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0044 통념으로부터의 탈피, 새로운 통념의 주입 신라를 비롯한 고려 이전 고중세사를 접근하는 첩경은 한 여자가 두 남자 이상한테서 씨를 받을 수 있다는 통념의 주입이다. 왜 자꾸 여자는 한 남자만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고려 시대만 해도 이런 여자가 쌔고쌨다. 심지어 아버지 여자를 취한 아들도 흔해 빠졌다. 이것만 이해하면 미해결로 치부한 역사의 비밀 상당수를 파헤친다. 외려 이혼과 재혼이 흔한 지금이 바로 신라사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시대다. (2017. 1. 16) *** 고대사를 공부하는 이유 중 하나가 현대의 상대화다. 절대적 가치 혹은 통념 혹은 상식의 파괴다. 현재를 상대화하고 객관화하는 일, 그것이 시급하다. 말로야 이리 떠드는데 하는 짓을 보면 당대에 사로잡혀 한 발짝 진전이 없다. 내가 역사를 볼수록 신이한 것은 그것이 끊임없.. 2024. 1. 16. 1915년 흑판승미 조선사적유물조사복명서 서문 서언 우리 상대에 일한 교섭이 빈번했다는 것은 우리 상대사를 연구할 때 우선 주의해야 한다고 하지만, 역사서에서 빠뜨리거나 오류가 있어 이것을 상세하게 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조선사에 그 자체에서도 아직 해결해야 할 것이 적지 않다. 이번 승미勝美의 출장 목적은 그 실지를 답사하여 고고학·역사지리학 등의 방면에서 그것을 관찰하고, 그럼으로써 상대사 연구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 데 있다. 그래서 남선南鮮에서 여행 대부분을 보냈는데, 신라·임나 땅인 경상남북 양도는 2~3개군을 제외하고 거의 답사했으며, 특히 낙동강 유역 섬진강 연안 및 진해만 부근을 정밀 조사하였고, 우리 상대上代 문명과 지대한 관계가 있는 백제 땅이 충청남북 전라남북 4개 도에 걸쳐 있었고, 또한 그 중요한 지점을 지나, 금강 유역 .. 2024. 1. 16. [대물大物 이야기] 거근巨根의 창시자 노애嫪毐 (1) 장사꾼 여불위 중국이 기나긴 춘추전국시대를 지나 서쪽 변방 진秦이 통일왕조를 이룩하는 데 터전을 닦은 이는 소양왕昭襄王 혹은 약칭 소昭王으로 일컫는 군주라, 그가 닦은 터전을 토대로 시황제 시대에 이르러 마침내 분열한 중국 대륙을 하나로 통일했다. 소양왕은 무엇보다 재위기간이 길어 기원 306년에 보위를 이어 기원전 251년에 사망했으니, 반세기를 넘는 기간 안정된 국정을 운영했다고 평가된다. 한데 재위기간이 길어지면서 그에게도 고민이 있었으니 후계 문제였다. 태자가 있었지만 그의 재위 40년째에 그만 죽어버리니 그 다음 아들 안국군安國君을 태자로 봉했다. 이 안국군이 훗날 아버지 뒤를 이어 왕이 되니 효문왕孝文王이라 일컫는 이다. 이 안국군한테는 이미 아들이 스무 명이 넘게 있었다. 한 여자한테서 저리 많은 아들을 .. 2024. 1. 16. 늙어야 비로소 아는 30대 그래 어찌 나 하나로써 일반화하겠는가? 하지만 나만 아니라 주변을 봐도 이후 펼쳐지는 인생은 이 삼십대에서 결딴 난다. 학문하는 놈들? 볼짝없어 이 삼십대에 벌어놓은 것으로 생평을 울거먹고 살 뿐이다. 내가 그렇고 주변을 봐도 다 그렇다. 30대 탱자탱자한 놈이 뒤늦게 정신차려 맹렬 정진해서 40대에 공부한다? 있을 수도 없고 있어서도 안 된다. 40대에 정신차리는 놈 세상을 망친다. 그만큼 30대는 전체 삶을 결딴하는 획기다. 앞으로 내가 뭘 먹고 살 것인가는 오직 이 30대에 결판날 뿐이다. 나를 돌아보면 저때는 미쳐서 살았다. 그래서 건강을 해쳤지만, 기고 만장하여 온 세상이 내 발 앞에 엎드린 듯한 기개로 산 시절이었다. 방황? 그런 지랄은 20대로 집어쳐야 하며 회의? 그딴 지랄할 시간이 어딨단.. 2024. 1. 16. 1915년 능산리 조사의 의문점 이해 한여름 7월에 도쿄제국대학 출장 명령을 받고 조선고적을 답사 중이던 흑판승미黑板承美 칠판씨는 부여 능산리에서 중하총과 서하총 두 고분을 발굴했다. 