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786

[백수일기] (4) 빼다지를 뒤져 잠자는 달러를 발굴하라 조만간 난 떠난다. 아주 장기라고는 할 순 없지만 그렇다고 아주 짧지는 않은 여행을 간다. 은근 이 소문을 냈다. 지인이 보잰대서 없는 시간 쪼개서 나갔더니 빼다지서 발견했다며 여비 보태 쓰라 준다. 보니 얼마나 빼다지서 오래 묵혔는지 화성돈 얼굴이 요즘 보는 그것이 아니라 문화재급이다. 천군만마다. 오늘의 교훈. 빼디지를 잘 살피자. 발견하는 달러는 갓 백수가 된 사람한테 아낌없이 기부하자. 기부 대상 상한선은 퇴직 한 달 이내인 사람!!! 이렇게 정하자. 2023. 10. 18.
없는 작가 호통만 치고 돌아선 갤러리 문을 들어섰음 주인장 계시오? 출타 중이세요. 잉? 작가가 작품을 팔아야지 업장을 비운단 말이오? 아마 약속 있으신 듯 하거나 몸살 기운이 있어 쉬고 계실지도 모르겠어요. 몸살이라니? 박서보 선생은 생사를 다투는 순간까지도 붓을 잡으셨다는데 그런 정신자세로 작품활동을 한단 말이오? 누구냐 여쭙기에 자발적 백수라 적고 왔다. 이경주 작가 가을이 찬란함을 잊을까 전시가 11월 5일까지 종로 북촌 갤러리 단정에서 있습니다. 2023. 10. 18.
20년전 일본학회의 회고와 변화한 세상 20년 전 일본 홋카이도 다테시에서는 일본인류학회가 열렸는데 이떄 참석했을 때 찍어 둔 사진이다. 2000년대 초반까지도 일본은 버블경제 여파가 남아 있던 때라 나라 전체가 세련됨과 부유함이 가득했다. 학회를 참석해서 일본 인류학 연구를 들어보니 수준이 너무 높아 내 생전에 따라갈 수나 있을지 의문스러울 지경이었다. 사실 그 당시 일본 학계는 분야를 막론하고 모두 그랬고, 바로 그때 일본 학계를 이끌던 사람들이 최근 노벨상을 받은 사람들이다. 이때 당시 일본학계 연구 방향에 필자는 상당히 큰 인상을 받았다. 미국과 유럽 학계 방향과는 분명히 달랐고 자국 발굴을 대상으로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설정된 주제를 보고 있노라니 우리도 저렇게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이후 몇 년 지나 필자의 인연은.. 2023. 10. 18.
[호로고루 깽판 스핀오프] 기어이 뽑아간 대구 팔거산성 목곽 이 팔거산성은 오승연 공작이 통해 화랑문화재연구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근자 국가 사적으로 등재까지 되었으니, 이를 대단한 성과로 선전하는 양태를 봤거니와 개중 최고 성과로 꼽는 것이 목간과 더불어 그 출토지점인 석목축 연못이 꼽히거니와, 한반도 고대산성에서 이런 연못은 내가 매양 말하듯이 이제는 전연 새삼할 구석이 없어 물이 모이는 지점 계곡간 흘러내리는 지점에 성벽과 바짝 붙여 만들어 상시로 쓸 물을 공급하고, 또 위에서 휩쓸려 내리는 물을 일단 거기다 가두었다가 배출하는 까닭에 모름지기 성벽을 관통하는 배수구가 있기 마련이라, 신라가 쌓은 팔거산성에서도 이런 양태가 그대로 드러났으니 그 발굴성과는 아래를 참조했으면 하고 대구 팔거산성에서 7세기 초반 신라 목간(조사자료집 원문 첨부) 대구 팔거산성에.. 2023. 10. 18.
