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976

아무도 하지 않은 일, 누군가는 해야 하는 일 지금을 포함해서 퇴임 이후에도 내가 갔으면 하고, 내가 가고 싶은 길이 저것이다. 남들이야 어찌 생각할지 모르나 난 직업이 글쟁이다. 이 글쟁이가 그래도 사회에 기여할 만한 일말의 자리라도 있다면 저 일을 하고 싶다. 나는 기자를 떠나도 기자일 것이다. 애초 그리 태어난 것은 아니요 후천으로 길든 삶이기는 하나 이 길 말고는 내가 자신 있는 길이 없다. 어떤 기자 어떤 글쟁이여야 하는가? 바로 저 길이다. 내가 아니면 할 수 없는 그런 일을 찾을 것이다. 내가 아니면 매몰할 사람과 현장을 찾아다니고자 한다. 아무도 하지 않으나 누군가는 해야 하는 그런 일 말이다. 장마라고 매일 비가 오는 것도 아니요 그 어중간 견디기 힘드리만치 푹푹 찌기도 한다. 범벅하는 비린내에 내가 나 자신한테 소스라치게 놀라고, .. 2023. 7. 6.
한강과 중랑천 두물머리를 똬리 튼 뚝섬 수도박물관 우리 쪽 업계에서 보통 수도박물관이라 하면, 대뜸 중국 수도 북경 수도박물관首都博物館이지만, 엄연히 서울에도 수도박물관이 있어, 다만 그 기능 혹은 성격은 판이하게 달라 무엇보다 그 한자 표기가 水道博物館이라, capital을 표방하는 전자에 견주어 후자는 water를 염두에 둔다. 이 수도박물관은 국내 박물관 업계에서는 매우 생소한 편이지만, 여러 모로 눈길을 줘야 하는 문화시설이라, 위선 그 위치를 보면 아주 묘해서 보다시피 한강변 서울숲에 바로 인접하며, 나아가 더 구체로는 중랑천이 그곳으로 합류하는 지점에 형성된 뾰족한 땅을 차지한다. 따라서 이곳 역시 두 강물이 합쳐지는 두물머리인 셈이다. 혹자는 두물머리가 남한강 북한강 합류지점만을 전유專有한다 생각하기 십상이나, 두물머리는 글자 그대로 두 물.. 2023. 7. 6.
한국인의 기원 3부작 논문예고 올해부터 내년까지 본 연구실은 "한국인의 기원 3부작"을 논문화 하여, 첫번째 논문은 일본에, 두번째 논문은 중국에, 세번째 논문은 한국에서 각각 투고하여 출판을 시도하기로 하였다. 세 논문의 내용은 모두 다르다. 첫번째 논문은 유전학적 연구에 대한 서평, 두번째 논문은 인골 연구에 대한 서평, 그리고 세번째 논문은 전술한 두 논문을 합쳐 국문으로 논문화 하기로 했다. 논문의 주제는: 요서지역의 신석기-청동기시대 사람에 대한 최근의 보고에 대한 종합적 검토이다. 최근의 연구 성과를 보면, 요서지역에 고조선이든 뭐든 있었다 없었다는 대답을 달기 여전히 어렵지만, 이 지역이 한국인과 문화적 측면 뿐 아니라 주민의 혈연적 측면에서도 매우 관련성이 높다는 점은 이제 부정하기 어렵게 되었다고 본다. 그 내용을 쓸.. 2023. 7. 6.
청자 순화 4년명 호 靑磁淳和四年銘壺, 죽은 왕건을 위한 봉헌물 청자 순화 4년명 호 靑磁淳和四年銘壺 Jar with Inscription of "4th Year of Sunwha". Celadon 국보 제326호 National Treasure No.326 고려 993년 Goryeo 993 보물이었다가 2019년 5월 2일 국보로 승격했다. 이화여대박물관 소장. 점토로 만든 후 황록색 회유 계통 유약을 입힌 이 항아리에는 제작 시기와 용도를 알려주는 음각陰刻 명문銘文이 굽바닥에 있다. 한반도에 청자가 처음으로 만들어지던 10세기 고려시대 초기에 등장하는 가장 확실한 제작 연대를 갖춘 유물이라는 점에서 도자사 연구에서 그 중요성이 첫 손에 꼽힌다. 실제로 이 유물은 한반도에서 제작한 청자로는 연대를 알 수 있는 가장 이른 시기 완형 유물이다. 바닥 명문은 다음과 같다.. 2023. 7. 6.