서하총 발굴이 진행될 무렵, 세키노는 조선총독부 명령으로 부여 고적조사를 벌이던 중 현장에 도착한다. 세키노는 현장에서 서하총 발굴 현장을 봤다. 그러고는 그 자신도 같은 능산리 고분군 6기 중 하나를 골라서 팠다. 이런 사실은 두 사람이 남긴 글에서 각각 확인된다. 문제는 이들이 이때 발굴한 능산리 일대 백제 고분이 이것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흑판씨 복명서를 보면, 중하총과 서하총 발굴을 끝내고는 세키노 일행과 함께 같은 능산리에서 무덤 하나를 더 팠다고 했다. 흑판씨는 이 무덤이 깬돌로 벽을 쌓은 구조라는 점에 착목해 이를 할석총割石塚이라 명명하고는 .. 2024. 1. 16. 점패방지진鮎貝房之進 요미가타를 찾아 헤맨 시절 논문이 논문을 낳고, 책이 책을 낳는다. 학문을 직업으로 하는 자들이 논문과 책을 싸질러야 하는 이유다. 한 논문, 한 책 쓴다고 몇 년을 묵히는 놈들, 나는 믿지 않는다. 식민지시대 한국 고고학사 정리는 나로선 2000년 풍납토성을 준비할 때 욕심을 냈다. 그땐 점패방지진 요미가타도 모를 때라, 그거 찾는다며 온사방을 뒤졌다. 연구소 박물관 자료실을 가고 중앙도서관 귀중본 서고를 들락거렸다. 그래도 안 보이더라. 어느날 손보기 선생을 만났더니, 아유가이 운운하시길래 그때서야 아유가이 후사노신이란 사실을 알았다. 그땐 그랬다. 도쿄대학에서 관야정 자료가 정리되기도 전이었고 을축년 대홍수 직후 현장을 둘러본 일본 인류학도 겸차 뭐시기 하는 인간도 약력조차 구하기 힘들었고 곡정제일이며 야수건이며 하는 놈들은.. 2024. 1. 16. 조선총독부 국박 고문서의 추억 2000년 혹은 그 이듬해 무렵이 아니었나 한다. 교토대학 인문학연구소 어떤 교수가 날 찾아왔다. 나를 직접 찾은 것은 아니로대, 잘 아는 국내 어느 지인을 통해 무슨 자료를 보려 했다가 내가 걸린 모양이었다. 다카기 쇼지. (다카기 히로시인데 나는 맨날 쇼지 라 불렀다.) 만나 얘기를 들어보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총독부 시대 고문서를 보고 싶다고 했다. 지금은 그 고문서 상당수가 공개되었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아무도 쳐다보지 않을 때라, 박물관에서도 노란봉투에 담가서 보관만 하던 시절이다. 만나 얘기를 나눠보니 다카기 교수는 교토대 전근 이전 삿포로대학에 재직하면서 도쿄박물관 고문서를 정리했다. 그 조사성과는 공개되었다. 그러면서 다카기가 말하기를 "이빨이 빠졌다. 총독부 문건을 같이 봐야 한다"고 하.. 2024. 1. 16. 현재와는 위치가 많이 다른 부여 능산리 무덤들 구로이타 가쓰미黑板承美 1915년 복명서가 첨부한 능산리 고분군 일대 지도. 고분 배열 양상이 현재랑 많이 다르다. 지금의 봉분 중 일부가 제 위치 아닐 공산이 크다. 그리고 이를 보면 참도 흔적이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2017. 1. 16) *** 근자 천지사방 무덤이라는 무덤은 다 파제끼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이것도 파제끼거나 파제낄 예정이라는 소식을 접한 듯한데 어찌 되었는지 모르겠다. 요새는 하도 저런 쪽을 쳐다도 안 봤더니 업데이트가 느리다. 아래는 이런 식으로 현재 배치되어 있는데 1915년 자료를 믿는다면 엉뚱한 무덤을 만들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저 참도 흔적은 조사해 봐야 한다. 2024. 1. 16. 윗사람의 예에 대하여 윗사람 중에 나이 어린 사람이 인사를 해도 잘 안 받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한테는 아무리 나이가 손위라도 인사할 필요가 없다. 인사를 받거나 안받거나 꼬박꼬박 인사하는 것. 그런 것을 우리는 노예의 예절이라 한다. 