[백수일기] (3) 떡고물 현금 혹은 현금 상당 좀전에 날아든 퇴직 선물이다. 퇴직하면 나도 생각지도 못한 이런 현금 혹은 현금 상당이 생기기도 한다. 듣자니 내가 간여한 무슨 단체가 내가 퇴직함으로써 그 자격을 상실했으니 그 기념으로 고맙다며 준다. 그래서 퇴직은 자주자주 해야 한다. 와! 이럴 필요없다. 저짝에 30년간 있으면서 꼬박꼬박 회비를 냈으니 계산기 두들기면 삼천은 땡겨야 본전이니깐 ㅋㅋ 오늘 상기하는 백수생존법칙! 백수한테는 현금이 빛이요 생명이다. 한 가지 조심할 점..마누라한테 들키지 말아야 한다. 그제 상품권 두 장 들켜서 뺐겼다. 담번 백수 일기는 백수를 위하는 길이 무엇임을 상기하는 것으로 갈음할까 하노라. 2023. 10. 18.
[백수일기] (2) 잘 먹고 다녀야 백수는 바빠야 한다. 또 잘 먹고 댕겨야 한다. 이 두 가지 양념이 빠지면 거지랑 진배없다. 그에 물론 희생 혹은 기회비용이 따른다. 자칫하다 과로사 하고 자칫하다 허리가 그렇지 아니한 시절에 견주어 더 굵어진다. 어제 이런저런 자리를 기념하고, 마침 내 퇴직을 기념한다 해서 불러내서 냉큼 달려갔더니 이런 것들을 내놓는다. 하나는 불도장인가? 뭐 암튼 유명하댄다. 2023. 10. 18.
가지 않은 길 untrodden way 아직 미답지 천지이나, 문득문득 가본 데라도 체계화의 욕망이 아직은 있다. 남들처럼 여행후기니 해서, 먹방 소개하고 교통편 어쩌니 하는 일은 나랑 천성이 맞지 않는다. 그렇다 해서 내가 저들이 블로그 후기에 써놓은 저런 글들에 도움이 받지 않는 건 아니라, 외려 반대로 절대적 도움을 받기도 하니, 나 역시 그런 데다가 한 숟가락 얹어야 그 신세에 한 줌 보태는 일이 아닌가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이건 내 적성과도 맞지도 않아 내가 할 일은 아닌 듯하다. 체계화란 무엇인가? 하지만 그 체계화가 어디 쉬운가? 이번 이태리 답사에서 나는 키츠와 셸리를 만났고, 그 감흥이랄까 하는 것들을 한 때는 영문학도를 꿈꾸었던 사람으로서 자못 비장하게 썼지만, 그 팩트 자체는 전연 자신이 없어, 하다못해 영문학 개론서라.. 2023. 10. 18.
장강 유역 애묘崖墓에서 묻는 낙랑주의 애묘崖墓 벼랑에 쓴 묘라 해서 이리 표현한다. 동한시대 장강 유역을 중심으로 유행했다 안다. 고대 일본에 이런 무덤이 나타나 중국 강남과의 문화교류 양상으로 설명하는 글을 본 기억이 있다. 내가 이 애묘에 관심을 갖고 자료를 조사하기는 대략 십년전쯤이다. 그땐 무슨 이유였는지 모른다. 다만 나는 한반도 문화가 동아시아 세계와 접촉한 통로로써 매양 말하는 낙랑 절대주의. 이건 미친 짓이라 본다. 죽어나사나 낙랑 타령이라 난 이걸 혁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찌하여 낙랑뿐이리오? 한반도 중남부 철기문화 등장과 확산은 결코 낙랑으로 설명할 수 없다. 변진한 철을 낙랑 왜에서 사간다는 어느 기록 한구절을 앵무새처럼 되뇌인다. 웃기는 소리 좀 그만했음 싶다. 그것은 결과지 원인이 아니다. 무슨 낙랑? 石頭 같은 .. 2023. 10. 18.
