이라는 뜻이자너? 아냐? 이것도 부정할 거야? 낙랑이 평양이면 수성은 한반도 평양 부근이 될 수밖에 없자나? 낙랑이 여기라메? 실제 수성현 위치를 평양 주변으로 찾은 이유가 이거 아냐? 이병도가 이걸 근거로 대동강인가 황해도까지 만리장성을 끌어들였자나? 수성이라는 뜻 때문일 텐데? 아냐? 그럼 낙랑 평양설에 의하면 만리장성 평양까지 온 게 당연하자나? 왔어? 진짜로 만리장성이 평양까지 왔어? 그 만리장성 어딨어? 희한한 일일세. 낙랑 평양설을 주장하는 그 누구도 지금 만리장성이 평양까지 들어왔다는 사람은 없으.. 2024. 3. 30.
세계사의 갈라파고스- 한국 고대사 우리는 잘 모르고 있지만 한국 고대사는 세계사의 갈라파고스다. 무슨 말인고 하니 한국 고대사에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상당 부분의 내용이 우리끼리에서나 통용되는 이야기라는 뜻이다. 나이가 들고 보니 요서에 고조선이 있었네 아니네 만주가 한국땅이네 아니네 하는 이야기보다 더 중요한 것이 한국에서 배운 것이 세계적으로도 동일하게 인정받는 내용이라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보면, 만리장성 동단은 우리나 압록강, 요동반도 심지어는 요서의 어디라고 떠들고 있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역사지도에는 만리장성은 청천강까지 내려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고조선? 전기 고조선은 십이대영자와 정가와자로 구성된다는 주장이 최근 한국학계에서 힘을 얻고 있다고 하지만, 이것도 우리나 떠들고 있지 십.. 2024. 3. 30.
“開者即死[개자즉사]” 열면 뒤진다(1) 1957년 중국 서안성西安城 서쪽 양가장梁家庄 부근 한 공사장에서 무덤 하나가 발견됐다.지금의 서안시西安市 옥상문玉祥门 밖 서대가西大街 남쪽 약 50미터 지점이다.이곳에서는 석관이 발견되고 더구나 도굴 흔적이 없었다.이에 기쁜 마음으로 좋은 유물이 많겠지 하는 생각에 고고학도들이 관 뚜껑을 열려던 사람들이 멈칫하고 말았으니그에서 선명한 네 글자를 마주한 까닭이다.開者卽死[개자즉사]열면 바로 뒤진다뭐 이 정도 뜻이다.이 저주문이 효과 하나는 톡특히 냈다.아주 조심스럽고 세밀한 조사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이 무덤에서는 금 은 동 철기와 자기 유리 옥 칠기 도용陶俑 등 230건에 이르는 껴묻거리가 수습됐다.  #이정훈 2024. 3. 30.
[해남 읍호리 고분과 훼기毁器] (3) 고의성을 탑재한 박살내기 그렇다면 저 무덤방 바닥에 그릇 쪼가리들을 동강내서 깐 일은 우연인가? 다시 말해 마침 적당한 건축 자재가 없어 옆에 보이는 휴대용 아궁이를 비롯한 부엌 가구 세트들을 깨뜨려서 바닥에다 잔뜩 깔아 시신 자리로 썼을까? 이 물음에 우리는 아무래도 고개를 저을 수밖에 없다. 기왕 바닥에 깔 것이라면 저런 질그릇 쪼가리 아니어도 얼마든 대체제가 있다. 자갈이나 깬돌을 깔아도 된다. 실제 이런 식으로 깔아서 관 받침으로 활용한 데는 많다. 나아가 그렇게 깨뜨려 넣은 것들이 공교롭게도 일정한 흐름을 지닌다? 다시 말해 저 조각들을 조사단이 다시 찡가 맞춰 봤더니 아궁이를 비롯해 부엌 가재도구 일색이라는 점은 아무래도 의도가 개입했다 보지 않을 수 없다. 같은 질그릇이라 해도 이 또한 얼마든 대체제가 있을 텐데 하.. 2024. 3. 30.
머리를 남쪽으로 두는 빈소에서의 시신 주자가례朱子家禮 권4는 흉례凶禮라 해서 죽음에 따른 장송葬送 절차를 규정하거니와, 그 절차 중 갓 죽은 이를 관에 안치하기 전에 해야 할 일로 다음과 같이 규정하니 執事者設幃及牀, 遷尸掘坎. (장례를 주관하는) 집사는 (죽은 사람 시신이 있는 방 혹은 시신 앞에) 휘장을 치고 시신을 (그 휘장 뒤로) 옮기고선 구덩이를 판다. 이에서 말하는 구덩이는 아직 빈소도 차리지 않은 상태이니 실제 시신을 묻을 구덩이를 말하는 것은 아닌 듯하거니와 빈전을 설치하는 그곳에 마련하는 구덩이를 말할 것이다. 이건 본론에서 벗어나므로 여기서는 치지도외키로 하고 이 구절에는 다음과 같은 주자 보주補注가 있으니 執事者以幃幛臥內, 侍者設牀於尸牀前, 縱置之, 施簀去薦, 設席枕, 遷尸其上, 南首, 覆以衾, 掘坎於屏處潔地. 집사는 휘.. 2024. 3. 30.