왜 공양구를 한꺼번에 묻었을까? by 김태형 퇴장 유물. 글쎄 전부터 그런 생각은 들었지만 전쟁통에 불기佛器를 굳이 파묻고 도망쳐야 했을까. 삼국유사 전후사리조에 사리를 보호하기 위해 숨겨두었다는 내용은 있지만 불기까지 그러했을까. 그러면 황룡사의 경우 그 큰 장육불들은 그냥두고? 수많은 크고 작은 불상들은? 왜 저런 의식기물이 중점적으로 출토되는지 곰곰히 생각해 볼 문제다. 송광사의 경우 사용하지 않는 불기들은 현재 모두 수장고에 보관하고 있고, 그에 앞서서는 불단 밑에 두기도 했다. 용도 폐기된 불구류, 의식구의 정리방법 중 하나가 아니였을까라는 의견에 동의한다. 대표적으로 부석사 무량수전 아미타상이 있는 불단 밑에서 일제강점기 보수공사 중에 40~50여 구 불상이 왕창 출토된 사례를 꼽씹어 생각해 볼 문제다. *** 송광사성보박물관 김태형 선.. 2023. 7. 6.
고동북유형 인골, 동검문화, 요서지역의 잡곡농경 인류학에서 말하는 고인골의 '고동북 유형古東北類形' 고고학에서 설정하는 '(비파형 및 세형) 동검銅劍문화' 유전학이 지칭하는 요서지역에서 잡곡농경을 수행한 신석기-청동기시대인 서로 다른 학문 분야에서 보이는 이 세 가지, 곧 고동북유형·동검문화·요서지역의 잡곡농경인은 모두 동일한 역사적 실체를 가리키는데 결국 요서지역에서 시작해서 요동과 한반도로 이동한 후 일본으로 일부 빠져 나가는 사람들을 공통적으로 지칭한다. 이렇게 본다면 한국인의 기원은 요서 지역에 있다는 한국학계를 떠돌던 유령같은 학설은 조만간 정설로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낼 가능성이 높다 하겠다. 이쯤만 씁니다. 자세한 것은 앞으로 2-3년 간 몇 편의 논문으로 정리해서 출간할 예정이라 그때마다 이 블로그에 요약 업로드할 것임을 약속드린다. 2023. 7. 6.
비단벌레, 날아다니는 금은보화 오래도록 왜일까를 증폭한 비단벌레를 둘러싼 의문은 어느 정도 풀렸다. 미약眉藥이라, 그런 성분이 있다 해도 특히 광동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 강남 지역에서는 여성들이 주로 남자들한테 환심을 사기 위한 일종의 마약 성분이 있다 해서 그 날개죽지를 덕지덕지 옷에 달라 다녔다는 증언을 통해 우리는 왜 비단벌레인가 하는 의문을 풀었다. 이제 이를 발판으로 우리는 더 나아가야 한다. 그렇다면 비단벌레는 무엇인가? 간단히 이르노니 날아다니는 금은보화다. 이 비단벌레는 그 날개죽지만 장식에 쓴다. 하긴 몸둥아리를 쓰겠는가 발가락을 쓰겠는가 대가리를 쓰겠는가? 오직 오색영롱 찬란한 빛을 발하는 날개죽지를 쓸 뿐이다. 이 날개죽지는 곤충 특유하는 날개가 거개 그렇거니와, 장식품으로 쓰기에는 아주 호조건을 갖추었으니 무엇보.. 2023. 7. 6.
'원로' 두 글자를 지운 김원룡 지금까지도 한국 고고학계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고고학자 삼불 김원룡(1922-1993) 선생님.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멋진 문장력에 그림 솜씨도 뛰어난 분이었다. 사실 이 분의 그림을 하나 구하고 싶은데 빈약한 주머니로는 언감생심, 요즘은 가짜도 적지 않다 한다. 차선으로 구하게 된 것이 서명이 담긴 책들. 이 은 사연이 재밌어보이고 안타까운 면도 있어 한 번 올려보고자 하였다. 1976년 탐구당에서 나온 문고판인데, 읽던 이가 좀 오래 보관하려 그랬던지 책 표지를 비닐로 싸 놓았다. 비닐로 싼 거야 흠이겠냐만, 거기서 그치지 하필이면 스카치테이프를 붙여놔서 그 부분이 누렇게 떠 버렸다. 저걸 제거할 수나 있을지 모르겠는데, 아쉬운 노릇이다. 아마 처음 책을 주고받을 때는 깨끗했겠지 생각하며, 그 시.. 2023. 7. 6.