queen vs. acqua, 축소지향이긴 마찬가지인 이태리어와 한국어 한국어는 생득적으로 축약지향이라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면 queen을 거의 본능적으로 퀸이라 발음한다. 하지만 저리 발음하면 영어 모국어 사용자는 적어도 절반 이상 알아듣지 못해 pardon? 하고 고개를 갸웃갸웃하며 되묻곤 한다. 저들의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면 '크윈'이다. 원래 단음절이라 '크'라 적을 수는 없으나 편의상 이게 나으며 실제로 개무시하고 크윈이라 발음하는 게 좋다. 한데 이태리어는 보니 축소지향이라 이게 이상하게 한국어랑 아주 딱 맞아 떨어진다. 이 친구들은 막 붙인다. acqua 볼짝없이 water에 해당한다. 라틴어에서 온 말이다. 한국어 일상에 침투한 아쿠아리움 그 뿌리가 되는 말이다. 저 말을 원어민들한테 들으니 아꽈 혹은 악꽈에 가깝다. 이태리어는 철자대로 다 발음해 주니 실은 .. 2023. 10. 18.
Abitare vs habit, 이태리어와 영어 전자 아비따레는 to live에 해당하는 이태리어 동사다. 저 단어만 알면 아래 예문 뜻은 대강 짐작할 것이다. Abitare a Milano 밀라노에 가주하다 abitare in centro 도심에 거주하다. abitare in città 도시에 살다 뭐 철자만 약간 다르고 같자나? 영어랑? 언어가 재밌는 현상 중 하나가 그 본래적인 의미는 공유하는데 그것이 다른 언어로 갈라지면서 주된 길을 달리한다는 점이다. 영어에서 저에 해당하는 가장 일반적인 말은 당연히 to live다. 그 명사형 life 역시 쓰임이 강력하다. 반면 habit라는 말은 습성 등등에 국한한다. 저 두 말 어원이 같다. 이태리어에서 h는 묵음인 까닭에, 원래는 h가 있었는데 탈락하고 아비따레가 되었는지 어땠는지는 모른다. 한데 아.. 2023. 10. 18.
모통신사 편집국의 야근 일풍경 시대에 따라 옷이 다를 수밖에 없다. 사회부 사츠마와리, 일명 경찰 담당 기자들인데 팔시부터 각 방송 뉴스를 체크하며 빵꾸난 게 있는지 등등을 째려본다. 그 옛날엔 조간 신문 가판이란 게 있어 다음날 지방판으로 편집국에 배달되는 신문을 체크하는 일이 주된 저녁 일과였다. 그 풍광..조폭이었다. 부장 책상 뒤에 빙 둘러서고는 부장이 가판 기사 체크하며 이건 우리 기사, 이건 물먹은 기사 죽죽 표시해가는 장면을 목도하고는 후속 조치에 들어간다. 전화통이 불이 나고 어디 신문에 이런 게 났으니 확인해봐라 어째라 그러다 전화통 집어던지고, 넌 매번 기사가 안되냐 다른 기자들은 바보냐 이런 고함이 오가고 지랄발광을 떨었다. 그 적폐도 이젠 소리소문없이 사라지고 이젠 편집국도 여느 때면 도서관보다 조용한 곳으로 변.. 2023. 10. 18.
[호로고루 깽판 스핀오프의 스핀오프] 포항 지진과 천안 성거산 백제 목곽 해직 이전 근무 부서인 전국부로 복직하고 석달이 지난 2017년 11월 13일 문화재청 발굴제도과는 아래와 같은 보도자료를 배포했으니 천안 성거산 위례성에서 백제 시대 최대 목곽고 확인 - 발굴조사 성과 현장공개 설명회 개최 / 11.14. 오전 10시 - 천안 성거산 위례성(충청남도 기념물 제148호)에 있는 용샘(물웅덩이) 발굴조사 중에 백제 시대의 목곽고(木槨庫)가 확인됐으며, 오는 14일 오전 10시 현장공개 설명회를 개최한다. * 발굴현장: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호당리 산 45번지 일원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의 허가를 받아 천안시(시장 구본영)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원장 이종수)이 작년 6월부터 시행한 위례성 내 용샘에 대한 1차 조사에서 조선 시대 석축 우물을 확인하였는데, 올해 시.. 2023. 10. 18.