공자님은 뭐라고 하셨냐 하면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다. 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 봉건시대의 임금도 신하를 대할 때는 예로써 대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 유교적 질서인데 기껏 나이 몇살 더 먹었다고 인사를 씹는 인간들은 인사를 해줄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공자님이 위 글에서 왜 군사신이례를 신사신이충보다 먼저 이야기 했겠는가. 신하의 충성을 받기 위한 전제 조건이 임금이 예로써 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갈량의 출사를 끌어내기 위해 유비는 삼고초려를 하는 것이다. 臣本布衣 躬耕南陽 苟.. 2024. 1. 16. 모스크 돌릴 땐 언제고 유료화 선언한 성소피아성당 이스탄불 소재 아야 소피아(성소피아성당 Hagia Sophia는 무슬림 세숙주의를 채택한 무스파타 케팔 파샤에 의해 박물관 으로 바뀌어 그 지위를 오래 유지하다가 2020년 느닷없이 무슬림 사원인 모스크로 전환됐으니, 무슬림주의자 튀르키예 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Recep Tayyip Erdoğan의 결정이었다. 박물관이냐 모스크냐 가장 큰 차이점은 자유로운 관람 여부에 있다. 물론 모스크라 해서 관람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성소로 되돌려진다 함은 그에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른다는 뜻이다. 박물관은 문화시설이라 그에서 특정한 종교로 무장한 특정한 의식을 집행할 수는 없다. 이것이 결정적인 차이다. 예컨대 한국 국립중앙박물관은 박물관이라, 그 섹션 중 하나인 사유의 방은 철저히 관람객 위.. 2024. 1. 16. 수레도 매단 대물大物로 천추태후를 농락한 김치양 강조의 쿠데타를 부르는 빌미가 된 김치양金致陽은 드라마 고려거란전쟁을 통해 우복야右僕射라는 고위직 타이틀을 뒤집어 쓴 것으로 나오는 인물로, 그 행적이 좋지는 아니해서 고려사에서는 반역叛逆으로 분류해 열전을 배치했다.(권 제127 열전 제40) 이를 보면 그는 동주洞州 사람으로 천추태후千秋太后 황보씨皇甫氏 외족外族이다. 고려시대 동주가 어딘지 정확히 나는 모르겠다만, 변방 아닌가 싶은데, 아무튼 이런 촌놈이 어떻게 해서 출세하게 되었는지는 묘한 측면이 있다. 이에 대해 그의 열전에서는 성격이 간교하고, 일찍이 거짓으로 중 노릇을 하면서 천추궁千秋宮을 출입하며 자못 추한 소문을 일으키니, 성종成宗이 이를 알고 곤장으로 다스려 먼 곳으로 유배 보내었다고 했으니, 이를 김치양 주체로 이해하면 출세하고자 중의 .. 2024. 1. 16. 문난問難 : 성리학의 입도방식 성리학은 선생이 학생에게 강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성리학에의 입문은 사서집주로도 충분하다. 독학할 수도 있다. 조선에서의 성리학이 중국인의 전파에 의해 이루어졌는가? 성리학의 이해가 깊어지는 과정이 유학자들 사이의 논쟁을 통해 발전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성리학의 입문과 이해의 심화는 독학과 어려운 부분에 대한 문난으로 이루어진다. 옆에서 아무리 가르쳐 봐야 이해의 정도가 높아지지 않는다. 사실 사서집주의 주자의 주석을 완전히 이해하면 책을 많이 볼 필요도 없다. 그 안에 성리학의 모든 것이 있다. 주자어류나 성리대전, 성학십도도 따로 볼 필요도 없다. 어차피 사서집주의 이야기를 정리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주자가 남긴 필생의 저작은 사서집주라 할 수 있다. 그 안에 다 있다. 대개 .. 2024. 1. 