Bunch of Buddhist ritual tools from Goryeo Dynasty in Gyeongju, capital of mill Archaeologists have found a large number of Buddhist ritual tools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near a Buddhist temple in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the millennium kingdom. An excavation of a Buddhist temple called Heungryunsa Temple in Sajeong-dong, Gyeongju, found iron pots inside a Goryeo-era building site, and 54 bronze offerings were excavated from it, the Cu.. 2023. 7. 5.
이른바 퇴장유구 불교공양구 이해는 조선왕릉에서 찾아야 한다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야외에는 조선왕릉 석조물이 잔뜩 진열되어 있으니, 구영릉 석물 舊英陵 石物 이란 이름으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영릉英陵은 경기 여주에 소재하거니와, 조선조 제4대왕 세종과 그의 왕비 소현왕후를 합창한 무덤이다. 본래 영릉 자리는 이곳이 아니다. 지금은 아마도 국정원이 들어간 서울 서초구 내곡동이 그 자리라, 풍수상 길지가 아니라는 판단에 따라 예종 원년(1469) 현재의 자리로 천장遷葬하게 되어 오늘에 이른다.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야외에 전시 중인 석물들은 바로 이곳 제1차 무덤에 쓴 문관 석인상과 무관 석인상 각각 2쌍과 상석床石, 호석 등등으로 구성된다. 현재의 석물들이 온전한 세트 전부인지는 내가 당장 확인하지는 못하지만 어찌하여 이들 .. 2023. 7. 5.
이른바 퇴장 유구 사례 현황 구분유적 (출토 위치)출토 유물수량매납시기연도경북 경주망덕사지 (강당지) 청동정병, 청동완, 금동원형장식구, 청동발우 등10점고려1969년굴불사지 (석조불상군 서편 주변)범종(A)+청동금고(뚜껑) 범종(B), 향완, 청동완, 접시 등 *금고(“大定二十三年癸卯四月日~”/1183년)16점고려 (1183년)1985년경북 영주영주댐 수몰지구(금강사지) (금광리 유물산포지 우물)철솥, 광명대, 금동완, 나무주걱 등 *광명대(‘亡父安逸戶長禹載夫往生淨界之愿鑄成献金剛寺仏前丙午四月二十九日~’)5점1186년 (추정) 2014년경북 군위인각사지 (승탑지 하부)청동금고 금고 내부: 청동병향로, 청동정병 , 청동향합, 중국청자(월주요) 등 7점통일신라 2008년울산영축사지 (동탑지 주변)청동향로, 청동시루, 청동완3점고려 (1.. 2023. 7. 5.
사진으로 보는 경주 흥륜사 서편 불교공양구 유물 54점 이하 문화재청 관련 보도자료 전문 경주 흥륜사 서편에서 고려시대 공양구 유물 54점 출토 - 통일신라 금동불상, 향로·촛대 등 고려시대 불교 공양구 가득 든 철솥 등 대거 쏟아져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의 허가를 받아 경주시(시장 주낙영)와 (재)춘추문화재연구원(원장 양인철)에서 추진한 경주 흥륜사(경주 사정동) 서편에서 하수관로 설치공사를 위한 발굴조사 중에 통일신라~고려시대 사찰 관련한 건물지와 담장지, 우물 등의 유적과 청동 공양구 등 다양한 유물을 확인했다. 현재 흥륜사가 자리한 곳은 사적‘경주 흥륜사지(興輪寺址)’로 지정되어 있으나, 사찰 주변에서 ‘영묘지사(靈廟之寺)’명 기와가 다수 수습되어 학계와 지역에서는 ‘영묘사지’로 보기도 한다. 이번 조사에서 건물의 적심과 담장지 등이 확인된 것으로 보.. 2023. 7. 5.