도교로 부활한 묵자 교단 중국의 선진先秦 전국시대와 진한秦漢시대를 둘러싸고 내가 최대의 미스터리로 여기는 바는 묵자 교단의 행보다. 꼴을 보면 공자보다는 한 세대 정도 아래였을 묵자를 개창주로 받드는 묵자교단은 적어도 장자 맹자시대까지도 극강을 구가했다. 한데 그런 묵자교단이 장주-맹가이후 종적도 남기지 못하고 깡그리 사라진다. 묵자 교단은 묵자 사후에 여러 파로 갈리지만, 그 핵심은 군대를 방불하는 강고한 무력 체계에 있다. 일전에 지적했듯이, 그리고 이미 선학 중에 장태염인지 장병린인지가 지적했듯이 묵자 교단은 전한시대를 지나서 오두미도로 화려하게 역사의 전면에 등장한다. 도교이거 태생에 대해선 참말로 말이 많지만 이들 선학도 그렇고, 다른 무엇보다 내가 아무리 연구해 봐도 그 뿌리는 묵자다. 내가 묵자를 중시하는 까닭이다... 2023. 10. 17.
[백수일기] 그 첫날..많은 사람 누가 저녁 먹자 해서 남영동 사저 출발. 지하철 이용해서 강남을 가는데 승객이 열라 많음 인산인해 바글바글 각중에 드는 의문 다 뭐하는 사람들이야? 행인 붙잡고 물어봄 왜 이리 사람이 많아요? 이상한 눈초리로 쳐다 봄 이 사람아 퇴근 시간이잖아? 내가 되물음 퇴근이 뭐예요? 2023. 10. 17.
숙명여대 정영양 자수박물관, 개관 2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 - 예禮: 동아시아 예복 주제, 정영양 관장 수집 작품 선뵈 숙명여자대학교 정영양 자수박물관이 개관 20주년을 맞아 을 내세운 특별전을 개막하고 올 연말까지 관람객을 맞는다. 이번 전시는 한국과 중국, 일본 동아시아 3개국 예복을 통해 이 지역 문화 유사성과 시대 흐름에 따른 변화를 조망하고자 마련됐다. 이를 위해 문화권별 전통 혼례복, 상복, 제복을 들여다 본다. 사회제도, 특히 신분제 변화와 더불어 가치관 변화에 따른 예복 변천을 한 눈에 보여준다는 취지를 건다. 16일 개막식에 참석한 정영양 관장은 “의례복은 종교적 정신과 문화를 담아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적 표현과 기능성을 가진다”며 “서로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모습에는 다양한 제도와 형식이 있어 시각적, 미학적으로 비교하면서 감상하는 좋은.. 2023. 10. 17.
5천년 전 와인 항아리를 찾았다는 이집트 발굴소식 5,000-year-old wine unearthed in Egyptian queen’s tomb — behind the ‘exciting’ discovery By Tracy Swartz Published Oct. 15, 2023, 2:46 p.m. ET https://nypost.com/2023/10/15/5000-year-old-wine-unearthed-in-egyptian-queens-tomb/ 5,000-year-old wine unearthed in Egyptian queen’s tomb — behind the ‘exciting’ discovery“The wine was no longer liquid, and we can’t tell if it was red or white,” archaeol.. 2023. 10. 17.
박물관이 고기를 궈 줍니다, 21일 전곡구석기문화제 고기 궈 주는 박물관 있을까요? [전곡구석기문화제] 전곡 '고기 맛' 보러오세요 전곡구석기문화제와 기획전〈고기〉 오픈 기념!!!! 전곡구석문화제의 또 하나의 이벤트 BBQ의 자존심 노스그릴과 함께 전곡의 '고기 맛 ' 보러오세요 10월 21일 (토) 오후 2시 30분 전곡선사박물관 야외축제장에 오시면 연천의 노스그릴과 함께 준비한 폴드포크 햄버거를 맛볼 수 있어요!! 이번 행사는 무료로 진행되며 준비한 수량 소진시 종료됩니다. #전곡구석기문화제 #기획전_고기 #north_grill #노스그릴 #전곡선사박물관 #고기맛 #풀드포크 #풀드포크햄버거 #지역과상생하는박물관 *** 푸줏간엔 시다 영디기와 주인옹 김태식이 있습니다. 2023. 10. 17.