16. [지증왕의 아버지를 찾아서] (2) 화랑세기와 상장돈장이 말하는 기보와 습보 여러 번 지적했지만 남당 박창화 필사물 중에는 《화랑세기》만 아니라 그와 뗄 수 없는 세트로 《상장돈장上章敦牂》이라는 화랑세기 등장 인물들을 중심으로 하는 계보도가 있다.현존 화랑세기는 워낙 훼손 결락이 심해 그 원본의 본래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우리는 알 길이 없다. 그 탈락 결락한 상당 부분을 우리는 이 상장돈장을 통해 보충한다. 그렇다면 화랑세기, 그리고 이 상장돈장에는 지금 우리의 관심인 지증왕의 두 아버지 습보習寶와 기보期寶가 어떻게 처리되는가? 나아가 그것이 현재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보이는 습보 기보와는 어디에서 만나고 어디에서 갈라지는가? 그에 앞서 우리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각기 보이는 습보와 기보를 다시금 정리할 필요가 있다. 앞서 보았듯이 먼저 삼국사기를 따르면 습보는 내물왕의 손자.. 2024. 1. 16. 혼자서 해도 되는 성리학 공부 흔히들 성리학 공부는 퇴계의 성학십도나 율곡의 성학집요, 아니면 주자어류, 성리대전 이런 책 갖다 놓고 스승을 한 분 모셔다 두고 공부해야 하는 거라 볼지 모르겠지만, 사실 이런 책들 다 필요 없고 주자가 주를 달아 놓은 사서집주 하나만 있어도 된다. 사서집주에 달아 놓은 주자의 이야기가 사실 주자학의 전부이다. 그 내용을 이해하기 까다롭고 헷갈리다 보니까 혹시나 도움이 될까 싶어 주자어류, 성리대전도 보고 조금이라도 쉽게 공부하려고 요약 노트라고 할 성학십도, 성학집요도 보는 것이지, 사실 그런 책 본다고 주자학을 더 잘 알게 되는 것도 아니다. 더 헷갈리기만 한다. 그게 주자어류나 성리대전 본다고 의문이 해결될 것 같으면 애초에 퇴계-고봉의 논쟁 같은 건 시작될 이유도 없다. 책 보면 다 나오는데 왜.. 2024. 1. 16. 정확하게 일본에 뭘 전해준 건지 모르는 조선 성리학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조선성리학은 일본에 뭔가 전해준 것은 맞다. 그리고 그것도 일본성리학의 본격적으로 도약하기 시작하는 시기에 큰 영향을 미친 것도 맞다. 그런데 문제는 도대체 뭘 전해줬는지 우리가 잘 모른다는 게 문제다. 조선은 일본에 성리학을 전해준 것이 아니다. 성리학을 전해줬다는 게 얼마나 웃긴 이야긴가. 임진왜란 전후한 시기는 이미 주회암이 사망한지 4백년 가까이 되는 시기로, 주자의 주가 사서에 찍혀 돌아다니던 때였다. 주자학을 보기 싫어도 사서를 구해 보면 안 볼래야 안 볼 수가 없는 시기였다는 말이다. 그러니 일본 쪽에서는 조선이 주자학을 전해 준 것이 아니라는 말도 한다. 그 이전부터 일본은 주자학을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도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다. 일본이야 받는 쪽 입장.. 2024. 1. 16. 할머니 죽음을 절규하는 성종 왕치王治 고려 제6대 국왕 성종 왕치王治는 아버지가 왕건의 아들 대종戴宗 왕욱王旭이요, 어머니는 선의태후宣義王后 유씨柳氏라, 이 선의태후는 다시 아버지가 왕건, 엄마가 정덕왕후貞德王后 유씨柳氏라, 복잡한 콩가루 집안 사정을 다시금 확인한다. 뭐 복잡하니 아래 계보도를 참고해 주셨으면 한다. 보다시피 그 부모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아버지는 왕건으로 같지만, 어머니가 다른 이른바 동부이모同父異母간 결혼이다. 앞서 말했듯이 고려 왕조는 이럴 때 여자는 아버지가 아닌 어머니 성을 따른다. 왜? 그래야만 대외로 우리는 족내혼이 아니라 족외혼이다 라는 사기를 칠 수 있는 까닭이다. 성이 다른 사람들이 결혼했으니, 우린 남남과의 만남이다 이런 식의 사기를 쳤다는 뜻이다. 따라서 성종한테 신정왕후神靜王后 황보씨皇甫氏는 친할머니다.. 2024. 1. 16. 