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왕후 오씨, 질외사정 피임을 거부한 왕건의 여인
잘 알려진 것처럼 고려 태조의 후비는 29명이다(왕건이시여~). 그중 성씨, 본관, 아버지, 할아버지, 외할아버지에다가 어머니의 이름이 밝혀진 분은 둘째 장화왕후莊和王后 오씨 한 분뿐이다. 장화왕후 오씨吳氏는 나주인羅州人이다. 할아버지는 오부돈吳富伅, 아버지는 오다련군吳多憐君으로, 대대로 나주의 목포木浦에 살아왔다. 오다련군은 사간沙干 연위連位의 딸 덕교德交에게 장가들어 왕후를 낳았다. - 권88, 열전1, 후비1, 태조 후비 장화왕후 오씨 같이 실린 다른 태조의 후비들을 보면 본관과 아버지 정도만 언급되고, 더러는 성씨마저 잃어버린 경우도 있다. 분명 이들은 당대 내로라하는 세력의 여식들이었을 것인데 말이다. 나 는 한목소리로 오씨의 집안이 '측미側微'하다고 진술한다. 그 진술 뒤에는 그래가지고 태조가..
2024. 1. 14.
왜 왕은 자기 의견을 말하지 않는가? 토론의 전형
성종실록 163권, 성종 15년 2월 23일 경신庚辰 두 번째 기사 1484년 명 성화成化 20년에 성종은 승정원承政院을 통해 관리들한테 아래와 같이 전교한다. "대신大臣이 졸卒하여 거애擧哀함은 《대전大典》에 실렸으나, 이제 대비전大妃殿이 있는 까닭으로 행할 수가 없다. 내가 예문禮文을 상고하건대, 회장會葬하는 예禮가 있어 내가 행하려고 하니, 이제 《대전大典》을 수개讎改하여 첨가해서 기록함이 어떠하겠느냐?" 하니, 우승지右承旨 권건權健 등이 합사合辭하여 아뢰기를, "성상의 하교가 진실로 마땅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큰 일이니, 홍문관弘文館으로 하여금 고제古制를 상고하게 함이 어떻겠습니까?" 하고, 우부승지右副承旨 김종직金宗直이 아뢰기를, "예전에 위징魏徵이 졸卒하여 백관百官이 회장會葬하였으나, 이것은 특..
2024.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