한국사와 일본사 일본사는 그 서술에 있어 정성이 많이 들어간 역사인데 반면에 과장도 꽤 많다. 한국사의 과장이 누가 봐도 알 수 있는 서투른 수준인데 반해 일본사의 과장은 여간 주의해서 보지 않으면 알아차라지 못하게 잘 덮여 있을 뿐이다. 그렇다고 해서 과장이 없는 것도 아니고 왜곡이 없는 것도 아니다. 한국사는 한국사를 잘 몰라도 뻥이란 걸 눈치챌 수 있지만 일본사는 일본사를 잘 모르면 무엇이 왜곡이고 과장인지 잘 알 수가 없다. 그렇다고 과장이 없는 건 아니고 왜곡이 없는 것 아니라는 말 다시 한 번 해 둔다. 역사학에 요구하는 사회와 인간의 욕구, 자존심의 충족, 열등감의 해소 등 어느 나라 역사에서도 볼 수 있는 요소들은 일본사에도 역시 있다. 이걸 대략이라도 눈치 채려면 일본사에 대해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데 대.. 2024. 3. 30.
[카슈가르 막이사유지莫尔寺遗址] (4) 출토 유물 출토 유물은 조각들을 포함해 약 3만 건을 헤아리며 종류를 망라한다. 출토 도陶·동铜·석石·목木·전폐钱币와 석고불상石膏佛像 등 유물 표본标本과 잔건残件 약 3만 건이다. 대량의 환경물질大量环境物质과 잔류물, 그리고 동식물표본动植物标本을 채집해 과학수단을 대폭 동원해 유지에 대해 micromorphology를 실시하고, 폐기된 후 재활용품·동실물종군·유물산지와 잔류물 및 주변 고환경 등을 종합분석했다. 감정 결과 동물골격 주요를 보면 양羊과 황우黄牛 그리고 말马로 드러났고 식물로는 복숭아[桃]·행杏[살구 혹은 은행]·도꼬마리[苍耳]·대추大枣·소맥小麦·보리[青稞]·포도葡萄·첨과자甜瓜子·기장[黍]·밤[粟]·대마大麻·박[葫芦]·정우국顶羽菊 및 케이퍼刺山柑 등의 종류로 나타났다. 이는 결국 유지遗址环 환경과 사원.. 2024. 3. 30.
[카슈가르 막이사유지莫尔寺遗址] (3) 대규모 건축물의 출현 조사 결과 산문대도山门大道·산문대전山门大殿·주전主殿을 감싼 다칸식 대불전多间式大佛殿·중심 불탑佛坛 혹은 탑주塔柱를 두른 “回”자형 불전佛殿·독동식 승방独栋式僧房·좌대坐台를 갖춘 승방僧房 혹은 선실禅室·주방厨房·강당讲堂 등 10여 처 대형大型 건축기지建筑基址가 드러나고 원형 불탑佛塔의 기대基台와 더불어 방형 대탑大塔의 기좌基座와 기대基台가 드러나고 부분적으로 복원되었다. 모든 건축물은 정비한 자연 대지에다가 건설한 토배건축土坯建筑이라, 건축물 안팎 풀을 섞은 벽돌담에는 고르게 백석회白石灰를 발랐다. 고르지 못한 지면은 다져서 견고하게 하고 편평하게 했다. 일부 방은 토배土坯로 바닥을 깔고 다른 일부에서는 백석회를 바닥에 깔았다. *** 토배土坯란 간단히 말해 풀과 같은 식물을 섞어 쌓은 벽돌건물을 말한다... 2024. 3. 30.
소싸움을 스페인 투우랑 동일시할 수는 없다. '동물 학대' 논란 속 소싸움 문화재 검토 보류…"학술조사 먼저" 송고시간2024-03-29 15:24 신규 지정 조사 대상 포함했다 재논의…사행성·학대 등 검토 예정 https://www.yna.co.kr/view/AKR20240328171700005?section=culture/scholarship '동물 학대' 논란 속 소싸움 문화재 검토 보류…"학술조사 먼저"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소싸움을 둘러싸고 전통문화와 동물 학대라는 주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을 위한 조사 절차가 보류...www.yna.co.kr 여러 가지 고려해서 이리 했으면 한다고 문화재위가 결정했겠지만, 저 논란 중에서도 소싸움을 반대하는 동물보호단체들 목소리가 있다 하거니와 이 문제는 반드시 짚.. 2024. 3. 30.
위만조선은 중국인 정복국가다 이 평범성을 왜 그리 쉽사리 망각하는지 모르겠다. 위만조선은 기존 기자조선 혹은 고조선이라 지칭하는 왕조를 정복하고 들어선 새로운 왕조다. 이 왕조 오야붕은 위만이라 하는 중국 도망인이다. 그가 한 제국 성립 이후 이성 봉건 제후들을 유방이 처단하는 과정에서 걸려든 연나라 제후이자 왕인 노관이 처단되는 와중에 그 혼란을 피해 연燕과는 그 동쪽 변경을 접한 고조선으로 도망쳐 들어가 같이 도망가고 혹은 나중에 합류한 연나라 유민들을 규합하고는 고조선 준왕한테서 그 서쪽 변경을 지키는 총알받이 하라고 방 백리를 떼어주고서는 너 거기서 총알받이 잘하고, 국경 수비대 역할 잘 하라고 분봉해준 작은 고조선 제후였다. 하지만 야금야금 힘을 키운 위만은 마침내 때가 되었다고 판단하고서는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찬.. 2024.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