당시: 靜夜思 (이백) 床前明月光 疑是地上霜 擧頭望明月 低頭思故鄕 너무 유명한 시라 이 블로그에 새삼 올릴 것도 없지만 지금 아니면 포스팅하기도 어려 울것 같아 올린다. 오늘 같이 추운 날에 술 한잔 데워놓고 읽고 보면 좋은 시인데 달빛인 줄 알았더니 서릿발이고 고개를 들어 달을 한번 보고 고개를 다시 숙이며 고향을 생각한다니 이백 답다. 이 시는 당시삼백수에는 있는데 왠일인지 고문진보에는 없다. 고문진보에는 없는데 워낙 유명해서 그런지 모르는 사람이 없는 시다. 이백 답지 않게 호방하기 보다 깊게 침잠하는 모습인데 필자 짐작에 취하지 않고 맨정신에 쓴 시 아닌가 한다. 2024. 1. 15. 종모성從母姓, 근친혼 사회의 족외혼을 위한 가식 성씨 탄생 이후 인류사는 부계 중심으로 일방적 흐름을 보였으니 그에 대한 근자의 움직임은 여기선 일단 논외로 치고 그 대표 증좌가 아들딸 구별없이 그 자식은 남자 성씨를 따르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예외없는 법칙은 없어 간혹 어머니쪽 성씨를 따르기도 하는데 이를 종모성從母姓이라 한다. 종모성이 탄생하는 조건이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크게 두 가지 경로로 좁힐 수 있으니 첫째 아버지가 누군지 모르고 엄마만 알 때는 엄마성을 따른다. 두번째는 아버지를 알고도 일부러 아버지를 피하고 엄마성을 따르는 경우가 있으니 오늘 이야기하고 하는 것은 바로 이 경우다. 이 두 번째는 극심한 근친혼 사회에 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으니 이 근친혼 사회라 해도 마누라는 반드시 그 씨족 바깥에서 데리고 와야 하는 족외혼이 작동하는 .. 2024. 1. 15. 고려사는 개족보와의 전쟁터 이 개새끼가 종족을 번식해 가는 과정은 재미 있는데, 본래 암캐 한 마리였다가 이 암캐 한 마리가 어디 가서 배가 불러와서는 몇 마리 낳은 순간부터 잡식성 번식을 해가니 이미 이 단계가 되면 지들끼리 번식 시대라, 애미 자식이 새끼를 까고, 새끼들끼리 새끼를 까고 하니, 이를 개족보라 한다. 신라시대 역시 마찬가지였지만, 신라시대 그 면모는 기록 망실로 그 실상을 엿보기가 부족하지만, 고려시대 접어들어서는 사정이 달라져 그 개족보가 비교적 완연히 남은 까닭에 그 계보를 그릴 수 있거니와 흡사 개족보에 다름 아니다. 이 극심한 근친혼 사회는 놀랍게도 그것을 지탱 운용하는 원리가 있는데, 이 원리를 벗어나면 그것이 대의大義를 범한 것으로 간주되어 목숨을 내놓아야 하기도 했으니 비록 지친至親이라는 이유로 조카.. 2024. 1. 15. 왕건의 소폰서 황보씨皇甫씨 고려왕조를 개창한 태조 왕건은 삼한을 일통하는 과정에서 군사적 협박과 더불어 결혼을 고리로 지역 토호들을 포섭했으니, 이 과정에서 무수한 여인을 후실로 맞아들이게 되거니와, 개중 한 명이 훗날 죽은 뒤에 신정왕태후神靜王太后라는 이름을 얻은 황보씨皇甫氏다. 고려사 권 제88 열전 제1 후비后妃 전에 의하면 그는 지금의 황해도에 위치하는 황주黃州라는 고을 사람으로 훗날 고려 왕조 개창 이후 태위太尉라는 벼슬에다가 삼중대신三重大匡이라는 직책 혹은 직급으로 승진하고 죽어서는 충의공忠義公이라는 시호를 받은 황보제공皇甫悌恭이라는 사람 딸이다. 왕건은 남는 장사를 한 사람이라, 철저히 주고받기를 했으니, 황보제공이 정확히 저 결합 무렵에 어느 정도 위상을 지녔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떼부자였을 것이다. 왜? 통일에.. 2024. 1. 15. 백년전 제주읍성 무지개다리 제주읍성 안에 있었다는 무지개다리다. 아마도 지금 제주지방기상청 앞 산지천 위에 있었다는 북수구 홍교가 아닌가 싶은데. 오늘날의 산지천을 생각하니 격세지감이 든다. 백년 남짓 지났을 뿐인데 참 많은 것이 달라졌다. 2024. 1. 15. 이전 1 ··· 288 289 290 291 292 293 294 ··· 9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