[호로고루 깽판 스핀오프] 지키지 못한 목곽 (1) 천안 성거산 위례성 백제 목곽고 천안 성거산 위례성 용샘(물웅덩이) 발굴조사 중에 출현한 백제 시대 목곽고木槨庫는 다시금 우리로 하여금 문경 고모산성 목곽고의 고민을 안긴다. 이런 목곽고, 고고역사학도들은 거개 해체를 주장한다. 뜯어제껴야 한다고 말한다. 현장 보존방법이 없다는 이유와 더불어 그것을 뜯어야 구조가 드러난다는 이유를 댄다. 웃기는 소리다. 내가 궁금해서 뜯어제낀다? 이제 이런 짓은 그만해야 한다. 그렇게 뜯어제낀 목곽 중 제대로 남은 게 있기나 한가? 풍납토성 우물? 개판됐다. 대전 월평동 목곽? 개판됐다. 책임지지 못할 짓 하지 마라. 그냥 묻어라. *** 2017년 11월 17일에 나는 저리 툭 던지고선 돌아보지도 않았다. 해체를 막고 싶었지만 그 옛날과 같은 열정도 없었고, 또 그럴 위치에 있지도 않았다. 조금 막는.. 2023. 10. 17.
진주의 청동기시대 풍경 국제학술대회 이번주 금요일(20일) 국립경상대학교에서 국제학술대회가 열립니다. 진주시, 한국청동기학회, 경상국립대학교, 경남연구원 공동으로 진행되며, 진주시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열리게 되었습니다. 진주시는 한국 최대 규모의 청동기시대유적인 진주 대평리유적, 진주 평거동유적 등이 있는 한국 청동기시대 문화자원의 보고 입니다. 이런 연유로 진주시는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을 새롭게 리모델링하여 청동기문화의 장으로 만들고 학계의 연구활동 지원과 학술단체와의 MOU를 진행하는 등 청동기시대 문화자원을 개발하고 활용하는데 적극적인 행정을 하고 있습니다. 행정과 학술이 서로 연대하며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좋은 사례입니다. 4개국에서 참여하는 국제 학술대회입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이상 상주박물관 윤호필 관장 전언.. 2023. 10. 17.
험난한 학제간 통섭의 길 (2): 쥬라기공원 마이클 크라이튼 Michael Crichton 유심히 보면 이런 학제간 통섭의 길을 걸은 사람들은 제레드 다이아몬드만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이아몬드의 글은 필자가 아주 높게 평가한다. 대중서를 쓰기 이전 장기간에 걸친 기초의학자로서의 경륜이 잘 녹아 있어 책 수준이 아주 높다. 반면 유사한 기조의 책이지만 최근 각광을 받는 유발 하라리는 명성에 미치지 못한다는 생각이다. 일단 하라리 역시 학제간 통섭을 지향하지만 자연과학이나 인류학 분야 스토리를 제대로 소화시킬 역량이 모자라는 것으로 보인다. 다분히 언론이 만든 스타라고 생각한다.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학제간 통섭 수준이 높은 사람으로 마이클 크라이튼 Michael Crichton (1942~2008)을 들 수 있다. 하버드 의대 출신 의사로 일찍부터 작가 길을 걸었다. 이 사람은 대중 작가로 유.. 2023. 10. 17.
감사합니다 두 시간 30분 뒤에는 저 김태식은 연합뉴스 소속이 아닌 자유계약 FA 시장에 풀립니다. 혹 저를 상기할 때는 반드시 voluntary 백수라 해서 볼런테리라는 수식어를 강조해 주셨으면 합니다. 새로운 시작에 들어선 마당에 일일이 인사를 드리고 싶지만, 카톡 등록 연락처만 해도 만 명을 넘어서는 바람에 저로서는 방법이 없어 이런 공지로 퉁 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여러분 응원이 있어 무사히 연합뉴스 생활을 마무리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자리에서 어떤 모습으로 뵐지는 모르나, 근간에서 달라질 것은 없습니다. 저는 여전히 김태식일 것입니다. 새로운 자리에서 뵙겠습니다. 2023. 10. 16 김태식 드림 2023. 10. 16.
반응형