왜 철솥에다 불교공양구 50점을 쏟아부었는가? 언론이 이른바 엠바고라 해서 특정 시점까지 해당 사안은 보도하지 않기로 한 약속을 깨는 경우는 그 의도성에 따라 알고도 깨는 경우, 모르고 깨는 경우 두 가지가 있을 뿐이다. 이 사안은 문화재청에서 장사가 된다 해서 어제 쪽샘 44호분으로 장사했으니, 약간 뜸을 두고 하루 걸러 본래는 내일 오전 9시로 엠바고를 설정했지만, 동아일보가 깼다. 나는 알고서도 깼다고 본다. 이 정도로 멍청한 데가 아닌 까닭이다. 암튼 이번 발굴은 뭐 밟은 대표적 케이스인데, 간단히 말해서 아주 짝은 발굴이라 해서 신생 문화재조사기관이 입찰 따서 들어갔다가 처치 곤란이 되었으니, 어떡하겠어? 유물을 쏟아져 나왔지, 이거 제대로 조사하고 정리하고 보존처리하고 보고서 언제 내? 망했지. 이럴 때 방법은 있다. 문화재청 불러다가, .. 2023. 7. 5.
중고책 3종 구득기 책이 남영동 사저 포화상태인 데다 다른 여건상 책을 새로 구득하는 일은 아주 드물다. 구득은 크게 두 경우로 한정하는데 첫째 내가 꼭 읽어야 할 책 듈째 남이 필요로 할지도 모르는 책이 그것이라 이 1971년 문교부판 도자기는 후자라 이쪽 전공 장남원 교수 증정용이며 앞 두 책은 전자에 해당한다. 귀신은 들춰보니 중국 옛날 문헌에서 뽑은 귀신을 몇 가지로 유형화한 것으로 동화처럼 쉽게 고쳐 썼는데 놀랍게도 그 출전을 일일이 밝히고 있어 나한테는 참말로 요긴해서 지나칠 수 없었고 오프라인 헌책방서 구입한 앞 두 책과 달리 온라인 구득한 불괴비첩은 바로 내가 라이프워크로 삼는 주제 중 하나인 1925년 을축년대홍수 직접 증언록이라 배송 과정에서 적지 않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2023. 7. 5.
박에스더, Korea's first woman physician 한국 최초의 여의사 박에스더 Esther Park, Korea's first woman physician 이화여대 전신 이화학당 출신이다. 아래는 민족문화대백과 사전 기술 축약이다. 1877년(고종 14) 서울 정동 출생. 본명 김점동金點童. 1891년(고종 28) 1월 25일 미국 선교사 프랭클린 올링거 Franklin Ohlinger한테 세례받고 김에스더金愛施德라 했다가 결혼 후 남편 성을 따라 박에스더가 된다. 선교사 아펜젤러 Henry Gerhard Appenzeller 소개로 1887년(고종 24) 이화학당에 입학한다. 1895년 미국으로 건너가 1896년 볼티모어여자의과대학Woman's Medical College of Baltimore에 입학하고 1900년 졸업하면서 한국 최초 여의사가 된다.. 2023. 7. 5.
BLACKPINK stages enthusiastic performances at 'Hyde Park Festival' K-pop super girl group BLACKPINK successfully completed the "Hyde Park British Summer Time Festiv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Hyde Park") held in London on the 2nd (local time). Following the U.S. "Coachella" in April, it took the stage as the first K-pop artist headliner at the UK's top music festival, the home of pop. Hyde Park is a festival enjoyed by world-class pop stars and music fans .. 2023. 7. 5.
《내가 보는 위만조선과 낙랑》(6) 위만은 쿠데타 성공한 프리고진이다 우리는 위만조선 사회를 접근하는 한 방식으로서 이른바 비교사 방법을 적용해 저 먼 반대편 남월왕국을 살피고, 그 인접 북쪽 장사국 마왕퇴 한묘를 거쳐, 그리고 중원 문화 한복판인 중산국을 여행했으니 이제 여전히 실체가 오리무중인 위만조선을 해명할 길을 열었다고 본다. 출현하지 아니하는 위만조선은 어떠해야 하는가? 첫째 그 창업주 위만을 필두로 그 아들로 사서에 이름이 남지 아니하는 제2대 왕이 묻힌 곳은 철저히 중국적 색채가 나는 무덤을 썼고, 그 안에 묻혔으며, 부장품은 온통 동시대 서안과 낙양에서 통용하는 물품으로 깔았다. 시체는 금루옥의金縷玉衣라 해서 금실로 꼬아 엮어만든 옥을 걸쳐야 하며, 주변으로는 벽璧과 같은 동시대 중국에서 생산한 옥제품으로 넘쳐나야 한다. 둘째, 그 왕릉은 산속에 들어가며 .. 2023. 7. 5.
호암자전에 토대하는 삼성 창업주 이병철 회장 학력 2014년 3월에 초판 1쇄가 간행된 《삼성 창업자 호암 이병철 자서선 호암자전湖巖自傳》(나남)은 본인 집필인지, 혹은 구술을 누군가 정리한 것인지는 자신이 없지만, 이는 그의 생전에 그의 이름으로 간행된 자서전으로 설혹 대필이라 해도 그 자신이 감수했을 것이므로 그 내용은 그 자신의 생각 혹은 구술을 그대로 담았다고 해도 좋다. 그 부록으로 호암연보가 수록됐으니, 신동훈 교수께서 식민지시대 지식인들의 교육과정을 시리즈로 다루고, 그에서 이 이병철도 다뤘기에 이 연보에 보이는 관련 기술만 적출해 소개한다. 1910. 2. 12(음력 1. 30) 경남 의령군 정곡면正谷面 중교리中橋里 723번지에서 이찬우李纘雨(1874. 19. 16 生)와 안동권씨(1872. 4. 24 生)의 둘째 아들로 출생. 조부 이홍.. 2023. 7. 5.
한문 전공자 괴롭히는 방법 1) (한자로 된 아무거나) 야 너 저거 좀 읽어봐 2) 우리 애 이름 지으려는데 궁합(?)이 좋은 글자 좀 3) 한문을 한다고? 중국어 잘하겠다! 시즌2 1) (글씨든 그림이든, 도자기든 뭐든 가리키며) 저거 얼마짜리냐? 2) (초서 들이밀면서) 이거 읽어줘. 못 읽는다고? 전공자라매? 3) "거 공자님허구 맹자님허구 팔씨름허면 누가 이길꼬?" 2023. 7. 5.
19만 평 풍납토성 토지 소유 현황, 특히 사유지의 경우(2013년 상황) 아마 5년 이내 전의 가까운 시점일 것이다. 당시 문화재청에서 풍납토성 문제 해결을 위한 소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한 적이 있다. 지금도 다른 형태, 혹은 그대로 운영하는 걸로 아는데 한동안 이에 내가 위원으로 참가한 적이 있다. 위원회에는 풍납토성 주민대표도 있었다. 10여 년 전에는 대판 싸우다가 나중에는 하도 친해져 데모하면 옆에서 내가 "그렇게 해서는 안되고 도끼 들고 해요"라고 응원까지 하게 된 분이다. 내가 방금 넘겨받은 풍납토성 관련 현황 자료를 보니 그 내부 19만 평에 대한 국공유지와 사유지 비율이 있다. 성벽까지 포함하면 21만 평에 달하는 풍납토성 토지 소유 실태 현황....이거 미안하지만 이 소위원회 전에는 없었다. 당시까지만 해도 풍납토성이 21만 평인데 이를 다 매입하는데 몇조원이 .. 2023. 7. 5.
2008년 2월의 이란 길란고원 동굴 테헤란 북쪽 카스피해 인근 길란 지방 원시림을 헤매며 동굴탐사를 하던 시절 몇 장면이다.이 장면은 나도 여러번 소개한 적 있으니 이건 당시 동행한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촬영이다.심광주 이기환 둘은 정년퇴직했고 신희권은 이후 냅따 시립대로 튀었으며 김충배는 지금은 국립고궁박물관 옮기고는 과로로 고개가 돌아갔다.이 한국산 똥차로 산길 밟아 해발 이천 고지를 올랐다.재수 없어 1년 차이로 55세 정년 퇴직한 서동철은 비정규직 임시사원으로 같은 서울신문 논설실에 출근 중이다.지표조사 일인자는 김충배. 동굴조사하라고 충배를 밀어넣고 우리는 희희낙락했다.저땐 다 젊었다.물론 현재의 우리한테는 말이다.세월은 우사인 볼트보다 빨랐다. 2023.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